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815A -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815A
KR19980045815A KR1019960064028A KR19960064028A KR19980045815A KR 19980045815 A KR19980045815 A KR 19980045815A KR 1019960064028 A KR1019960064028 A KR 1019960064028A KR 19960064028 A KR19960064028 A KR 19960064028A KR 19980045815 A KR19980045815 A KR 1998004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nitride film
oxide
polysilicon
impurity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815A/ko
Publication of KR1998004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815A/ko

Links

Landscapes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기판상에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실리콘막상에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여 질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에 제 1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의 양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 및 질화막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 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에 제 2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 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상에 산화박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 및 산화박막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산화막 양측의 노출된 반도체기판에 제 3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반도체 장치의 동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싱글 폴리실리콘 스트라이프 트랜지스터(single poly-silicon STRIPE transistor)는 p+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에 n+ 불순물 이온으로 카운트 도핑(count doping)하게 되면 소자의 동작 특성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 싱글 폴리실리콘 스트라이프 트랜지스터는 마스크 공정을 최소한 두 번 이상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반도체기판12 : 폴리실리콘막
14 : 질화막18 : 산화막
(구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실리콘막상에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여 질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에 제 1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의 양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 및 질화막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 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에 제 2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 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상에 산화박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 및 산화박막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산화막 양측의 노출된 반도체기판에 제 3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불순물 이온은 n형 불순물 이온이고,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이온은 p형 불순물 이온이다.
(작용)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반도체 장치의 동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A 내지 도 1E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E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0)상에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12)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폴리실리콘막(12)상에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여 질화막 패턴(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막 패턴(14)을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폴리실리콘막(12)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16)을 주입한다.
다음, 도 1B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12)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상에 산화막(18)을 형성한 후, 상기 질화막 패턴(14)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산화막(18)의 양측벽에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막 스페이서(20)를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산화막(18) 및 질화막 스페이서(20)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18)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12)에 p+형 불순물 이온(22)을 주입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20)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12)상에 산화박막(24)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20)를 제거한 후, 상기 산화막(18) 및 산화박막(24)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산화막(18)양측의 노출된 반도체기판(10)에 p형 불순물 이온(26)을 주입한다.
다음,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화막(18) 및 산화박막(24)을 제거하고, 상기 n+ 및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12a, 12b)을 포함하여 반도체기판(10)상에 층간 절연을 위한 산화막(28) 및 BPSG (boron - phosphorus-silicate-glass)막(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BPSG막(30)상에 금속배선막이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도면에는 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BPSG막(30)을 식각하여 상기 폴리실리콘막(12a, 12b)이 노출되도록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콘택홀 내에 금속배선막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반도체 장치의 동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Claims (2)

  1. 반도체기판(10)상에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12)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실리콘막(12)상에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여 질화막 패턴(14)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패턴(14)을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폴리실리콘막(12)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에 제 1 불순물 이온(16)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폴리실리콘막(12)의 에미터가 형성될 영역상에 산화막(18)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패턴(14)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18)의 양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2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18) 및 질화막 스페이서(20)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18)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12)에 제 2 불순물 이온(22)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20)양측의 표면이 노출된 상기 폴리실리콘막(12)상에 산화박막(24)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20)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산화막(18) 및 산화박막(24)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산화막(18)양측의 노출된 반도체기판(10)에 제 3 불순물 이온(26)을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불순물 이온(16)은 n형 불순물 이온이고, 상기 제 2 및 제 3 불순물 이온(22, 26)은 p형 불순물 이온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60064028A 1996-12-10 1996-12-1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9980045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028A KR19980045815A (ko) 1996-12-10 1996-12-1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028A KR19980045815A (ko) 1996-12-10 1996-12-1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15A true KR19980045815A (ko) 1998-09-15

Family

ID=6652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028A KR19980045815A (ko) 1996-12-10 1996-12-10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8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6070B2 (en) 2010-11-02 2014-09-16 Samsung Display Co., Ltd. Photo diod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diode, and photo sensor including the photo di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6070B2 (en) 2010-11-02 2014-09-16 Samsung Display Co., Ltd. Photo diod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oto-diode, and photo sensor including the photo di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096A (en) Semiconductor LDD device having halo impurity regions
US448835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708027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08100A (en)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fabrication process
KR100592705B1 (ko) 자기 정렬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KR20010074630A (ko) 샬로우 접합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US20020013016A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0170436B1 (ko) 모스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9980045815A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20010066327A (ko) 듀얼 게이트전극 제조방법
KR10028787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25443B1 (ko) 모스트랜지스터제조방법
KR100274979B1 (ko) 반도체소자내의콘택트형성방법
KR100255127B1 (ko) 횡형 구조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25285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02194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0146079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0175366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87503B1 (ko) 반도체장치및그의제조방법
KR100314272B1 (ko) 반도체 소자의 실리사이드 형성방법
KR100710196B1 (ko) 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249015B1 (ko) 트랜지스터의 형성 방법
KR20000032450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H0710656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2274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