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814U -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814U
KR19980018814U KR2019960032226U KR19960032226U KR19980018814U KR 19980018814 U KR19980018814 U KR 19980018814U KR 2019960032226 U KR2019960032226 U KR 2019960032226U KR 19960032226 U KR19960032226 U KR 19960032226U KR 19980018814 U KR19980018814 U KR 199800188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seat
backres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814U/ko
Publication of KR19980018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81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5Lumbar supports using inflatable b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트에 앉게되면 요추부위에 통증이 발생함에 따라 보조쿠션을 이용하여 요추부위를 받쳐주는 것이나, 이는 보조쿠션의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가 없는 것이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빈 시트가 있을 경우에는 무방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쿠션을 탑승자가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탑승객이 시트에 착석시 요추부위와 접면되는 등받이(100)의 내면에는 튜브(200)를 내장하고, 상기 튜브(200)는 등받이(100)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측에 체크밸브(310)가 설치된 에어스포이드(300)와 공기유입관(400)으로 연결하되 상기 공기유입관(400)에는 공기조절용 노브(410)가 설치된 것으로서 이와같은 본 고안은 탑승자가 에어스포이드(300)를 반복하여 누름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튜브(200)속으로 유입되어 튜브(200)가 팽창되는 것으로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튜브(200)속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토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승객들이 편안한 자세로 앉을수 있도록 앞용과 뒷용의 시트가 설치 되는데, 앞좌석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경우에는 승객 한사람 한사람을 위하여 몸의 편안한 자세를 위한 세퍼레이터식 시트로 뒷좌석의 경우에는 벤치모양의 벤치식 시트로 구성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의 앞좌석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식 시트는 앞,뒤로 움직일수 있는 슬라이딩 기능으로 되어 있고, 벤치식 시트는 자동차 언더바디를 구성하는 뒤 크로스 멤버(rear cross member)상에 주로 설치되는데, 이때 그 시트는 움직일수 없도록 고정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시트의 구성부인 시트쿠션은 한곳에 고정되어 움직일수 없는 상태인 것이다.
상기의 시트는 착석 했을 때 히프가 얹혀지는 시트쿠션과 등이 받쳐지는 시트백 그리고, 헤드레스트의 3 가지로 구분되어 지는데, 상기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등받이 위로 위치되는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베개와 같은 부분으로 추돌등으로 인한 머리의 부상방지와 머리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부착되어 있는데, 시트로 일체로 고정 되어있는 것과 탈착이 가능한 것도 있으며, 조정만이 가능한 것도 있다.
상기 시트와 일체로 되어있는 것으로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와 붙어있는 것을 하이백 시트라고 한다.
이렇게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객들이 목적지 까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갈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능이 구비된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나 상기의 기능만으로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운전자나 조수석의 탑승자가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있게 되면 요추부위가 상당히 아프게 되는데, 특히 운전자의 경우에는 안전운행에 지장이 있기 때문에 등받이와 요추사이에 보조쿠션을 넣어 요추부위를 받쳐주도록 하므로서 조금이라도 통증을 해소하는 것이나 상기의 보조쿠션은 운전자의 의 체형에 따라 크기가 달라야 하는 것인데, 차내에 크기가 서로다른 보조쿠션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가 없어 크기가 일정한 보조쿠션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즉, 체형이 큰 사람이나 작은사람이나 똑같은 크기의 보조쿠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차내에 보관하여야 하는데, 차내에 탑승객이 모두 탑승하여 빈자리가 없을 때에는 보조쿠션을 무릎 등에 올려놓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받이 내면에 공기주입식 튜브를 내장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고,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도록 한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탑승객이 시트에 착석시 요부부위와 접면되는 등받이의 내면에는 튜브를 내장하고, 상기 튜브는 등받이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측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에어스포이드와 공기유입관으로 연결하되 상기 공기유입관에는 공기조절용노브를 설치하므로서 달성될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후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에에어스포이드를 수회 반복 눌러주면 외부의 공기가 스포이드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입관을 통하여 튜브로 들어가 튜브가 부풀어 올라오도록 하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가)는 사용치 않을 때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사용하기 위하여 튜브속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등받이 200 : 튜브
300 : 에어스포이드 310 : 체크밸브
400 : 공기유입관 410 : 노브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별첨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가)는 사용치 않을 때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사용하기 위하여 튜브속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탑승객이 시트에 착석시 요추부위와 접면되는 등받이(100)의 내면에는 튜브(200)를 내장하고, 상기 튜브(200)는 등받이(100)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측에 체크밸브(310)가 설치된 에어스포이드(300)와 공기유입관(400)으로 연결하되 상기 공기유입관(400)에는 공기조절용노브(410)를 설치토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탑승자가 시트에 앉은후 등받이(100)내면에 내장된 튜브(200)를 이용하여 요추를 받쳐주고자 할때에는 등받이(10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에어스포이드(300)를 수회 반복해서 눌러주면 외부의 공기가 에어스포이드(300)에 설치된 체크밸브(310)를 통하여 에어스포이드(300)속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입관(400)을 통하여 등받이(100)내면에 내장된 튜브(200)속으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상기 튜브(20)가 점차 부풀어 올라오게 되는 것이며, 탑승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을때까지 에어스포이드(300)를 계속해서 눌러 외부의 공기를 튜브(200)속으로 보내며, 적당하다 싶을때에는 에어스포이드(300)의 작동을 중지하면 공기는 더 이상 튜브(200)속으로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스포이드(300)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10)는 역지밸브라고도 하고,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흘리고,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크밸브(310)를 통하여 들어간 공기는 인위적으로 빼내기 전에는 절대로 빠지지 않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튜브(200)속으로 유입된 공기의 양이 너무 많거나 튜브(200)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튜브(200)속에 들어있는 공기를 빼주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공기유입관(400)에 설치된 공기조절용노브(410)를 돌리면 팽창 되어 있던 공기가 공기조절용노브(410)를 돌림에 따라 노출되는 배출공(미도시)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므로 즉, 탑승자가 공기조절용노브(410)를 적절하게 조절함에 따라 튜브(200) 속의 공기를 모두 빼거나 아니면 조금만 뺄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시트의 등받이 내면에 튜브를 내장하여 요추부위를 받쳐주는 쿠션으로 사용하되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튜브의 부풀어 지는 상태를 조절할 수가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며,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튜브속의 공기만을 모두 빼내 튜브를 수축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등받이의 내면에 에어스포이드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할수 있는 튜브를 내장하여 탑승자의 요추부위를 받쳐주도록 하되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튜브의 크기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고,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튜브 속의 공기를 빼내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별도로 보관할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탑승객이 시트에 착석시 요추부위와 접면되는 등받이(100)의 내면에는 튜브(200)를 내장하고, 상기 튜브(200)는 등받이(100)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측에 체크밸브(310)가 설치된 에어스포이드(300)와 공기유입관(400)으로 연결하되 상기 공기유입관(400)에는 공기조절용노브(41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KR2019960032226U 1996-09-30 1996-09-30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KR199800188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26U KR19980018814U (ko) 1996-09-30 1996-09-30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26U KR19980018814U (ko) 1996-09-30 1996-09-30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14U true KR19980018814U (ko) 1998-07-06

Family

ID=5397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226U KR19980018814U (ko) 1996-09-30 1996-09-30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81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22B1 (ko) * 2013-07-01 2014-03-17 (유)삼송 에어튜브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200482839Y1 (ko) * 2015-12-18 2017-03-08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범법자 호송용 차량시트
KR102353923B1 (ko) 2021-09-04 2022-01-20 윤재호 차량용 등받이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22B1 (ko) * 2013-07-01 2014-03-17 (유)삼송 에어튜브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WO2015002412A1 (ko) * 2013-07-01 2015-01-08 (유)삼송 에어튜브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KR200482839Y1 (ko) * 2015-12-18 2017-03-08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범법자 호송용 차량시트
KR102353923B1 (ko) 2021-09-04 2022-01-20 윤재호 차량용 등받이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2190A (en) Vehicle seat
KR19980018814U (ko)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KR100506025B1 (ko) 길이 가변형 헤드 레스트가 구비된 시트
KR0128700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구조
KR10080271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에어 쿠션 장치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960008998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head rest of car seat)
KR200145170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안전 벨트 버클
KR0125234Y1 (ko) 자동차용 드라이버 시트
JPH059867Y2 (ko)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0137061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KR0128837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KR1998001881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0138731Y1 (ko) 자동차용 시트
KR0140489Y1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구조
KR100587797B1 (ko) 다목적 차량용 리어시트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0159338B1 (ko) 트럭용 헤드레스트 설치구조
KR19980052308U (ko) 시트의 이동식 헤드레스트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0142336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90011101U (ko) 차량용 시트의 보울스터 조절장치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KR19990020865A (ko) 허리받침용 공기주머니를 갖는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