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444Y1 -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444Y1
KR200307444Y1 KR2019970042613U KR19970042613U KR200307444Y1 KR 200307444 Y1 KR200307444 Y1 KR 200307444Y1 KR 2019970042613 U KR2019970042613 U KR 2019970042613U KR 19970042613 U KR19970042613 U KR 19970042613U KR 200307444 Y1 KR200307444 Y1 KR 200307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ing
air
hea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944U (ko
Inventor
왕윤호
박성일
최종민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42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4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9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냉/난방시스템의 열교환기 및 블로워 등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블로워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소정위치로 배출하는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운전석 전방 대쉬보드 내부에 에이브이시스템을 설치할 때 이 에이브이시스템이 상기 대쉬보드 내부에 설치된 공조유니트에 간섭받지 않고 설치되도록 몸체의 후방 대략 중앙부분에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 양측에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 1,2 출구 한 쌍을 각각 돌출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냉/난방시스템의 열교환기 및 블로워 등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블로워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소정위치로 배출하는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공조유니트가 운전석 전방 대쉬보드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대쉬보드의 내부에 에이브이시스템(AV system)을 설치할 때 상기 에이브이시스템이 상기 공조유니트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몸체의 중앙을 요입되게 하고 그 양측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에이브이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동차에는 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되어 계절의 변화에 따라 차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냉/난방시스템은 공조유니트 내부에 각종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열교환된 공기를 차실내로 불어넣는 블로워 등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유니트의 출구와 연결된 덕트를 통해 차실내의 소정위치로 분산 배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냉방시스템의 열교환기와 난방시스템의 열교환기 사이 소정위치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열교환된 냉/난방공기를 공조유니트의 출구로 배출안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시스템의 열교환기와 블로워는 상기 공조유니트내부에 설치되는 데, 이 공조유니트는 상기 냉/난방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된다.
도 1 은 상기 공조유니트(10)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측단면의 형상은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몸체의 상부 상부공간(11)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차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블로워(2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간(11) 하부 격벽(12)을 경계로 상부공간(11)과 연속된 하부공간(13) 양측에는 냉/난방시스템 열교환기인 증발기(30)와 히터코어(4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하부공간(13)과 연속된 상부 중앙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할 수 있게 제 1,2 출구(14)(15)가 통공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0)의 하부에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드레인파이프(1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조유니트(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쉬보드(50)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대쉬보드(50) 내부 후방, 즉 운전석 전방에는 도면과 같이 오디오가 설치되는 데, 상기 오디오(60)가 설치되는 공간, 다시 말해 대쉬보드(50)의 후방과 그 내부에 설치된 공조유니트(10) 사이의 폭이 넓지 않아 상기 오디오(60)가 겨우 장착될 정도이다.
따라서 최근에 개발된 에이브이시스템(70), 즉 오디오(60)와 텔레비젼 기능 뿐만 아니라 주행중인 자동차의 목적지까지의 도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가진 에이브이시스템(70)을 장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에이브이시스템(70)은 각종 복합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어 그 부피가 도 1 과 같이 커짐에 따라 상기 대쉬보드(50)의 내측 후방벽과 그 내부에 장착된 상기 공조유니트(10) 후방벽 사이의 폭이 너무 좁아 상기 에이브이시스템(70)을 수용하지 못하여 이를 장착하는 못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상기 종래 오디오(60)설치 공간이 너무 좁아 부피가 상기 오디오(60)보다 큰 에이브이시스템(70)을 장착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에이브이시스템(7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대쉬보드(50)의 내부 공간을 더 확보하여 상기 공조유니트(1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장착해야 하는 데, 이 공간 확보가 어려움에 따라 이를 위한 필요부분의 설계변경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제작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조유니트의 몸체 일부를 요입되게 하여 대쉬보드의 후방과 공조유니트와의 사이에 에이브이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공조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공조유니트는 몸체의 후방 중앙부분을 내측으로 요입되게 하고, 그 요입된 양측에 상기 공조유니트 내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 1,2 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공조유니트 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공조유니트 측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 요입부 160,170 : 제 1,2 출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공조유니트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냉/난방시스템의 열교환기 및 블로워 등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블로워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소정위치로 배출하는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쉬보드와 그 내부에 조립된 공조유니트와의 사이에 에이브이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공조유니트는 통상과 같이 몸체의 상부공간(110)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차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블로워(20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공간(110) 하부 격벽(120)을 경계로 상부공간(110)과 연속된 하부공간(130) 양측에는 냉/난방시스템 열교환기인 증발기(300)와 히터코어(40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300)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300)에서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파이프(140)가 연결된다.
이러한 공조유니트에 있어서, 본 고안의 공조유니트(100)는 운전석 전방 대쉬보드(500) 내부에 에이브이시스템(600)을 설치할 때 이 에이브이시스템(600)이 상기 대쉬보드(500) 내부에 설치된 공조유니트(100)에 간섭받지 않고 설치되도록 몸체의 후방 대략 중앙부분에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150)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150) 양측에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 1,2 출구(160)(170) 한 쌍을 각각 돌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요입부(150)로 공조유니트(100)의 전방이 삽입되어 자동차의 다른 부분을 설계변경하지 않고도 상기 부피가 큰 에이브이시스템(600)을 운전석 전방 대쉬보드(500)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설계변경 없이도 에이브이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하여 자동차의 설계변경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공수 및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 냉/난방시스템의 열교환기와 블로우 등을 설치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방향을 제 1,2 출구로 제어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에 있어서,
    운전석 전방 대쉬보드 내부에 에이브이시스템을 설치할 때 이 에이브이시스템이 상기 대쉬보드 내부에 설치된 공조유니트에 간섭받지 않고 설치되도록 몸체의 후방 대략 중앙부분에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 양측에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 1,2 출구 한 쌍을 각각 돌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KR2019970042613U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KR200307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613U KR200307444Y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613U KR200307444Y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944U KR19990029944U (ko) 1999-07-26
KR200307444Y1 true KR200307444Y1 (ko) 2003-06-18

Family

ID=4933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613U KR200307444Y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944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6526B1 (en) Air condenser, coolant system, and o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US20030019619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US20020104330A1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0307444Y1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
JP5127204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6533025B1 (en) Instrumental panel support
KR101396437B1 (ko)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73312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히터코어 파이프의 커버구조
JP3136534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3800451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3136942A (ja) 空調装置の車両搭載構造および車両搭載方法
JPS5977918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CN216683998U (zh) 一种外装式汽车空调装置
KR100401756B1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닝 시스템의 블로어 유니트 구조
JP2000135922A (ja) 車両用エアコンユニット
JP389099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42499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ケース構造
KR100209038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난방기/냉방기 유닛
JP2001105831A (ja)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
JP200004355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45272B1 (ko) 자동차용공조유니트
KR20140112930A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JPH05104936A (ja) 車両用空調ユニツト
KR1014009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249920A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