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248B1 - 가상 삼각대 - Google Patents

가상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248B1
KR101296248B1 KR1020110111193A KR20110111193A KR101296248B1 KR 101296248 B1 KR101296248 B1 KR 101296248B1 KR 1020110111193 A KR1020110111193 A KR 1020110111193A KR 20110111193 A KR20110111193 A KR 20110111193A KR 101296248 B1 KR101296248 B1 KR 10129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eam projector
tripod
driving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669A (ko
Inventor
박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1011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2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후방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차도 위 또는 공중에 레이저로 가상 삼각대를 형성할 수 있는 가상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상태정보가 입력되는 센싱신호 입력부,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를 구동하기 위한 빔 프로젝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상 삼각대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삼각대 대비 설치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즉각적으로 후속 차량에 대한 경고가 가능하여 운전자의 생명과 연쇄적인 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가상 삼각대{Virtual Roadway Safety Tripod}
본 발명은 차량의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후방에 설치된 레이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차도 위 또는 공중에 레이저로 가상 삼각대를 형성할 수 있는 가상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전자는 차량을 구입할 때 기본적으로 장착된 장비들 외에, 각종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별도의 장비를 구매하여 자동차 내에 비치하여 두게 된다. 하지만, 자동차의 사고와 관련된 장비들은 자동차 내에 필수적으로 비치하여 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도로상에서 자동차의 고장 시 혹은 사고 시에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그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삼각대는 많은 운전자들이 차량 내에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설사 차량 내에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 본래의 결점으로 인해서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차량이 고장 나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에, 주행 중인 후방의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기 위해서, 우선 차량을 갓길이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 후에 차량 내에 비치하여둔 비상 삼각대를 들고서 150~200m 정도 후방으로 걸어가서는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우천시에는 이와 같이 직접 걸어가서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는 일이 더욱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야간에는 고속으로 질주하는 차량들로 인해서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
게다가, 고장 혹은 사고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비상 삼각대를 설치했다 하더라도, 기존의 비상 삼각대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는 기능에 의존해서 후방의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므로 불완전한 경고에 의해 추돌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었으며, 특히 우천시나 야간에는 비상 삼각대의 반사판의 효용성이 현격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고장 또는 차량 사고 판단 시, 자동으로 차도 위 또는 공중에 레이저로 가상 삼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 일체형 레이저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가상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가상 삼각대는 차량의 상태정보가 입력되는 센싱신호 입력부,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를 구동하기 위한 빔 프로젝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에어백 센서, 타이어 공기압 센서와 같은 차량 안전 시스템과 관련된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삼각대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대한 차량의 자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차선과 차량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 구동부를 제어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발생 시, 자동으로 가상의 삼각대를 차도 위 또는 공중에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삼각대 대비 설치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즉각적으로 후속 차량에 대한 경고가 가능하여 운전자의 생명과 연쇄적인 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수동 설치 삼각대의 경우, 적정 설치 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인식 부족으로 인해 후방 차량의 제동거리 미확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삼각대의 경우, 설정된 값에 의해 일정하게 삼각대를 가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방 차량이 적정 제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삼각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삼각대가 실제 구현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삼각대에서 빔 프로젝터가 구동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삼각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삼각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삼각대는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사된 광에 의해 도로 위 또는 공중에 가상의 삼각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센싱 신호 입력부(10),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20), 제어부(30), 빔 프로젝터 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싱 신호 입력부(10)는 차량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차량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의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에어백 센서, 타이어 공기압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차량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차량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는 차량의 고장 여부, 사고 여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삼각대를 구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20)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대한 차량의 자세 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20)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로 구성된다. 카메라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선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20)는 카메라에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현재 차량의 자세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로 가공하고, 제어부(30)는 가공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헌재 차량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현재 차량의 진행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데, 차량이 정상적으로 차선을 따라 주행 중이라면 차량의 길이 방향(또는 주행 방향)에 평행한 차선의 영상 데이터가 수집된다.
제어부(30)는 센싱 신호 입력부(10)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20)에서 수집된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대한 차량의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 루프에 장착되는 샤크핀 안테나 또는 차량 후방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빔 프로젝터의 전원을 구동하고, 또는 빔 프로젝터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운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터의 전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빔 프로젝터 구동부(4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촬영된 차선과 차량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 구동부(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삼각대에서 빔 프로젝터가 구동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이 정차한 경우,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20)에 의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선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수집된다. 제어부(30)는 수집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선과 차량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θ)를 연산하고, 연산된 각도(θ)만큼 빔 프로젝터가 회전하도록 빔 프로젝터 구동부(40)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빔 프로젝터 구동부(40)는 복수의 모터 및 모터의 회전 운동을 빔 프로젝터에 전달하기 위한 암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빔 프로젝터를 회전시킨다.
한편, 빔 프로젝터에는 레이저 또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이 특정 형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렌즈와, 상기 발광소자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상 삼각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또는 LED와 같은 직진성이 강한 발광 소자를 활용하여 삼각대 형상의 빛을 도로 위나 공중에 표현할 수 있다. 적절한 조사량 능동형 와이퍼에 사용되는 우적 감지 센서, 능동형 전조등에 사용되는 조도 센서를 활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며, 깜빡임을 효과를 두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빔 프로젝터에 의해 출사된 광에 의해 도로 위 또는 공중에 가상의 삼각대를 형성하는 가상 삼각대에 있어서,
    차량의 상태정보가 입력되는 센싱신호 입력부;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빔 프로젝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를 구동하기 위한 빔 프로젝터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에어백 센서, 타이어 공기압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인 가상 삼각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대한 차량의 자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빔 프로젝터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빔 프로젝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
    인 가상 삼각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프로젝터에는,
    레이저 또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이 특정 형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렌즈와, 상기 발광소자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부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삼각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자세정보 수집부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차선과 차량의 길이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빔 프로젝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
    인 가상 삼각대.
KR1020110111193A 2011-10-28 2011-10-28 가상 삼각대 KR10129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193A KR101296248B1 (ko) 2011-10-28 2011-10-28 가상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193A KR101296248B1 (ko) 2011-10-28 2011-10-28 가상 삼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669A KR20130046669A (ko) 2013-05-08
KR101296248B1 true KR101296248B1 (ko) 2013-08-13

Family

ID=4865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193A KR101296248B1 (ko) 2011-10-28 2011-10-28 가상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2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72B1 (ko) 2016-06-17 2016-12-21 김영철 차량용 휴대형 비상 표지장치
KR20200000442U (ko) 2018-08-16 2020-02-26 (주)에핏라이트 차량용 비상 램프 장치
KR102113282B1 (ko) 2018-12-13 2020-05-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빔 조사방식 사고 신호 도로면상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244B1 (ko) * 2013-11-18 2014-04-21 주식회사 Jbk 가상표지판 표시장치
KR101445274B1 (ko) * 2014-06-24 2014-09-26 주식회사 Jbk 안전표지를 출력하는 장치 및 차량
KR101855356B1 (ko) * 2017-11-02 2018-05-09 주식회사 사라다 세이프티 모듈 및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세이프티존 표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2428898B1 (ko) * 2021-08-10 2022-08-02 김진희 횡단보도 입체화 장치
KR102595829B1 (ko) * 2023-03-28 2023-10-27 황호석 차량용 가상 안전표지판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332A (ko) * 1996-12-03 1998-09-05 박병재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JPH10288666A (ja) * 1997-04-15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識別装置および車間距離計測装置
KR20070046060A (ko) * 2007-04-13 2007-05-02 신용태 자동차 추돌 방지 안내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332A (ko) * 1996-12-03 1998-09-05 박병재 레이저빔을 이용한 차량간격 조절장치
JPH10288666A (ja) * 1997-04-15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識別装置および車間距離計測装置
KR20070046060A (ko) * 2007-04-13 2007-05-02 신용태 자동차 추돌 방지 안내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72B1 (ko) 2016-06-17 2016-12-21 김영철 차량용 휴대형 비상 표지장치
KR20200000442U (ko) 2018-08-16 2020-02-26 (주)에핏라이트 차량용 비상 램프 장치
KR102113282B1 (ko) 2018-12-13 2020-05-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빔 조사방식 사고 신호 도로면상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669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248B1 (ko) 가상 삼각대
EP3127771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3158620B (zh) 一种车辆行人检测跟踪预警系统
KR102201290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CN103204123B (zh) 一种车辆行人检测跟踪预警装置及其预警方法
KR101832918B1 (ko) 자율주행 자동차 영상인식 주행시험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768500B1 (ko) 운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855272B2 (ja) ブレーキ状況を認識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53770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light distribution control method
US20110140919A1 (en) Vehicle support systems for pedestrians to cross roads and support methods for pedestrians to cross roads
CN1810547A (zh) 用于车辆的信息提供设备
CN109765571B (zh) 一种车辆障碍物检测系统及方法
JP2009251637A (ja) 車両事故防止ロボット及び車両事故防止システム
GB2489087A (en)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recognizing a turn-off maneuver of a preceding vehicle
CN111196217A (zh) 车辆辅助系统
KR102372566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
CN207691936U (zh) 一种车载ar-hud系统
KR20180057971A (ko) 비상안내조명 투사 장치 및 그 방법
JP5361901B2 (ja) 前照灯制御装置
KR20160091040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CN106218644A (zh) 基于汽车的并线辅助装置、方法及汽车
CN107415807A (zh) 基于激光雷达探测路面颠簸状况的汽车调光系统及方法
CN107554422B (zh) 汽车安全警示装置和汽车安全警示的方法
CN210777141U (zh) 违规远光灯抓拍系统
KR20200062619A (ko) 안전삼각대 설치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