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4452U -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4452U
KR19980054452U KR2019960067644U KR19960067644U KR19980054452U KR 19980054452 U KR19980054452 U KR 19980054452U KR 2019960067644 U KR2019960067644 U KR 2019960067644U KR 19960067644 U KR19960067644 U KR 19960067644U KR 19980054452 U KR19980054452 U KR 199800544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mount
fuel tank
floa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굉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7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4452U/ko
Publication of KR19980054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45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의 가운데 설치되어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센싱하도록 된 연료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0)에 수직하게 세워져 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계기판에 전류량에 따라 연료의 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연결된 센싱로드(20)와, 이 센싱로드(20)에 끼워져 연료의 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뜨도록 설치된 환구형상의 플로트(30)와, 이 플로트(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뜨는 위치에 따라 전류치가 변화되도록 설치된 세라믹재질의 기판(40)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플로트 간단한 구조로 설치되면서도, 연료량을 측정시 오작동 및 오차를 감소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본 고안은 차량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일정량의 연료를 외부에서 주입시켜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 연료탱크는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로 강판으로 만들고 내부에는 연료의 출렁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성과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배플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석 또는 아연도금을 하여 방청처리되어 있다.
이 연료탱크에는 연료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연료주입구가 형성된 필라가 연료탱크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이 필라의 연료주입구에는 개폐밸브가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내부에는 연료의 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연결게이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게이지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계기로서 운전자가 가장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게이지로, 연료의 액면에 뜨개에 의하여 잔량을 나타내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료게이지는 가감속시나 코너링 등에 따라 액면이 흔들려 플로트가 상하로 진동하여 지침이 흔들려서 정확함을 유지하지 못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은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탱크에 수직하게 세워져 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된 센싱로드에 환구형상의 플로트가 연료의 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뜨도록 설치되되, 이 플로트의 내부에 세라믹재질의 기판이 설치되어, 플로트가 간단한 구조로 설치되면서도, 연료량을 측정시 오작동 및 오차를 감소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게이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료탱크20 : 센싱로드
21 : 상부플랜지부22 : 환봉부
23 : 하부플랜지부30 : 플로트
40 : 세라믹재질의 기판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탱크의 가운데 설치되어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센싱하도록 된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에 수직하게 세워져 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계기판에 전류량에 따라 연료의 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연결된 센싱로드와, 이 센싱로드에 끼워져 연료의 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뜨도록 설치된 환구형상의 플로트와, 이 플로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뜨는 위치에 따라 전류치가 변화되도록 설치된 세라믹재질의 기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료게이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연료탱크의 가운데 설치되어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센싱하도록 된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0)에 수직하게 세워져 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계기판에 전류량에 따라 연료의 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연결된 센싱로드(20)와, 이 센싱로드(20)에 끼워져 연료의 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뜨도록 설치된 환구형상의 플로트(30)와, 이 플로트(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뜨는 위치에 따라 전류치가 변화되도록 설치된 세라믹재질의 기판(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로드(20)는, 상기 연료탱크(10)의 상부측 하부면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부(21)와, 이 상부플랜지부(21)와 연장되어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전류가 통전되어 계기판에 연료의 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환봉부(22)와, 이 환봉부(22)의 하단에 갖춰져 상기 플로트(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하부플랜지부(23)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연료탱크(10)에 설치된 플로트(30)가 연료의 높이에 따라 부력에 의해 센싱로드(20)에서 상하로 이동되면, 이때 상기 플로트(30)에 설치된 세라믹재질의 기판(40)이 상기 센싱로드(20)의 환봉부(22)에 흐르는 전류량을 변화시켜 연료의 소모된 상태를 계기판에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로트(30)가 간단한 구조로 설치되면서도, 연료량을 측정시 오작동 및 오차를 감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에 의하면, 플로트가 간단한 구조로 설치되면서도, 연료량을 측정시 오작동 및 오차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연료탱크의 가운데 설치되어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센싱하도록 된 연료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0)에 수직하게 세워져 전류가 흐르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계기판에 전류량에 따라 연료의 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연결된 센싱로드(20)와, 이 센싱로드(20)에 끼워져 연료의 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뜨도록 설치된 환구형상의 플로트(30)와, 이 플로트(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뜨는 위치에 따라 전류치가 변화되도록 설치된 세라믹재질의 기판(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로드(20)는, 상기 연료탱크(10)의 상부측 하부면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부(21)와, 이 상부플랜지부(21)와 연장되어 하부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전류가 통전되어 계기판에 연료의 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환봉부(22)와, 이 환봉부(22)의 하단에 갖춰져 상기 플로트(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하부플랜지부(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KR2019960067644U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KR199800544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44U KR19980054452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644U KR19980054452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452U true KR19980054452U (ko) 1998-10-07

Family

ID=5400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644U KR19980054452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44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692B2 (en) Level-sensor device for a liquid-fuel tank, particularly for a system for supplying LPG to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8042388B2 (en) Multi-joint fuel level sender gage assembly
KR19980054452U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게이지
US5301550A (en) Float for an automotive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US6834545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a fuel level sensor in a fuel tank for automobiles
KR0134698B1 (ko) 연료탱크구조
KR19980043890U (ko) 상용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센서
KR200142146Y1 (ko) 자동차 와셔액통의 플롯게이지 이탈방지구조
KR0134187Y1 (ko) 엔진 오일 유량지시장치
KR200178460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 센더
KR100201467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량 감지센서
GB2323346A (en) A fuel tank for a motor vehicle
JP3041986B2 (ja) 液面検知装置
KR200175417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경고등어셈블리
KR0171328B1 (ko) 차량용 액량 감지장치
JPS609412Y2 (ja) 電子燃料噴射装置付エンジン車における燃料タンク装置
JPS6019944Y2 (ja) リザ−ブタンク水位警告装置
KR19980030303U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탱크 감지 장치
KR19980021588U (ko)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 오일저장탱크 잔유량 경고장치
KR970036131A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게이지 유니트
JPH0894415A (ja) 液体タンクの残量計
JPS61220929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装置
KR20040006784A (ko) 연료 센더
KR100314171B1 (ko) 연료 경고위치 감지장치
KR100488776B1 (ko) 자동차용 연료게이지의 경고등 점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