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1447A -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447A
KR19980051447A KR1019960070339A KR19960070339A KR19980051447A KR 19980051447 A KR19980051447 A KR 19980051447A KR 1019960070339 A KR1019960070339 A KR 1019960070339A KR 19960070339 A KR19960070339 A KR 19960070339A KR 19980051447 A KR19980051447 A KR 1998005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able
bracket
accelera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1447A/ko
Publication of KR1998005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447A/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는 브래킷의 고정홈에 케이블의 나사산부와 결합되어 있는 마운팅러버를 삽착하고 마운팅러버의 양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너트를 조여서 브래킷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다수개의 부품조립으로 인한 조립공수가 많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3 에서와 같이 고정브래킷(10)은 케이블(22)을 고정해주는 케이블고정부(12)와 웰드보울트(16)와 사각돌기{18)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10)에 대응 고립되는 2단으로 절곡된 지지브래킷(24)의 상단면(26)에 사각홈(32)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의 간소화와 부품의 단순화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주고 종국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본 발명은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간단한 고정을 위하여 부품을 간소화시키고 조립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셀러레이터는 자동차엔진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가속기의의 트롤틀밸브를 조정하여 연료와 흡입되는 공기의 혼합비를 고정하는 패달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엑셀러러레이터는 첨부도면 도 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페달(1)과 로드(2)와 케이블(3)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드(2)의 허리부분에 회전축이 일체로 접합되어 리턴스프링(4)이 장착된 리테이너(5)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5)는 대시패널의 하단(도면상 미도시되었음)에 스큐류보울트로 견고하게 접합되어 있으므로, 운전자가 페달의 발판(1)을 플로어패널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로드(2)의 허리부분에 접합되어 있는 회전축에 의해 로드(2)의 상단부가 케이블(3)을 끌어당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3)이 당겨지면, 트로틀밸브가 개방되어 엔진의 회전속도가 가속되고, 가속된 엔진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밟고 있던 패달(1)을 놓으면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리턴스프링(4)에 의해서 페달(1)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예시도면 도 2 는 종래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고정장치의 결합단면도로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3)을 지지하여 준다.
여기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는 케이블(3)의 끝단이 나사산부(5)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부(5)에 케이블(3)을 지지하여 주는 마운팅러버(6)와 너트(9)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3)에 고정된 마운팅러버(6)의 외주연은 브래킷(7)의 고정홈(8)에 삽입되어 케이블(3)을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엑실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는 브래킷(7)의 고정홈(8)에 케이블(3)의 나사산부(5)와 결합되어 있는 마운팅러버(6)를 삽착하고 마운팅러버(6)의 양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너트(9)를 고여서 브래킷(7)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다수개의 부품조립으로 인한 조립공수가 많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간단한 고정을 위하여 부품의 간소화시키고 조립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은 케이블을 고정해주는 케이블고정부와 웰드보울트와 사각돌기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에 대응조립되는 2단으로 절곡된 지지브래킷의 상단면에 사각홈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웰드보울트와 사각돌기로 구성된 고정브래킷을 차체에 고정된 지지브래킷의 사각홈에 부착하여 케이블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으로, 부품의 간소화와 부품의 단순화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주고 종국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 은 중래 엑셀러레이터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고정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마른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브래킷, 12 : 케이블고정부,
14 : 지지판, 16 : 웰드보울트,
18 : 사각돌기 20 :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22 : 케이블, 24 : 지지브래킷,
26 : 상단면, 28 : 수직면,
30 : 하단면, 32, 33 : 사각홈,
34 : 너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I0)은 케이블(22)을 고정해주는 케이블고정부(12)와 웰트보울트(16)와 사각돌기(18)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고정브래킷(10)에 대응조립되는 2단으로 절곡된 지지브래킷(24)의 상단면(26)에 사각홈(32)이 형성된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이다.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엑셀러레이디 케이블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를위한 본 발명의 엑셀러레이터 케이블 고정강치는 크게 케이블(22)을 고정해주는 고정브래킷(10)과 상기 케이블(22)이 고정된 고정브래킷(10)이 결합되는 지지브래킷(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브래킷(10)은 케이블(2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의 케이블고정부(12)와 상기 케이블고정부(12)와 연계되어 일체상형으로 제작된 사각판 형상의 지지판(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4)의 상측으로는 후술되는 지지브래킷(24)에 대응 고립되는 웰트보울트(16)와 사각돌기(I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브래킷(24)은 다단으로 절곡된 상단면(26)과 수직면(28) 및 하단면(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브래킷(10)의 웰드보울트(16)는 상단면(26)에 형성된 사각홈(32)에 결합되어 너트(34)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이며, 상기한 고정브래킷(10)의 사각돌기(18)는 상단면(26)에 형성된 사각홈(33)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사각돌기(18)와 사각홈(33)의 결합은 사각돌기(18)를 사각홈(33)에 삽입후에 사각돌기(18)를 90°로 회절시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고정장치는 차체에 부착된 지지브래킷(24)에 케이블(22)이 고정된 고정브래킷(10)의 웰드보울트(16)와 사각돌기(18)를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웰드보울트와 사각돌기로 구성된 고정브래킷을 차체에 고정된 지지브래킷의 사각홈에 부착하여 케이블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으로, 부품의 간소화와 부품의 단순화를 통하여 작업자에계 편리함을 주고 종국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정브래킷910)은 케이블(22)을 고정해주는 케이블고정부(12)와 웰드보울트(16)와 사각돌기(18)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판(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브래킷(10)에 대응조립되는 2단으로 절곡된 지지브래킷(24)의 상단면(26)에 사각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KR1019960070339A 1996-12-23 1996-12-23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KR19980051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339A KR19980051447A (ko) 1996-12-23 1996-12-23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339A KR19980051447A (ko) 1996-12-23 1996-12-23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447A true KR19980051447A (ko) 1998-09-15

Family

ID=6638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339A KR19980051447A (ko) 1996-12-23 1996-12-23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14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1447A (ko) 엑셀러레이터 케이블의 고정장치
JPH10266875A (ja) エンジンの操作パネル構造
JPH0421718Y2 (ko)
JPS621393Y2 (ko)
KR19980041477U (ko) 엑셀러레이터의 진동방지용 그로밋
KR100372410B1 (ko) 자동차의 가속 조작장치
JP2000326756A (ja) アクセルケーブル支持構造
JPS6228514Y2 (ko)
JPH0611275Y2 (ja) 気圧式倍力装置の取付装置
JPS5829573Y2 (ja) 車輌用灯具におけるコネクタの取付装置
JPS6334930U (ko)
KR970004793Y1 (ko) 엑셀레이터 케이블 취부구
JPH0630552Y2 (ja) 前照灯のエイミング構造
JPH0727384Y2 (ja) 内燃機関のスロツトルレバ−
KR200260503Y1 (ko) 차량의 엑셀레이터 케이블 지지구조
JP3324280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取付構造
JPH0191623U (ko)
JP3252599B2 (ja) アクセルペダル構造
KR19980045118U (ko) 엑셀레이터 케이블 고정클립
JPH0232936Y2 (ko)
JPH0330535U (ko)
JPS6342174Y2 (ko)
KR100296266B1 (ko) 엔진소음의실내유입차단장치
JPS5819372Y2 (ja) ケ−ブル端部の取付構造
JPS631484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