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576U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4576U KR19980054576U KR2019960067770U KR19960067770U KR19980054576U KR 19980054576 U KR19980054576 U KR 19980054576U KR 2019960067770 U KR2019960067770 U KR 2019960067770U KR 19960067770 U KR19960067770 U KR 19960067770U KR 19980054576 U KR19980054576 U KR 1998005457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steering column
- capsule
- steering
- leaf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내측튜브와 외측튜브 및 어퍼 샤프트와 로우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에 충격 흡수용 캡슐을 설치하고, 상기 캡슐과 마운팅 브라켓의 고정편 사이에 압착력을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부를 갖는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프라스틱 캡슐과 판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판스프링을 매개체로 하므로서 하중관리가 용이하며 충돌시 이탈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충격 흡수기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작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의 스티어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내측튜브와 외측튜브 및 어퍼 샤프트와 로우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에 충격 흡수용 캡슐을 설치하고, 상기 캡슐과 마운팅 브라켓의 고정편 사이에 압착력을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부를 갖는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프라스틱 캡슐과 판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판스프링을 매개체로 하므로서 하중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을 위해 설치되는 차량용 조향장치는 조향핸들과 스티어링 튜브 및 스티어링 샤프트와 스티어링 기어로 이루어져 고정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조향핸들 조작에 의해 스티어링 튜브와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하여 스티어링 기어의 맞물림 동작에 의해 링키지의 연계 동작에 의해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향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운전석 전면에 설치되는 조향핸들과 운전자 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샤프트와 스티어링 튜브 사이에 충돌 에너지 흡수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튜브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보면 모두가 조향핸들 쪽으로 연결되며 내부로 스티어링 어퍼 샤프트와 로우 샤프트가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의 외측 튜브와 내측 튜브 사이에 걸림 볼을 설치하거나 외측튜브와 브라켓의 사이에 밴드 및 와이어나 캡슐 등을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차량의 충돌시 조향핸들에 가해지는 충격이 외측 튜브에 전달되면 상기 내측 튜브 와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 볼의 마찰 간섭 동작과 밴드의 변형력 및 캡슐의 이탈력 등에 의해 조향 핸들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하므로서 조향핸들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약화시켜 운전자를 안전사고로 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이는 걸림볼을 설치하면서 어퍼 및 로우 샤프트에 또다른 충격 흡수구조를 병행 설치되어야 기능이 가능하므로 부품수와 조립공정수의 증가로 조립 작업성이 떨어지며,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프라스틱 캡슐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하중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내측튜브와 외측튜브 및 어퍼 샤프트와 로우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에 충격 흡수용 캡슐을 설치하고, 상기 캡슐과 마운팅 브라켓의 고정편 사이에 압착력을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부를 갖는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프라스틱 캡슐과 판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판스프링을 매개체로 하므로서 하중관리가 용이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정면도.
도 2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티어링 컬럼, 2 :내측 튜브, 3 :외측튜브, 4 :어퍼 샤프트, 5 :로우 샤프트, 6 :브라켓, 7 :캡슐, 8 :고정편, 9 :굴곡부, 10 :판스프링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튜브(2)와 외측튜브(3) 및 어퍼 샤프트(4)와 로우 샤프트(5)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6)에 충격 흡수용 캡슐(7)을 설치하고, 상기 캡슐(7)과 마운팅 브라켓(6)의 고정편(8)사이에 압착력을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부(9)를 갖는 판스프링(10)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시 조향핸들에 가해지는 충격이 외측 튜브(3)에 전달되면 상기 외측튜브(3)와 함께 어퍼 샤프트(4)가 함께 동작할때 상기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고정하고 있는 마운팅 브라켓(6)에 고정 설치되는 캡슐(7)이 동작할때 상기 캡슐(7)과 고정편(9)사이에 설치되는 판스프링(10)이 동작하여 충격에너지를 용이하게 흡수하여 차량의 충돌로 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충격 흡수장치의 하중관리가 용이하며 충돌시 이탈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기능을 향상시키고, 제작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튜브와 외측튜브 및 어퍼 샤프트와 로우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에 충격 흡수용 캡슐을 설치하고, 상기 캡슐과 마운팅 브라켓의 고정편 사이에 압착력을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부를 갖는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프라스틱 캡슐과 판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면서 판스프링을 매개체로 하므로서 하중관리가 용이하며 충돌시 이탈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충격 흡수기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작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이다.
Claims (1)
- 내측튜브(2)와 외측튜브(3) 및 어퍼 샤프트(4)와 로우 샤프트(5)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6)에 충격 흡수용 캡슐(7)을 설치하고, 상기 캡슐(7)과 마운팅 브라켓(6)의 고정편(8)사이에 압착력을 부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부(9)를 갖는 판스프링(10)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770U KR200166026Y1 (ko) | 1996-12-31 | 1996-12-31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770U KR200166026Y1 (ko) | 1996-12-31 | 1996-12-31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4576U true KR19980054576U (ko) | 1998-10-07 |
KR200166026Y1 KR200166026Y1 (ko) | 2000-01-15 |
Family
ID=1948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7770U KR200166026Y1 (ko) | 1996-12-31 | 1996-12-31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6026Y1 (ko) |
-
1996
- 1996-12-31 KR KR2019960067770U patent/KR2001660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6026Y1 (ko) | 2000-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00104A1 (en) | Vehicle crash energy absorbing mechanism | |
KR200166026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장치 | |
KR200188278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 |
KR100205861B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 |
KR0176054B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에너지 흡수장치 | |
KR0176055B1 (ko) | 에너지 흡수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 |
KR200150365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2단 충격 흡수장치 | |
JP2001278065A (ja) |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 |
KR0136326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 |
KR0141895B1 (ko) |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 |
KR200153016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 |
KR100373274B1 (ko) | 자동차조향축의중간샤프트어셈블리 | |
KR19980032497U (ko) |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튜브의 충격 흡수장치 | |
KR100369544B1 (ko) | 자동차조향장치의충격흡수용인터매드샤프트 | |
KR200171108Y1 (ko) |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 |
KR200160764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 |
KR200287945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 |
KR970004336Y1 (ko) |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 |
KR0136325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 구조 | |
KR960003465Y1 (ko) | 자동차 핸들의 충격흡수장치 | |
KR19980027133U (ko) | 자동차의 조향축 완충구조 | |
KR200177619Y1 (ko) |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 |
KR20030055490A (ko) | 자동차용 운전자 무릎 보호장치 | |
KR20000021579U (ko) | 자동차의 조향컬럼용 마운팅브라켓트의 구조 | |
KR19980021828U (ko) |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