KR19980059550A -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 Google Patents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550A
KR19980059550A KR1019960078893A KR19960078893A KR19980059550A KR 19980059550 A KR19980059550 A KR 19980059550A KR 1019960078893 A KR1019960078893 A KR 1019960078893A KR 19960078893 A KR19960078893 A KR 19960078893A KR 19980059550 A KR19980059550 A KR 1998005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 bag
air
occupa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550A/ko
Publication of KR1998005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550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이트의 등받이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이트의 등받이부에 장착되는 쿠션의 구조를 개선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하게 쿠션의 부피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 시이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로서, 상기 쿠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닐팩으로 구성된 에어 백과, 상기 에어 백 내의 공기량을 조절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에어 백 내의 부피를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을 이용한 쿠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이트의 등받이부에 제공되는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 가능하게 하여 부피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4 내지 5인승 승용차의 실내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독립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전방 시이트 쿠션과, 2인 이상이 착석할 수 있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 후방시이트 쿠션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쿠션은 차량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차량의 특성상 차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
도 1에는 일번적인 차량의 전방 시이트 구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이트(1)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수평하게 놓인 착좌부(2)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시이트(1)와 수직으로 형성된 등받이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3)는 90°의 범위내에서 기울기를 조절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등받이부(3)의 양쪽 측방에는 탑승자의 등을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4)가 제공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이트 구조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양쪽 측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쿠션은 고정된 형태의 것으로 차량의 코너링시에 탑승자의 신체가 한쪽 쿠션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또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서는 상기 쿠션 자체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기 시이트의 등받이부에 장착되는 쿠션의 구조를 개선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하게 쿠션의 부피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전방 시이트 구조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쿠션로서 부피 조절이 가능한 에어 백이 장착되어 있는 시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백의 작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이트 2 : 착좌부
3 : 등받이부 4 : 쿠션
5 : 에어 백 6 : 공기 압축기
7 : 모터 8 : 스위치
9 : 공기 배출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 시이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로서, 상기 쿠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닐팩으로 구성된 에어 백과, 상기 에어 백 내의 공기량을 조절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에어 백 내의 부피를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을 이용한 쿠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조절장치는 에어 백의 공기량을 주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압축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작동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압축기에는 에어 백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쿠션로서 부피 조절이 가능한 에어 백이 장착되어 있는 시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백의 작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1)의 등받이부(3)에는 쿠션의 위치에 비닐팩으로 구성된 에어 백(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백(5)은 시이트(1)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사용하여 에어 백(5)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시키므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적절하게 부피를 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백(5)의 공기량 조절을 위하여, 상기 시이트(1)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백(5)의 공기량을 주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압축기(6)와, 상기 공기 압축기(6)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7)와, 상기 모터(7)의 작동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압축기(6)에는 에어 백(5)내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따라 시이트(1)에 장착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등받이부(3)에 장착된 에어 백(5)의 공기량을 조절시키므로써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에 의하면, 상기 에어 백 내의 공기량을 조절하여 쿠션의 부피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써, 개인적인 체형에 따라 편안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탑승자에게 보다편안함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전방 시이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로서, 상기 쿠션의 위치에 설치되는 비닐팩으로 구성된 에어 백과, 상기 에어 백 내의 공기량을 조절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에어 백 내의 부피를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에어 백을 이용한 쿠션.
KR1019960078893A 1996-12-31 1996-12-31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KR1998005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893A KR19980059550A (ko) 1996-12-31 1996-12-31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893A KR19980059550A (ko) 1996-12-31 1996-12-31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550A true KR19980059550A (ko) 1998-10-07

Family

ID=6642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893A KR19980059550A (ko) 1996-12-31 1996-12-31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5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883B2 (en) Vehicle seat and vehicle with a vehicle seat
JPH03139442A (ja) 自動車
KR19980059550A (ko)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
KR19980040627U (ko) 에어 백을 이용한 시이트의 쿠션부
KR200311908Y1 (ko) 헤드레스트 장착형 쿠션
KR19980010796U (ko) 자동차용 가변형 시트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0128138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구조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100214974B1 (ko) 공기 주머니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트용 베게
KR10080271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에어 쿠션 장치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19980018814U (ko)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KR200173869Y1 (ko) 차량용 보조 헤드레스트
KR19980046634U (ko) 자동차 시트백의 요추받침구조
KR0125231Y1 (ko) 자동차용 드라이버 시트
KR19980051907U (ko) 자동차용 2단 에어 쿠션
KR200326840Y1 (ko) 자동차 시트용 머리받침대
JP2000060677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19980022542U (ko) 탑승자체형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리어시트
KR19980068835A (ko) 차량용 리어 시트의 헤드폼
KR19990011101U (ko) 차량용 시트의 보울스터 조절장치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90020865A (ko) 허리받침용 공기주머니를 갖는 차량용 시트
KR19980052025A (ko) 승용차의 후방 탑승자용 중앙 헤드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