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921Y1 -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 Google Patents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921Y1
KR0112921Y1 KR2019950014452U KR19950014452U KR0112921Y1 KR 0112921 Y1 KR0112921 Y1 KR 0112921Y1 KR 2019950014452 U KR2019950014452 U KR 2019950014452U KR 19950014452 U KR19950014452 U KR 19950014452U KR 0112921 Y1 KR0112921 Y1 KR 0112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amp
plate
fastening memb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02U (ko
Inventor
김문상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14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921Y1/ko
Publication of KR970001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9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4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means other than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헤드 램프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공에 의존하지 않고 유동방지를 유해 별도로 전방 복합 램프를 위한 체결 부재를 헤드램프에 연결 설치 하면서 러버를 이용함으로써 전방 복합 램프를 견고하게 조립할수 있는 체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체결 부재는 전방 복합 램프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있는 두 개의 제1 및 제2체결 보스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및 제2체결공을 갖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굴곡진 제2 및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및 제3플레이트에 한쪽면이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면은 헤드램프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면서 전방 복합 램프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제3체결 보스가 삽입되는 제3체결공을 갖는 제4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로매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제 2도는 종래의 자동차 복합 램프의 체결 부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결 부재 2 : 제1플레이트
3 : 제2플레이트 4 : 제3플레이트
5 : 제4플레이트 6,22 : 제1체결공
7,26 : 전방 복합 램프 8 : 제1체결보스
9,23 : 제2체결공 10 : 제2체결보스
11 : 러비 12,21 : 헤드 램프
13,25 : 제3체결공 14 : 제3체결보스
24 : 펜더 27,28,29,30 : 조립공
32,33 : 체결보스 31 : 복합 램프 체결공
본 고안은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램프의 체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헤드램프와 함께 체결되는 전방 복합 램프에 있어서, 유동을 방지하게 위해 그로매트를 이용하며 헤드램프와 전방 복합 램프를 취부하기 위한 체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헤드 램프를 이용하여 전방 복합 램프를 취부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살펴보면 참부도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램프(21)에서 한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제1체결공(22)과 다른한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제2체결공(23) 그리고 차체의 팬더(24)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 3체결공(25)이 전방 복합램프(26)를 위한 체결 부재들 이었다. 그리고 부호 27, 28, 29은 헤드램프(21)를 차체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공이다. 한편,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복합램프(26)에는 상기 헤드램프(21)의 제 1체결공(22)과 함께 체결될 수 있는 복합 램프 체결공(31)이 한쪽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헤드 램프(21)의 제2 체결공(23)과 펜더(24)의 제3체결공(25)에 각각 삽입되어지는 체결보스(32,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헤드램프(21), 전방복합램프(26) 및 펜더(24)의 각각 체결 부재들은 서로 취부 또는 삽입 설치되게 되는데, 제2도에서와 같이 헤드램프(21)에는 차체에 조립 시키기 위한 조립공(27,28,29)이 형성되어 있고 펜더(24)는 그 자체가 자체에 해당되기 때문에 자동차 운행 시 유동은 없으나, 전방 복합 램프(26)의 경우에는 각각 헤드램프(21)와 펜더(24)의 체결공(22, 23, 25)에 취부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체결 상태가 불량하거나 자동차의 유동이 심할 경우, 더욱이 전방 복합 램프(26)자체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유동의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램프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공에 의존하지 않고 유동 방지를 위해 별도로 전방 복합 램프를 위한 체결 부재를 헤드 램프에 연결 설치하면서 러버를 이용함으로써 전방 복합램프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체결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 헤드램프를이용한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에 있어서, 전방 복합 램프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있는 두개의 제 1 및 제 2체결 보스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및 제2체결공을 갖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에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굴곡진 제 2 및 제 3플레이트 에 한쪽면이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면은 헤드 램프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면서 전방 복합 램프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제 3체결 보스가 삽입되는 제3체결공을 갖는 제4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로매트 형상의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보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 헤드 램프를 이용한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는 첨부 도면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 체결부재는 그로매트로서 부호 1로 표시되어있다. 상기 체결 부재(1)는 제1내지 제4플레이트(2, 3, 4, 5)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플레이트(2)에는 두 개의 체결공이 상하로 나뉘어져 형성되어 있고, 이중에서 제1체결공(6)은 전방 복합 램프(7)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돌출되게 성형되어 있는 제1체결 보스(8)가 삽입되게 되는 구멍이고, 제2체결공(9)은 상기 제1체결 보스(8)와 같이 전방 복합 램프(7)의 한쪽 모서리 분에 돌출되게 성형되어 있는 제2체결 보스(10)가 삽입되게 되는 구멍이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체결 보스(8, 10)에는 각각 러버(11)가 감싸 여져 있으며, 이러버(11)에 의하여 제1 및 제2체결 보스(8, 10)가 제1 및 제2체결공(6, 9)에 삽입되었을 때 전방 복합 램프(7)의 유동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레이트(2)에 대해 서로 나란하게 별도의 플레이트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데 제 1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플레이트(3)와 제3플레이트(4)가 제1플레이트(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되 이 플레이트(3,4)들은 도면상에서 안쪽으로 각이 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플레이트(3)와 제3플레이트(4)가 골곡된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은 여기에 취부되는 전방 복합 램프(7)와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서 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4플레이트(5)는 역시 제1플레이트(2)와 같은 방향에서 제2 및 제3플레이트(3,4)에 한쪽 면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면은 헤드램프(12)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4플레이트(5)에는 제3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체결골(13)에는 전방 복합 램프(7)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체결 보스(8, 10)와는 다른쪽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 3체결보스(14)가 삽입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추가로 전방 복합 램프(7)에서 제3체결 보스(14)가형성되어 있는 모서리의 상단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복합램프 체결공(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체결공(3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헤드램프(12)의 제1체결공(22)에 스트류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헤드 램프와 전방복합램프의 체결을 위해 이들을 연결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체결 부재, 즉 그로매트(Grommet)를 사용하여 상호 취부하고, 특히 제1 및 제2체결 보스에 각각 러버를 감싸서 제 1및 제 2체결공에 삽입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잔방 복합램프가 유동되지 않게 되며, 추가로 종래와 같이 상호간의 체결공을 통해서 스크류 조립을 행함으로써 전방 복합 램프의 혼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헤드 램프를 이용한 전방 복합 램르의 체결 부재에 있어서, 전방 복합 램프(7)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있는 두개의 제1 및 제2체결 보스(8,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및 제2체결공(6,9)을 갖눈 제1플레이트(2), 상기 제1플레이트(2)에 나란하게 연결되어 있는 2개의 골곡진 제2 및 제3플레이트(3,4) 및 상기 제2 및 제3플레이트(3,4)에 한쪽면이 연결되어있고 다른 쪽 면은 헤드 램프(12)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면서 전방 복합램프(7)의 한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제3체결 보스(14)가 삽입되는 제3체결공(13)을 갖는 제4플레이트(5)로 이루어진 그로매트 형상의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1).
KR2019950014452U 1995-06-23 1995-06-23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KR0112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452U KR0112921Y1 (ko) 1995-06-23 1995-06-23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452U KR0112921Y1 (ko) 1995-06-23 1995-06-23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02U KR970001102U (ko) 1997-01-21
KR0112921Y1 true KR0112921Y1 (ko) 1998-04-13

Family

ID=1941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452U KR0112921Y1 (ko) 1995-06-23 1995-06-23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9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02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155A (en) Tail light construction
JP3898376B2 (ja) 車両用灯具
KR0112921Y1 (ko) 유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 전방 복합 램프의 체결 부재
KR0136929Y1 (ko) 크래쉬 패드 고정장치
JPH06144295A (ja) 車体の後部構造
JPS6261850A (ja) サイドコンビネ−シヨンランプ回りの組付構造
KR0120096Y1 (ko)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JP2543061Y2 (ja) 車体側部構造
KR0125510Y1 (ko) 자동차의 번호판 부착 브라켓
KR200269875Y1 (ko)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KR920001780Y1 (ko) 자동차 램프보호용 렌즈체결구
KR100193170B1 (ko) 헤드램프 스페이서의 취부구조
KR950002647Y1 (ko) 자동차 오일쿨러(Oil Cooler)용 어댑터(Adapter)
KR013320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언더 미러 설치 구조
KR19980041014U (ko) 브라켓 분리형 자동차 헤드램프 어셈블리
KR200152337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취부구조
KR970041116A (ko) 체결 구조를 개선시킨 엔진 마운팅 부재와 차체 보디 프레임
JPH0345867Y2 (ko)
KR0126815Y1 (ko) 램프가 내장된 리어범퍼
KR200154224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결합장치
KR970002665Y1 (ko) 자동차의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설치구조
KR19980036914U (ko)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9980030602A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인슐레이터 취부구조
KR20030083093A (ko) 버스용 스포일러
KR19990017893U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휠 아치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