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553A - 파킹 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파킹 폴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553A
KR19980053553A KR1019960072659A KR19960072659A KR19980053553A KR 19980053553 A KR19980053553 A KR 19980053553A KR 1019960072659 A KR1019960072659 A KR 1019960072659A KR 19960072659 A KR19960072659 A KR 19960072659A KR 19980053553 A KR19980053553 A KR 1998005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rking
parking mode
controll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7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553A/ko
Publication of KR1998005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553A/ko

Links

Landscapes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에는 기어선택 레버가 파킹모드를 진행할 수 없도록 파킹 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파킹 기어의 속도를 감지하면 제어기에서는 액튜에이터에 신호를 출력하여 운행도중 파킹모드 공간을 막아 기어선택레버가 파킹모드를 진행할 수 없도록 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모터부의 모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와, 상기 속도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를 위한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감지기와, 상기 속도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운전중으로 판단하고 하이이면 정지상태로 판단하여 로우신호 및 하이신호에 따라 엑튜에이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시그널이 하강에지이면 파킹모드 중지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고 제어기의 시그널이 상승에지이면 파킹모드 스텐바이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는 엑튜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파킹 폴 안전장치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파킹모드를 진행하는 파킹 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을 운행중에는 기어선택 레버가 파킹모드를 진행할 수 없도록, 파킹 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파킹 기어의 속도를 감지하면 제어기에서는 액튜에이터에 신호를 출력하여 운행도중 파킹모드 공간을 막아 기어선택레버가 파킹모드를 진행할 수 없도록 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변속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선택버튼(22)이 구비되는 선택레버(20)는 하단부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택레버(20)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핀(20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버튼(22)을 눌러 선택레버(20)를 좌,우로 움직여 기어변속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선택레버(20)를 좌우로 움직여 기어를 변속할 시에는 선택레버(20)의 핀(20a)은 선택레버(20) 안내판(24)의 형상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상기 선택레버(20) 안내판(24)의 각 위치 P, R, N, D, 3, 2, 1에 핀(20a)을 위치시킴으로써 기어 변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파킹모드(P)로 선택레버(20)를 위치시키면, 파킹 폴(11)과 파킹 기어(12)가 서로 맞물려 주차중에 자동변속차량이 움직이지 못하게 막고 있다(도 2).
따라서 선택레버를 파킹모드에 위치시키지 않으면 키가 빠지지 않아 고정되지 않고 선택레버를 파킹모드에 위치시켰을 때에만 키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장치 시스템은 차량을 주차시킬 목적으로 차량을 정차시 이용하는 것으로, 운행도중 실수로 파킹모드에 선택레버를 위치시켰을 때의 안전운행에 대해서는 이를 막을 장치가 확실히 구비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현재에는 운행도중에 선택레버가 파킹모드를 진입하게 되면 파킹기어의 회전으로 파킹폴이 튀어나오도록 설계되어 있는 정도이다.
이를 위해서는 파킹폴이 운행중에 파킹기어에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치형을 잘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주행시 파킹모드를 진입하면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까지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타이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주모터의 속도를 감지하고, 여기서 구한 속도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도록 안네판의 파킹모드 위치에 액튜에이터 설치하며, 운행중에는 액튜에이터의 푸쉬로드를 온 시킴으로써, 운행중에는 선택레버가 파킹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원천봉쇄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주모터부의 모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와, 상기 속도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를 위한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감지기와, 상기 속도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운전중으로 판단하고 하이이면 정지상태로 판단하여 로우신호 및 하이신호에 따라 엑튜에이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시그널이 하강에지이면 파킹모드 중지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고 제어기의 시그널이 상승에지이면 파킹모드 스텐바이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는 엑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파킹기어와 파킹폴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4(A,B,C)는 본 발명의 시그널 파형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속도감지센서2: 속도 감지기
3: 제어기4: 엑튜에이터
4-1: 푸쉬로드20: 선택레버
20a: 핀22: 선택버튼
24: 안내판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도로써, 주모터부의 모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1)와, 상기 속도감지센서(1)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를 위한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감지기(2)와, 상기 속도 감지기(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운전중으로 판단하고 하이이면 정지상태로 판단하여 로우신호 및 하이신호에 따라 엑튜에이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3) 및, 상기 제어기(3)의 시그널이 하강에지이면 파킹모드 중지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고 제어기(3)의 시그널이 상승에지이면 파킹모드 스텐바이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는 엑튜에이터(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주차를 위해 정지해 있는 상황에서는 주모터가 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감지센서(1)에서 감지되는 속도는 없다. 따라서 속도 감지기(2)는 정지신호로써 하이신호를 제어기에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기(3)는 현재 차량이 정차되어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선택레버(20)가 파킹모드(P)를 진행할 수 있도록 엑튜에이터(4)를 동작시킨다. 이때 엑튜에이터(4)는 도 4A와 같은 속도감지 출력 시그널의 파형에 따라 도 4B와 도 4C와 같은 두가지의 동작모드가 있는데, 첫째는 푸쉬로드(4-1)가 후진된 상태가 노말상태상태이며 이를 기준으로 전진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로써, 도 4B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제로볼트(V)를 제공하고, 운전이 시작되는 하강에지에서 배터리 전압인 12V를 엑튜에이터에 제공하며, 운전이 종료되는 상승에지에서 배터리 전압을 차단하여 노말상태로 복귀하는 동작모드이다.
따라서 운전중에는 엑튜에이터(4)에 12V의 전압을 가하여 푸쉬로드(4-1)를 전진시키므로 선택레버(20)가 파킹모드(P)로 진입하는 것을 원초적으로 막을 수 있다.
한편, 두 번째로 푸쉬로드(4-1)가 전진된 상태가 노말상태상태이며 이를 기준으로 후진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로써, 도 2C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12V를 제공하고, 운전이 시작되는 하강에지에서 제로볼트를 엑튜에이터(4)에 제공하며, 운전이 종료되는 상승에지에서 배터리 전압을 제공하여 노말상태로 복귀하는 동작모드이다.
따라서 운전중에는 엑튜에이터(4)에 제로볼트의 전압을 가하여 푸쉬로드(4-1)를 전진시키므로 선택레버(20)가 파킹모드(P)로 진입하는 것을 원초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에는 기어선택 레버가 파킹모드를 진행할 수 없도록 파킹 기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파킹 기어의 속도를 감지하면 제어기에서는 액튜에이터에 신호를 출력하여 운행도중 파킹모드 공간을 막아 기어선택레버가 파킹모드를 진행할 수 없게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모터부의 모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1)와, 상기 속도감지센서(1)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를 위한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감지기(2)와, 상기 속도 감지기(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면 운전중으로 판단하고 하이이면 정지상태로 판단하여 로우신호 및 하이신호에 따라 엑튜에이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기(3) 및, 상기 제어기(3)의 시그널이 하강에지이면 파킹모드 중지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고 제어기(3)의 시그널이 상승에지이면 파킹모드 스텐바이를 위한 동작을 실시하는 엑튜에이터(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폴 안전장치.
KR1019960072659A 1996-12-27 1996-12-27 파킹 폴 안전장치 KR19980053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59A KR19980053553A (ko) 1996-12-27 1996-12-27 파킹 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659A KR19980053553A (ko) 1996-12-27 1996-12-27 파킹 폴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53A true KR19980053553A (ko) 1998-09-25

Family

ID=6638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659A KR19980053553A (ko) 1996-12-27 1996-12-27 파킹 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5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35B1 (ko) * 2005-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35B1 (ko) * 2005-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16109A1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EP3108156B1 (en) Vehicle system
EP1895198B1 (en) An electric control select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KR19980053553A (ko) 파킹 폴 안전장치
JPS6467475A (en) Steering device having automatic centering function
KR19980053552A (ko) 액튜에이터를 이용한 파킹폴 장치
JP2585066Y2 (ja) 電動atチェンジ
KR200149530Y1 (ko)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파킹폴 장치
KR0137499B1 (ko) 자동 클러치 제어장치
KR0126058Y1 (ko) 자동변속 차량의 안전장치
JPH0569017B2 (ko)
KR100228988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40406B1 (ko) 자동브레이크 시스템
KR0165783B1 (ko) 기어중립 및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557259U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00228987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2047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00208835B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자동 변속기
KR19980034009A (ko) 일체형 도어 록 및 파킹 브레이크 장치
JPH0640510U (ja) 電動atチェンジ
JPH0546584U (ja) サイドミラー自動開閉装置
KR19980035406A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해제장치
JPH021566Y2 (ko)
KR19980048660A (ko) 시동정지시 변속기 조작 경보장치
KR19980060680A (ko) 자동 브레이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