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369U -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369U
KR19980042369U KR2019960055473U KR19960055473U KR19980042369U KR 19980042369 U KR19980042369 U KR 19980042369U KR 2019960055473 U KR2019960055473 U KR 2019960055473U KR 19960055473 U KR19960055473 U KR 19960055473U KR 19980042369 U KR19980042369 U KR 199800423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fastening
duct
air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5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2369U/ko
Publication of KR19980042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36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단 외주연에 벨로우즈부를 형성하고 양측단에 각각 체결관을 형성하여 에어컨디셔너와 하부 덕트를 상호 연결하므로써 차실내에 냉.난방용 공기를 유도하는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하부 덕트와 에어컨디셔너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체결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에어컨디셔너에 하부 덕트를 체결하는 작업시 이미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하부 덕트와 에어컨디셔너의 통풍구 사이의 거리가 정해져 있고 이 사이에 체결관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어려워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연결하므로써 체결부위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던바 본 고안은 양측단에 각각 에어컨디셔너와 덕트에 끼워지는 체결관을 형성하고 중단에는 벨로우즈부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부위를 이중으로 커버하는 체결관에 의하여 공기의 유출을 미연에 차단하고 벨로우즈부에 의하여 조립시의 공차여유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하여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단 외주연에 벨로우즈부를 형성하고 양측단에 각각 체결관을 형성하여 에어컨디셔너와 하부 덕트를 상호 연결하므로써 차실내에 냉.난방용 공기를 유도하는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덕트는 공기 기타 유체가 차량의 필요한 부위에 골고루 유입되도록 차실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냉.난방 덕트구조는 온도조절 스위치를 선택하여 온(On)시키면 공기분배 조절도어가 선택적으로 열려 외부공기 및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송풍기 모터를 통해 증발기 코어나 히터 코어로 불어넣어 찬 공기 및 따뜻한 공기를 만든다. 이렇게 형성된 찬 공기나 따뜻한 공기는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히터 겸용 에어콘(이하 에어컨디셔너로 함)(1)의 일측에 돌출된 공기 유출관(3)과 연결되는 상,하부 덕트(5)(7)를 통하여 전면유리 서리제거 통풍구, 좌,우측면 유리 서리제거 통풍구, 좌,우 공기분배 환기구 및 중앙 공기분배 환기구 그리고 플로어 패널의 윗면 즉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연결되어 앞좌석과 뒷좌석까지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하부 덕트(7)는 좌,우측 덕트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좌,우측 덕트는 각각 외측방향과 내측방향으로 통풍구의 종단이 분기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하부 덕트와 에어컨디셔너의 공기 유출관이 직접 연결되어 에어컨디셔너에 하부 덕트를 체결하는 작업시 이미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하부 덕트와 에어컨디셔너의 공기 유출관 사이의 여유간극이 부족하게 설치되어 조립이 어려워져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연결하므로써 체결부위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측단에 각각 에어컨디셔너와 하부 덕트에 끼워지는 체결관을 형성하고 각 연결부위의 내, 외주연에 포움재를 형성하며 중단에는 벨로우즈부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부위에 포옴재(FOAM)가 개재되고 이중으로 커버하는 체결관에 의하여 공기의 유출을 미연에 차단하고 벨로우즈부에 의하여 조립시의 공차여유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하여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한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덕트와 에어컨디셔너를 연결하는 덕트 연결관에 있어서, 일측단은 에어컨디셔너의 공기 유출관이 삽입되고 타측단은 하부 덕트에 삽입되는 체결관을 종단에 형성하며 상기 일측 체결관의 내주연과 타측 체결관의 외주연에 각각 포움재가 형성되고 중단에 주름처리되어 변형가능한 벨로우즈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디셔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컨디셔너, 3 : 공기유출관,
5 : 상부 덕트, 21 : 덕트 연결관,
25,27 : 체결관, 29,31 : 포움재.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와 요부측단면도로써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에 형성되는 에어컨디셔너(1)의 일측단에서 공기 유출관(3)이 돌출되고 이러한 공기 유출관(3)이 삽입되어 상호 고정되는 체결관(25)을 일측단에 형성하는 덕트 연결관(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일측단의 체결관 내주연과 타측단의 외주연에는 각각 포움재(29)(31)가 형성된다.
상기 덕트 연결관(21)은 중단 외주연에 주름처리된 벨로우즈부(23)를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차실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하부 덕트(7)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체결관(27)을 형성하여 에어컨디셔너(1)와 하부 덕트(7)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의 에어컨디셔너(1)에서 돌출된 공기 유출관(3)과 하부 덕트(7)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덕트 연결관(21)의 일측단에 형성된 체결관(25)에 상기 공기 유출관(3)이 삽입되도록 상호 체결하고 타측단의 체결관(27)에는 하부 덕트(7)의 일측단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삽입순서는 일측단의 체결관에 공기 유출관(3)을 끼운 상태에서 중단에 주름처리된 벨로우즈부(23)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압축하여 길이를 단축하고 이미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 상태의 하부 덕트(7) 끝단에 타측단의 체결관(27)을 위치한 후 벨로우즈부(23)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벨로우즈부(23)가 원위치되면서 하부 덕트(7)에 체결관(27)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각 체결관의 내,외주연에 형성된 포움재(29)(31)에 의하여 덕트 연결관(21)의 체결 및 분리시 완충작용을 한다.
한편 덕트 연결관(21)을 하부 덕트(7)와 에어컨디셔너(1)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벨로우즈부(23)를 잡아당겨 덕트 연결관(21)의 길이를 단축하여 하부 덕트(7)에서 체결관(27)을 이탈시켜 분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양측단에 각각 에어컨디셔너와 덕트에 끼워지는 체결관을 형성하고 중단에는 벨로우즈부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부위를 이중으로 커버하는 체결관에 의하여 공기의 유출을 미연에 차단하고 벨로우즈부에 의하여 조립시의 공차여유를 최대한 확보하여 설치 및 분해가 간편하므로써 조립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하부 덕트(7)와 에어컨디셔너(1)를 연결하는 덕트 구조에 있어서,
    일측단은 에어컨디셔너(1)의 공기 유출관(3)이 삽입되고 타측단은 하부 덕트(7)에 삽입되는 체결관(25)(27)을 종단에 형성하며 상기 일측 체결관의 내주연과 타측 체결관의 외주연에 각각 포움재(29)(31)가 형성되고 중단에 주름처리된 변형가능한 벨로우즈부(23)를 형성하는 덕트 연결관(21)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KR2019960055473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KR199800423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473U KR1998004236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473U KR1998004236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369U true KR19980042369U (ko) 1998-09-25

Family

ID=5399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473U KR1998004236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36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62B1 (ko) * 2000-08-24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일성 향상을 위한 배기매니폴드의 시일 조립 구조
KR100529169B1 (ko) * 2002-08-20 2005-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062B1 (ko) * 2000-08-24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일성 향상을 위한 배기매니폴드의 시일 조립 구조
KR100529169B1 (ko) * 2002-08-20 2005-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3125B1 (en) Headliner ventilation system with headliner air duct integrated with pillar air duct
US20150031279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KR19980042369U (ko)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너 체결용 덕트 연결관
JP3740979B2 (ja) ケース結合構造
JP2001246922A (ja) 自動車用空調ダクト付クロスメンバ
KR20050110134A (ko)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JPH06106956A (ja) 自動車用空調ダクトの結合部構造
KR1025123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9980042362U (ko) 자동차의 에어컨디셔닝 덕트
JPH029329Y2 (ko)
KR201600150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005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508589Y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ダクト構造
JP20042499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ケース構造
KR1013429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97626B1 (ko) 콘솔 덕트 오조립 방지핀을 구비한 차량 공조 장치
KR0139858Y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덕트 조립구조
JP4560972B2 (ja) 車両の空調装置およびその組付方法
JP2540896B2 (ja) 自動車用空調ダクトの結合構造
KR0116641Y1 (ko) 공기조화장치
KR20014628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커버와 디플레이터의 체결구조
KR20050117740A (ko) 차량용 호스형 에어덕트
KR0134511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Air conditioner for a car)
KR200307444Y1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KR200200664Y1 (ko) 덕트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