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332A -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332A
KR19980043332A KR1019960061152A KR19960061152A KR19980043332A KR 19980043332 A KR19980043332 A KR 19980043332A KR 1019960061152 A KR1019960061152 A KR 1019960061152A KR 19960061152 A KR19960061152 A KR 19960061152A KR 19980043332 A KR19980043332 A KR 1998004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cu
laser beam
distance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종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332A/ko
Publication of KR1998004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3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차체후면에 광센서를 설치하고, 차체에는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뒷차량과의 간격을 분석함과 동시 이를 토대로 차체후면에 부착된 홀로그램과 계기판의 경고등을 제어하는 ECU를 설치하여 앞뒷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홀로그램과 계기판의 경고등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깔을 보고 자기차량과 앞뒷차량과의 간격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본 발명은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앞차량과 뒷차량의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만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차량은 앞차량과 뒷차량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운전자가 육안을 통해서만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밖에 없었다.
즉, 기존의 자동차는 운전자가 직접 육안으로 전방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후방차량의 경우에는 백미러나 룸미러를 통하여 위치를 확인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은 운전자가 직접 육안이나 미러를 통하여 앞차량 또는 뒷차량의 위치를 파악한 후 차량간격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운전자의 조그만 실수나 방심이 야기될 경우 추돌사고를 일으키기 쉽고, 또한 야간주행이나 안개낀 도로에서는 차량간격을 조절하기가 더욱 어려워 안전사고의 주된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뒷차량의 위치를 파악한 후 자기차량과 뒷차량의 간격에 따라 추돌주의와 안전거리 확보요망 및 안전거리 확보 등을 표시하는 경고등이 발광되게 하므로서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2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20 : 광센서
30 : ECU40 : 홀로그램
50 : 경고등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후면에 광센서를 설치하고, 차체에는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뒷차량과의 간격을 분석함과 동시 이를 토대로 차체후면에 부착된 홀로그램과 계기판의 경고등을 제어하는 ECU를 설치하여 앞뒷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홀로그램과 계기판의 경고등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깔을 보고 자기차량과 앞뒷차량과의 간격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10)후면에 부착되어 레이저빔을 발광하고 되돌아 오는 빔을 수광한후 이 신호를 ECU에 전달하는 광센서(20)와; 상기 광센서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분석하여 뒷차량과의 간격을 분석한후 이를 통하여 홀로그램 및 계기판을 제어하는 ECU(30)와; 상기 차체후면에 부착되어 ECU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해당 빛을 발산하는 홀로그램(40) 및; 운전석에 설치되어 상기 ECU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해당 빛을 발산하는 계기판의 경고등(50)으로 구성된다.
광센서(20)는 차체(10)후면에 부착되어 계속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레이저빔을 발광함과 동시 타 차량에 맞고 되돌아 오는 빔을 수광하여 이를 신호로서 ECU에 전달하게 된다.
ECU(30)는 차체(10)에 설치되며 상기 광센서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전달받아 자기차량과 뒷차량과의 간격을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준하여 홀로그램 및 경고등을 제어하게 된다.
홀로그램(40)은 ECU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하여 해당색깔의 빛을 발산하게 된다.
즉, 상기 홀로그램은 ECU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하여 추돌주의 일때는 적색, 안전거리 확보요망 일때는 청색, 안전거리 확보 일때는 녹색 등으로 해당빛을 발산하게 된다.
계기판에 설치되는 경고등(50)은 홀로그램과 같이 ECU의 제어에 의하여 적색, 청색, 녹색 등을 점등시키므로서 운전자에게 뒷차량과의 간격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차체(10)후면에 설치된 광센서(20)가 후방을 향하여 계속해서 레이저빔을 발광함과 동시 뒷차량에 맞고 되돌아 오는 레이저빔을 수광하여 이 신호를 ECU(20)에 전달하게 된다.
ECU(20)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분석하여 자기차량과 뒷차량과의 간격을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홀로그램(40)과 경고등(5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40)과 경고등(40)은 뒷차량과의 간격이 좁아 추돌사고가 염려될때는 추돌주의를 나타내는 적색을 발광하고, 안전거리가 미확보된 상태에서는 안전거리 확보를 요망하는 청색을 발광하며, 안전거리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는 안전을 나타내는 녹색이 발광된다.
따라서, 각각의 차량은 앞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홀로그램(40)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깔을 보고 현재 앞차량과의 간격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운전자는 경고드(50)에서 발광되는 빛을 보고 뒷차량과의 간격을 알 수 있어 손쉽게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앞뒷차량과의 간격을 쉽게 파악하여 자기차량과 앞뒷차량의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차체(10)후면에 부착되어 레이저빔을 발광하고 되돌아 오는 빔을 수광하여 이 신호를 ECU에 전달하는 광센서(20)와;
    상기 광센서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분석하여 뒷차량과의 간격을 분석한 후 이를 통하여 홀로그램 및 경고등을 제어하는 ECU(30)와;
    상기 차체후면에 부착되어 ECU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하여 해당 빛을 발산하는 홀로그램(40) 및;
    운전석에 설치되어 상기 ECU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의해 해당 빛을 발산하는 경고등(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KR1019960061152A 1996-12-03 1996-12-03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KR19980043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152A KR19980043332A (ko) 1996-12-03 1996-12-03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152A KR19980043332A (ko) 1996-12-03 1996-12-03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332A true KR19980043332A (ko) 1998-09-05

Family

ID=6647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152A KR19980043332A (ko) 1996-12-03 1996-12-03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90B1 (ko) * 2000-11-09 2008-04-17 아스트론 그룹 테크놀로지스 에스 에이 차량에 적합한 시각적 신호발생 장치
KR101296248B1 (ko) * 2011-10-28 2013-08-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가상 삼각대
KR102021589B1 (ko) * 2019-04-09 2019-09-16 미성엠프로 주식회사 도로 터널 내 밀리미터 웨이브 센서 통신설비 및 홀로그램을 이용한 교통 흐름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90B1 (ko) * 2000-11-09 2008-04-17 아스트론 그룹 테크놀로지스 에스 에이 차량에 적합한 시각적 신호발생 장치
KR101296248B1 (ko) * 2011-10-28 2013-08-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가상 삼각대
KR102021589B1 (ko) * 2019-04-09 2019-09-16 미성엠프로 주식회사 도로 터널 내 밀리미터 웨이브 센서 통신설비 및 홀로그램을 이용한 교통 흐름 제어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728B1 (en) Safety light
KR100935737B1 (ko) 하나 이상의 측방 및 후방 주위 환경 탐지 유닛을 구비한차량용 위험 인지 시스템
EP2431225B1 (en) Method for an automotive hazardous detec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20020014975A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integral display element
CN101791966B (zh) 包括发光纤信号的后视镜组件
US20110010041A1 (en) Software for an automotive hazardous detection and information system
JP2014144725A (ja) 車両情報表示装置
KR20110060231A (ko) 주변 차량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자동차 미러 장치 및 그리고 운행 정보 표시 방법
DE19915935C2 (de)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signalen in einem Verkehrssystem
KR19980043332A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EP1312506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in a lane-change manoeuvre
GB2328820A (en) Vehicular distance monitoring and warning device
JPH0776244A (ja) 車両用意志伝達装置
CN1347820A (zh) 一种汽车防撞警示系统
JP2022108190A (ja) 車両システム
ES2277201T3 (es) Dispositivo de informacion.
JPH10250510A (ja) 車両用距離警報装置
CN219790146U (zh) 一种鬼探头监测系统及车辆
KR100242127B1 (ko)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후방차량 근접 경고장치 및 방법
KR100204682B1 (ko) 자동차의 차선변경 안전표시장치
KR20050020273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
JPH1060834A (ja) 走行ガイドライト装置
KR0158257B1 (ko) 자동차용 측방 감지 시스템
KR19990051911A (ko) 차량의 자동 주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39845B1 (ko) 자동차 코너링시에 상대방 차량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