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461A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461A
KR19980058461A KR1019960077785A KR19960077785A KR19980058461A KR 19980058461 A KR19980058461 A KR 19980058461A KR 1019960077785 A KR1019960077785 A KR 1019960077785A KR 19960077785 A KR19960077785 A KR 19960077785A KR 19980058461 A KR19980058461 A KR 1998005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region
contact hole
etching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순
박진요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7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461A/ko
Publication of KR1998005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461A/ko

Links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의 투과 차이를 이용한 한 번의 마스크 공정으로 콘택홀 및 배선층의 일부를 형성함에 따라 콘택홀과 배선층을 용이하게 오버랩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머지 부분의 배선층을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게되어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막상에 상기 제 1 도전막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킴과 더불어 상시 노출된 영역 양 측으로 각각 두꺼운 영역과 소정 두께의 얇은 영역을 갖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제 1 도전막 및 절연막을 상기 소정 영역 하부의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전막을 이방성 블랭킷 식각하여 상기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기판과 콘택하고 상기 제 1 도전막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번의 마스크 공정을 이용하여 콘택홀 및 배선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소자의 제조 기술이 향상되면서 고집적화와 고속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선 설계가 자유롭고 배선 저항 및 전류 용량 등의 설정을 여유롭게 할 수 있는 배선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배선의 형성시 도전막으로서 금속 및 폴리실리콘막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이용한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절연막 상에 포토리소그라피 기술로 제 1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큰막을 증착하고, 다시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을 이용하여 제 2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폴리실리콘막을 식각하여 패터닝함으로써 폴리실리콘막 배선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콘택홀 및 폴리실리콘막을 각각 패터닝함에 따라 2번의 마스크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콘택홀과 폴리실리콘막을 오버랩 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오버랩 문제는 고집적화에 대응하는 소자 제조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한 번의 마스크 공정을 이용하여 콘택홀 및 배선층을 형성하여 콘택홀과 배선층의 오버랩 문제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기판, 2 : 산화막, 3,6 : 폴리실리콘막, 4 : 감광막 패턴, 5 : 콘택홀, 100 : 레티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막 상에 상기 제 1 도전막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킴과 더불어 상기 노출된 영역 양측으로 각각 두꺼운 영역과 소정 두께의 얇은 영역을 갖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제 1 도전막 및 절연막을 상기 소정 영역 하부의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전막을 이방성 블랭킷 시각하여 상기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기판과 콘택하고 상기 제 1 도전막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막은 폴리실리콘막이다.
그리고, 상기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도전막 상에 감광막을 도포하는 단계; 빛의 투과량이 다른 레티클을 이용하여 노광한 후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티클은 빛이 100% 투과하는 부분과 100% 차단되는 부분 및 50% 투과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빛의 투과 차이를 이용한 한 번의 마스크 공정으로 콘택홀 및 배선층을 형성함에 따라 콘택홀과 배선층을 용이하게 오버랩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머지 부분의 배선층을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도체 기판(1) 상에 산화막(2)을 형성하고, 산화막(2), 상부에 제 1 폴리실리콘막(3)을 형성하고 제 1 폴리실리콘막(3) 상에 감광막을 도포한다. 이어서, 빛을 100% 투과 또는 차단하는 영역(a,b)과 빛은 50% 투과하는 영역(c)를 구비한 레티클(100)을 이용한 포토리소그라피 기술로 감광막 패턴(4)을 형성한다. 즉, 감광막 패턴(4)은 빛이 100% 투과된 영역(A)과 영역 A를 중심으로 계단 형태로 빛이 차단된 영역(B)과 빛이 50% 투과되어 d의 두께를 갖는 영역(C)으로 형성되고, 이 감광막 패턴(4)에 의해 제 1 폴리실리콘막(3)이 영역(A)에서만 노출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막 패턴(4)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플라즈마 식각을 실시한다. 이에따라, 영역(A)의 노출된 제 1 폴리실리콘막(3)이 먼저 식각됨과 더불어 감광막 패턴(4)이 손실되는데, 감광막 패턴(4)이 d의 두께만큼 손실되면 50% 투과된 영역(C)의 제 1폴리실리콘막(3)이 식각되기 시작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식각을 영역(A)의 기판(1)이 노출될 때까지 진행하여 콘택홀(5)을 형성함과 더불어, 영역(C)의 제 1 폴리실리콘막(3)을 완전히 제거함과 더불어 산화막(2)의 소정 부분을 식각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감광막 패턴(4)을 제거하고, 기판 전면에 제 2 폴리실리콘막(6)을 두껍게 증착한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폴리실리콘막(6)을 이방성 블랭킷 식각하여 제 1 폴리실리콘막(3) 및 콘택홀(5) 내의 양 측벽에 서로 접속된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폴리실리콘막(3,6)으로 구성된 배선층을 완성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빛의 투과 차이를 이용한 한 번의 마스크 공정으로 콘택홀 및 배선층을 형성함에 따라 콘택홀과 배선층을 용이하게 오버랩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머지 부분의 배선층을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공정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이에 따라 그만큼의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9)

  1.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막 및 제 1 도전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막 상에 상기 제 1 도전막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킴과 더불어 상기 노출된 영역 양 측으로 각각 두꺼운 영역과 소정 두께의 얇은 영역을 갖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제 1 도전막 및 절연막을 상기 소정 영역 하부의 기판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전막을 이방성 블랭킷 식각하여 상기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기판과 콘택하고 상기 제 1 도전막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막을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도전막 상에 감광막을 도포하는 단계;
    빛의 투과량이 다른 레티클을 이용하여 노광한 후 현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클은 빛이 100% 투과되는 부분과 100% 차단되는 부분 및 50% 투과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 상의 감광막 패턴은 빛이 100% 투과되고, 상기 두꺼운 영역은 빛이 100% 차단되고, 상기 소정 두께의 얇은 영역은 빛이 50% 투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각은 플라즈마에 의한 건식 식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각 공정시 상기 감광막 패턴이 상기 소정 두께만큼 손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시 상기 얇은 영역의 감광막 패턴 하부의 제 1 도전막이 식각되고 상기 절연막은 소정 두께만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막은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60077785A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80058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785A KR19980058461A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785A KR19980058461A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461A true KR19980058461A (ko) 1998-10-07

Family

ID=6639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785A KR19980058461A (ko) 1996-12-30 1996-12-30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190B1 (ko) * 1998-12-29 2004-06-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752180B1 (ko) * 2005-09-28 2007-08-2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190B1 (ko) * 1998-12-29 2004-06-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752180B1 (ko) * 2005-09-28 2007-08-2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879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443064B1 (ko) 집적 회로내의 소규모 구조 형성을 위한 이미지 리버설 방법
KR1998005846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33726B1 (ko) 반도체소자제조방법
KR1003795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13957B1 (ko)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226726B1 (ko)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 방법
KR100437621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999000353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81147B1 (ko) 콘택홀 형성방법
KR100231735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950000090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0139891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100420414B1 (ko)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0172291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콘택 및 도전 라인 형성 방법
KR20020002682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0144229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콘택 형성 방법
KR19990081061A (ko) 반도체장치의 미세 콘택홀 형성방법
KR10038254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15372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333652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372657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형성방법
KR100307488B1 (ko) 반도체디바이스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289664B1 (ko) 노광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0247642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