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579U -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579U
KR19980042579U KR2019960055684U KR19960055684U KR19980042579U KR 19980042579 U KR19980042579 U KR 19980042579U KR 2019960055684 U KR2019960055684 U KR 2019960055684U KR 19960055684 U KR19960055684 U KR 19960055684U KR 19980042579 U KR19980042579 U KR 199800425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panel
door
panel
rocker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5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2579U/ko
Publication of KR19980042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57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1) 하부의 플로어패널(2)에 접착되면서 도어(3)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커패널(4)이 차체(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3)하부의 결합면(3a)과 로커패널(4)상부의 결합면(4a)이 서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로커패널(4) 상부의 결합면(4a)이 하부방향으로 단차각(θ) 만큼 경사지도록 연장형성시켜 로커패널(4)과 도어(3)의 결합라인(5)에 단차를 부여하도록 된 구조로 되어, 로커패널의 경사면에 의한 단차각과 도어와 로커패널의 결합라인이 이루는 단차에 의하여 로커패널과 도어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로커패널과 도어의 결합면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표시가 나지않도록 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에 로커패널을 부착시키는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커패널의 결합단차를 조절하여 로커패널에 조립되는 도어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로커패널부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된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에서 로커패널은 플로어 패널의 측부 가장자리에 도어의 바로 밑으로 길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프론트바디 힌지필러로부터 리어바디 록크필러에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로커패널의 설치구조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체(11) 하부의 플로어패널(12)에 접착되면서 도어(13)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커패널(14)이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13)하부의 결합면(13a)과 로커패널(14)상부의 결합면(14a)이 서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이 단차에 맞추어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도어(13)하부와 로커패널(14)의 결합라인(15)이 일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13)하부의 결합면(13a)에 형성된 단차와 로커패널(14)상부의 결합면(14a)에 형성된 단차가 정확히 일치하여야 됨으로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상기 단차의 관리가 정확히 되지 않으면 외관이 좋지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커패널 상부의 결합면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시킴으로써 로커패널과 도어의 결합라인에 단차를 부여하여 로커패널의 결합면과 도어의 결합면이 서로 단차가 정확히 맞지 않더라도 캄프라치효과에 의하여 외적으로 표시가나지 않도록 된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접착되면서 도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커패널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하부의 결합면과 로커패널상부의 결합면이 서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이 단차에 맞추어서 결합되도록 된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커패널 상부의 결합면이 하부방향으로 단차각 만큼 경사지도록 연장형성시켜 로커패널과 도어의 결합라인에 단차를 부여하도록 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로커패널의 경사면에 의한 단차각과 도어와 로커패널의 결합라인이 이루는 단차에 의하여 로커패널과 도어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로커패널과 도어의 결합면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표시가 나지않도록 된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로커패널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로커패널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체 2 : 플로어패널
3 : 도어 3a : 결합면
4 : 로커패널 4a : 결합면
5 : 결합라인 θ : 단차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로커패널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차체(1) 하부의 플로어패널(2)에 접착되면서 도어(3)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커패널(4)이 차체(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3)하부의 결합면(3a)과 로커패널(4)상부의 결합면(4a)이 서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로커패널(4) 상부의 결합면(4a)이 하부방향으로 단차각(θ) 만큼 경사지도록 연장형성시켜 로커패널(4)과 도어(3)의 결합라인(5)에 단차를 부여하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 로커패널(4)을 하부방향으로 연장시켜 상기 결합면(4a)이 소정의 단차각(θ)을 가지면서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같이 상기 로커패널(4)의 결합면(4a)이 연장됨으로써 도어(3)와 로커패널(4)이 이루는 결합라인(5)에 단차가 생기게 되어 도어(3)와 로커패널(4)이 조립되는 조립부에 여유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3)의 결합면(3a)과 로커패널(4)의 결합면(4a) 사이에 여유가 생기게 되어, 조립단차가 정확히 맞지 않더라도 캄프라치 효과에 의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보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에 의하면, 로커패널의 경사면에 의한 단차각과 도어와 로커패널의 결합라인이 이루는 단차에 의하여 로커패널과 도어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짐과 더불어 로커패널과 도어의 결합면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표시가 나지않도록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1) 하부의 플로어패널(2)에 접착되면서 도어(3)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커패널(4)이 차체(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어(3)하부의 결합면(3a)과 로커패널(4)상부의 결합면(4a)이 서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이 단차에 맞추어서 결합되도록 된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커패널(4) 상부의 결합면(4a)이 하부방향으로 단차각(θ) 만큼 경사지도록 연장형성시켜 로커패널(4)과 도어(3)의 결합라인(5)에 단차를 부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KR2019960055684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KR199800425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684U KR1998004257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684U KR1998004257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579U true KR19980042579U (ko) 1998-09-25

Family

ID=5399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684U KR1998004257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5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7125B2 (ja) 車両用開閉体における機能部品取付部構造
KR19980042579U (ko) 자동차의 로커패널 설치구조
JPS6255239A (ja) 自動車のミラ−取付構造
KR960006443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몰딩재의 취부구조
KR200192396Y1 (ko) 자동차의 루프 패널 결합구조
KR0120096Y1 (ko)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KR100381473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과 그립 핸들의 결합구조
KR200142550Y1 (ko) 차량의 도어 그립 핸들 고정구조
JPH11291762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00192811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설치구조
KR200154224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결합장치
KR0152739B1 (ko) 프런트 범퍼의 체결구조
JP2000153782A (ja) ジャッキポイントの構造
KR0112921Y1 (ko)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JP2003200864A (ja) 車両外板の被覆部材
KR19990017893U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휠 아치부 결합구조
KR19980042583U (ko) 자동차의 로커패널과 펜더의 결합구조
JPH085324B2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KR19980042575U (ko) 차량의 펜더 마운팅 구조
KR19980061662U (ko) 보조 사이드미러를 갖는 프론트필러
KR19980084585A (ko) 자동차용 사이드프로텍터 취부구조
JPH05162591A (ja) 自動車のモール構造
KR19980052999U (ko) 자동차의 센터 플로워 패널의 소음 패드 설치구조
KR19980042677U (ko) 차량용 백 윈도우글래스의 취부구조
KR19980029274A (ko) 리어 범퍼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