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698B1 - 연료탱크구조 - Google Patents

연료탱크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698B1
KR0134698B1 KR1019940037426A KR19940037426A KR0134698B1 KR 0134698 B1 KR0134698 B1 KR 0134698B1 KR 1019940037426 A KR1019940037426 A KR 1019940037426A KR 19940037426 A KR19940037426 A KR 19940037426A KR 0134698 B1 KR0134698 B1 KR 0134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river
seat
fram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967A (ko
Inventor
히로노부 우유베
Original Assignee
카타다 테쭈야
카부시키가이샤 코마쯔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타다 테쭈야, 카부시키가이샤 코마쯔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카타다 테쭈야
Publication of KR95001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불필요한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므로서 분할하는 일없이, 더욱이 형상의 제한 없이, 탱크용량의 확보를 가능하게 한 것과 아울러, 유압셔블 등의 상부선회체(1)의 프로어프레임(2)내에, 일측이 상부선회체(1)에 따른 원호형상의 하부탱크(3)를 설치하고, 상부선회체(1)의 상면에 설치된 운전석(4)의 아래에 근접해서, 앞탱크(3)를 하부탱크(3)로부터 돌출해서 설치함과 아울러, 운전석(4)의 뒤에는 마찬가지로 하부탱크(3)로부터 돌출한 적정높이의 뒤탱크(6)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탱크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에 관한 연료탱크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에 관한 연료탱크에 설치한 센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센서부분의 가변저항을 나타내는 전기회로도.
제6도는, 제4도에 의한 전기저항과 오일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종래의 상부선회체의 기기(연표탱크 포함함)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는, 종래의 상부선회체의 기기(연표탱크를 포함함)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선회체 2 : 프로어프레임
3 : 하부탱크 4 : 운전석
5 : 앞탱크 6 : 뒤탱크
9, 10 : 탱크 11 : 연동관
12, 13 : 센서
본 발명은 유압셔블의 상부선회체에 설치한 연료탱크에 관하여, 특히 용량을 크게한 연료탱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압셔블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7도에 평면도, 제8도에 사시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부선회체(21)에 레이아웃으로서 좌측에 운전실(22)내의 운전석의 아래에는, 조작밸브 등의 유압 기기(23), 우측에는 연료탱크(24) 및 작동유탱크(25), 중앙부에 도시하지 아니한 작업기, 후측에는 엔진룸(26), 카운터웨이트(counter weight)(27)등이 배치되고, 엔진룸(26)에는 냉각기 등의 부속 기기, 유압펌프 등이 내장되어 있다. 제7도의 (R)은 선회중심에 있어서 선회반지름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레이아웃의 경우, 운전석의 아래에 있는 조작밸브 등의 유압 기기의 소리나 열에 의한 악영향이 운전자에 미치고, 또, 이들 유압 기기가 고장난 때의 수리가 번거롭고 정비성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연료탱크는 차량의 운전중이라도 소리나 열의 발생이 없고, 따라서 항상 점검 등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외측의 하나의 공간에 1개만이 배치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배치는 하나의 공간밖에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량에는 한계가 있고, 특히 소선회차와 같은 작은 공간의 차체에 있어서는 보다 큰 용량의 탱크가 필요하지만, 그 공간을 잡을 수 없어 문제였다. 또, 소선회차 이외에서는 차체의 구조상 연료탱크를 분할해서 설치한 경우에는 각각의 오일량의 레벨을 알기 위해서 어느 한쪽에 레벨센서를 부착하고 있고, 두 개의 탱크의 높이가 대략 동링한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두 개의 탱크의 높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레벨센서가 한쪽만으로는 게이지의 눈금을 읽기 위한 오일이 줄어드는 것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를 감안해서, 불필요한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분할하는 일없이, 더욱이 형상의 제약 없이 탱크용량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또, 탱크를 분할해서 높이에 차이가 있는 위치에서 연통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탱크내의 오일용량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연료탱크구조를 제공해서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결점을 해소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제1의 발명은 , 유압셔블 등의 상부선회체의 운전실내에 설치된 운전석의 아래에 앞탱크를 설치하고, 상기한 운전석의 뒤쪽의 운전실 외측에는 뒤탱크를 설치하여, 상호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의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상부선회체의 프로어프레임 내의 일측에 상부선회체에 따른 원호형상의 하부탱크를 설치하고, 상기한 상부선회체의 상면에 설치된 운전석의 아래에 근접해서, 앞탱크를 상기한 하부탱크로부터 돌출시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운전석의 뒤에는 동하부탱크로부터 적당한 높이로 돌출한 뒤탱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3의 발명은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앞탱크는 운전실내에 뒤탱크는 운전실 밖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4의 발명은, 두개로 분할된 탱크에 연통관을 통해서 서로 오일을 출입 가능하게 한 연료탱크에 있어서, 오일레벨 검출위치를 상하방향에서 분할하도록 각각의 탱크에 센서를 부착하여, 양 센서전기회로를 직렬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의 발명에서는 소선회차량에 있어서 연료탱크가 운전실내와 운전실 밖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속가동 가능시간이 종래보다도 길어지고, 제2의 발명은 제1의 발명보다 더욱 길어진다. 또, 제4발명에서는 분할된 탱크에 각각의 오일량 검출의 센서를 설치해서 전기회로를 직렬로 연결하였으므로, 오일량의 변화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탱크내의 전체 오일량을 읽어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하는 일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에 관한 연료탱크는, 유압셔블 등의 상부선회체(11)의 프로어 프레임(2)내에 일측이 그 상부선회체(1)를 따라서 원호형상의 하부탱크(3)를 설치하고, 상기한 상부선회체(1)의 상면에 설치된 운전석(4)의 아래에 근접해서 앞탱크(5)를 상기한 하부탱크(3)로부터 돌출해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운전석(4)의 뒤쪽에는 마찬가지로 하부탱크(3)로부터 돌출한 적정높이의 뒤탱크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연료탱크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 하부탱크(3)와, 앞탱크(5), 및 뒤탱크(6)로 이루어지고, 재질을 수지제로 한 것에 의해 프리사이즈의 좌우비대칭의 기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하부탱크(3)는 프로어프레임(2)내의 공간을 빈틈없이 이용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은 상부선회체(1)에 따른 원호의 형상을 하고 있고, 높이는 대략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앞탱크(5)는 하부탱크(3)의 앞쪽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운전석(4)의 바로 아래의 부분까지 동일하게 세워진 평면의 대략 4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뒤탱크(6)는 앞탱크(5)의 뒤에서 앞탱크(5)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탱크(3)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뒤탱크(6)는 소정의 안쪽거리가 있고, 그 앞면은 운전실(7)의 후벽(7a)에 면하는 위치에서 운전식(7)에 의해 구획되어 엔진룸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탱크는 종래에 앞탱크부 또는 뒤탱크부 만으로 이루어진 연료탱크와 비교하면 대폭적으로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연속가동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2도 중 (8)은 작업기로 부착하기 위한 레보프레임이다.
제4의 발명은,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듯이 두 개로 분할된 탱크(9), (10)에 연통관(11)을 통하여 서로 오일을 출입 가능하게 한 연료탱크에 있어서, 각각의 탱크(9), (10)에 센서 (12), (13)를 부착하여, 양 센서(12), (13)전기회로를 직렬로 연결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한 탱크의 경우에도 앞탱크(5)의 상하방향 중간부 및 뒤탱크(6)의 상방 중간부에도 센서를 부착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센서(12) 및 (13)은 각각의 탱크(9), (10)에 플로우트(14), (14)를 보유하고 있고, 탱크내의 오일이 감소하면 플로우트(14)의 하강을 센서(12),(13)가 각각의 가변전기저항 (R1),(R2)으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상측의 탱크(9)의 오일이 감소해서 오일레벨이 하강하면 센서(12)가 작동하고, 하측의 탱크(10)의 오일이 감소해서 오일레벨이 하강하면, 센서(13)가 작동한다. 따라서, 탱크(9),(10)의 양쪽이 제6도에 나타내듯이 만탱크의 상태로부터 빈 상태까지 연속해서 양 센서의 저항치(합성 저항치)가 변화하여, 게이지의 눈금과 연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게이지의 눈금과 탱크내의 오일잔량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은 유압셔블 등의 상부선회체의 운전실내에 설치되 운전석상 아래에, 앞탱크를 설치하고, 상기한 운전석의 뒤의 운전실 바깥쪽에는 뒤탱크를 설치하고, 제2는 유압셔블 등의 상부선회체의 프로어프레임내에 일측이 그 상부선회체에 따른 원호형상의 하부탱크를 설치하고, 상기한 선회체의 상면에 설치된 운전석의 하부에 근접해서, 앞탱크를 상기한 하부탱크로부터 돌출해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운전석의 뒤에는 마찬가지로 하부탱크로부터 돌출한 적절한 높이의 뒤탱크를 설치하고, 제3은, 상기한 앞탱크는 운전실내에, 뒤탱크는 운전실밖에 설치한 것에 의해, 종래의 소형유압셔블의 경우에 비교해서 대폭적으로 탱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연속가동시간도 길게 할 수 있다. 제4의 발명에서는, 두 개로 분할된 탱크에 연통관을 통해서 서로 오일을 출입 가능하게 한 연료탱크에 있어서, 각각의 탱크에 센서를 부착하여, 양 센서의 전기회로를 직렬로 연결시켰으므로, 전기 저항치와 오일잔량을 비례시키는 것에 의해 게이지의 눈금과 탱크내의 오일잔량을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유압셔블 등의 상부선회체(1)의 프로어프레임(2) 내부에 하부탱크(3)를 내장하고, 그 상부선회체(1)의 프로어프레임(2) 상면에 설치한 운전석(4) 하측의 프로어프레임(2) 면을 잘라내어 프로어프레임(2)의 내부로부터 운전석(4)의 하부로 근접 돌출시켜 설치한 앞탱크(5)를 상기 하부탱크(3)와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운전석(4)의 등받이와는 간격을 두어 상부선회체(1) 프로어프레임(2)의 내부로부터 운전석(4)보다도 상방으로 높게 돌출시켜 설치한 뒤탱크(6)를 상기 하부탱크(3)와 일체적으로 형성한 연료탱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
KR1019940037426A 1993-12-28 1994-12-27 연료탱크구조 KR0134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109793A JP3377273B2 (ja) 1993-12-28 1993-12-28 燃料タンク構造
JP93-351097 1993-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967A KR950018967A (ko) 1995-07-22
KR0134698B1 true KR0134698B1 (ko) 1998-04-18

Family

ID=1841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426A KR0134698B1 (ko) 1993-12-28 1994-12-27 연료탱크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77273B2 (ko)
KR (1) KR0134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0420B2 (ja) * 1998-11-11 2006-01-05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式建設機械
JP3907148B2 (ja) * 1999-04-06 2007-04-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式掘削機
ATE547570T1 (de) 2002-03-26 2012-03-15 Kobelco Constr Machinery Ltd Kleine schwenkschaufel
CN103557435A (zh) * 2013-11-14 2014-02-05 上海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lng储罐安装结构及工程机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86742A (ja) 1995-07-25
JP3377273B2 (ja) 2003-02-17
KR950018967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9190A (en) Fuel tank assembly for a motorcycle
US5272918A (en) Pivotal liquid level sensor assembly
US5040516A (en) Double-tub fuel tank
US6408692B1 (en) Liquid level sensor
KR0134698B1 (ko) 연료탱크구조
JP4347502B2 (ja) 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のリザーバ
US9175585B2 (en) Fluid level detection device with stabilizer
CN219084189U (zh) 水箱检测系统
JP2003136979A (ja) 燃料タンク構造
KR100387710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US4435907A (en) Machine body inclination detector device
JP4225468B2 (ja) 燃料残量検出装置
JP4442984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の燃料タンク
KR100297413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잔량 보정장치
KR200178460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 센더
KR100427869B1 (ko) 이중 뜨개를 이용한 연료 게이지
GB2323346A (en) A fuel tank for a motor vehicle
KR970008123B1 (ko)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유동가능하도록 설치한 연료탱크
JP2678645B2 (ja) マスタシリンダ内蔵式車体傾斜センサ
KR970008125B1 (ko) 자동차용 연료 게이지
JPS5942661Y2 (ja) 車両におけるタンク内の液面検出装置
JPS601385Y2 (ja) 車両冷却系ウオ−タタンクの水位指示装置
KR19980082718A (ko) 차량의 연료측정장치
JPS6232322A (ja) 液面レベルセンサ
KR0137852Y1 (ko) 자동차의 연료량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