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37B1 -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37B1
KR101396437B1 KR1020080006405A KR20080006405A KR101396437B1 KR 101396437 B1 KR101396437 B1 KR 101396437B1 KR 1020080006405 A KR1020080006405 A KR 1020080006405A KR 20080006405 A KR20080006405 A KR 20080006405A KR 101396437 B1 KR101396437 B1 KR 101396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ank
evaporator
lower header
tank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577A (ko
Inventor
오광헌
임홍영
전영하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5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헤더탱크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증발기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300)는 일측 면에 튜브삽입홀(322)이 형성되는 헤더(321),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326), 및 상기 헤더(321)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탱크(3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321)의 튜브삽입홀(3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3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연통되어 상기 증발기(300)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배수로(370)의 양단부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측 옆면까지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증발기는 공조케이스와 접촉되는 하부 헤더탱크에 증 발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증발기가 공조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증발기 표면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상기 배수로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여 응축수에 의한 열교환성능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증발기의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증발기, 공조장치, 응축수, 엔드캡, 홈

Description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Evaporator And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same}
본 발명은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헤더탱크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증발기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자동차의 유리창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로,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 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냉기통로와 온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 어(15);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냉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14)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증발기(E)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기통로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난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를 개방함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는 온기통로를 통하여 상기 히터코어(H)를 거치면서 상기 히터코어(H)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뀌게 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특히, 상기 증발기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한 구성요소로, 열교환기의 한 종류이며,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자동차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방장치이다.
상기 증발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 및 하부 헤더탱크; 상기 상부 헤더탱크 및 하부 헤더탱크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증발기는 내부에 온도가 낮은 열교환매체가 순환되고 상기 열교환매체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자동차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방장치이므로, 상기 증발기의 내부 및 표면의 온도가 주위보다 낮아져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그대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는 공기의 유동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증발기와 공기와의 열교환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증발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증발기(E)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 및 하부 헤더탱크(2); 상기 상부 헤더탱크(1) 및 하부 헤더탱크(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 상기 튜브(3) 사이에 개재되는 핀(4);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증발기(E)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2)의 상기 튜브(3)와 접하는 면은 공기 흐름 하류측이 통풍방향의 중앙측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도 2에 도시한 증발기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2)의 상기 튜브와 접하는 면이 양측으로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증발기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밀착되어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진동 및 소음 등이 유발되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공기 흐름 상류측 방향에 존재하는 응축수는 바로 배출될 수 있으나, 상기 하부 헤더탱크의 공기 흐름 하류측 방향의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와 공조케이스의 접촉에 의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고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도시한 증발기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실제 배수성능은 기대에 못 미치게 되며, 특히, 상기 헤더탱크 내부에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을 고정하기 위한 격벽삽입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응축수의 배수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헤더탱크에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와 공조케이스를 밀착 고정하여 응축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증발기(300)는 일측 면에 튜브삽입홀(322)이 형성되는 헤더(321),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326), 및 상기 헤더(321)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탱크(3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321)의 튜브삽입홀(3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3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연통되어 상기 증발기(300)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배수로(370)의 양 단부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측 옆면까지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탱크(323)는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강도보강용 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3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탱크(323)는 상기 격벽(326)을 고정하는 격벽삽입부(32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격벽삽입부(324)는 양측의 홈(325)을 연결하여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일정 부분이 삭제되어 상기 배수로(3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는 양 단부의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내측으로 단차지며 상기 탱크(3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로(370)와 연결되는 단차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가 상기 단차부(328)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탭(327')이 형성된 엔드캡(327)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증발기(300)는 일측 면에 튜브삽입홀(322)이 형성되는 헤더(321),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326), 및 상기 헤더(321)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탱크(3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 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321)의 튜브삽입홀(3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3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는 양 단부의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내측으로 단차지며 상기 제2배수로(372)와 연결되는 단차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를 밀폐하는 엔드캡(327)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단차부(328)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탭(32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0, 120, 13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술한 바에 의한 증발기(300); 및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코어(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밀착되는 영역에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상기 배수로(370)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370)의 영역을 확장하는 제 1 배수홈(101)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공조케이스(110) 사이에 상기 증발기(300)의 하측을 감싸는 실링부재(140)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14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상기 배수로(370)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370)의 영역을 확장하는 제 2 배수홈(141)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증발기는 공조케이스와 접촉되는 하부 헤더탱크에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배수로를 형성하여 증발기가 공조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증발기 표면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상기 배수로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여 응축수에 의한 열교환성능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증발기의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증발기(300) 및 상기 증발기(300)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AA' 단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증발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7a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CC' 단면도이며, 도 7b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DD'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증발기의 응축수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증발기의 응축수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발기(300)는 일측 면에 튜브삽입홀(322)이 형성되는 헤더(321),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326), 및 상기 헤더(321)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격벽(326)을 고정하는 격벽삽입부(32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탱크(3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321)의 튜브삽입홀(3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3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370)는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배수로(370)의 양단부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측 옆면까지 연속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증발기(300)를 측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일측 면에서 타측 면까지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증발기(300)는 상기 공기 흐름 하류측에 응축수가 흘러내린다 하더라도 상기 배수로(370)를 통해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상류측으로 이동되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증발기(300)를 도시한 사시도에서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이 보이도록 하부 헤더탱크(320)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다.
상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상기 도 3의 AA', BB'의 단면도로, 상기 도 4a의 배수로(37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상기 도 4b에 도시한 하부 헤더탱크(32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함입되는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70)의 일측 옆면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도면에서 상면)을 거쳐 타측 옆면까지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370)를 따라 응축수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300)의 사시도로서, 상기 도 5에 도시한 증발기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더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도 5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의 둘레면에 상기 하 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단차지며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로(370)와 연결되는 단차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가 상기 단차부(3280)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탭(327')이 형성된 엔드캡(327)에 의해 밀폐된다.
종래의 증발기(30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하부 헤더탱크(320)의 면에 상기 고정탭(327')이 형성되는 경우에, 응축수가 상기 고정탭(327')에 걸려 배수가 원활히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증발기(300)는 상기 엔드캡(327)이 구비되는 상기 탱크(323)의 양 단부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단차진 단차부(328)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이 삭제되도록 하고, 상기 단차부(328)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로(370)와 연결되어 배수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300)의 다른 형태로서,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증발기(300)는 상기 탱크(323)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격벽(326)을 고정하는 격벽삽입부(324)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370)가 상기 탱크(322)의 둘레면에 강도보강을 위해 형성되는 강도보강용 홈(325)에 의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홈(325)에 의해 배수로(370)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삽입부(324)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증발기(300)의 하류측과 상류측은 상기 격벽삽입부(324) 에 의해 단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격벽삽입부(324)는 양측의 홈(325)을 연결하여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일정 부분이 삭제되어 완벽한 배수로(370)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격벽삽입부(324)는 상기 배수로(370)를 형성하도록 상기 홈(325) 사이의 일정 부분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370)는 상기 탱크(323)의 일측 홈(325), 격벽삽입부(324)의 삭제부분, 및 타측 홈(325)의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게 된다.
상기 일측 홈(325) 및 타측 홈(325)란 하나의 하부 헤더탱크(320)를 형성하는 탱크(323)의 상기 격벽삽입부(324) 양측에 형성된 홈(325) 한 쌍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 홈(325)은 공기 흐름 하류측에 상기 타측 홈(325)은 공기 흐름 상류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홈(325)은 상기 탱크(323)의 강도보강을 위해 형성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증발기(300)는 상기 탱크(323)의 홈(325)을 이용하여 상기 홈(325)과 연통되는 격벽삽입부(324)를 일정 영역 삭제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증발기(300)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의 배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증발기(300)는 종래의 증발기(300)가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하류측 방향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하측 영역에 밀착되므로 상기 증발기(300)는 공기 흐름 하류측 방향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지만 상기 증발기(300)와 공조케이스(110)가 진동 및 소음 등을 방지 하기 위해 밀착고정됨에 따라 그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홈(325)과 연통되는 격벽삽입부(324)의 일정 부분을 삭제하는(일정 영역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함입) 방법으로, 상기 탱크(323)가 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탱크(323) 형상을 갖도록 폴딩하는 공정 이 전에 일정 깊이를 갖는 홈(32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수로(370)를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삽입부(324)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상기 격벽삽입부(324)에 삽입되는 격벽(326)의 일부도 상기 격벽삽입부(324)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증발기(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증발기(300)의 응축수 흐름도이다.
상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증발기(300)는 상기 격벽삽입부(324)의 형태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응축수의 배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의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단차지는 단차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가 상기 단차부(328)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탭(327')이 형성된 엔드캡(327)에 의해 밀폐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328)는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결하여 상기 격벽삽입부(324)의 양측을 따라 이동 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배수로(37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차부(328)는 상기 강도보강용 홈(325)이 형성된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단차부(328)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엔드캡(327)의 고정탭(32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와 접촉되는 하부 헤더탱크(320) 면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단차부(328)가 형성하는 배수로(370)를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300)의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증발기(300)는 일측 면에 튜브삽입홀(322)이 형성되는 헤더(321),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326), 및 상기 헤더(321)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탱크(3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321)의 튜브삽입홀(3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3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양 단부의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 크(320)의 내측으로 단차지며 상기 제2배수로(372)와 연결되는 단차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를 밀폐하는 엔드캡(327)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단차부(328)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탭(32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11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로(370)에 의해 안내된 응축수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328)를 통해 배수되도록 한 구조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0, 120, 13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증발기(300); 및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코어(400);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2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의 기본 몸체로 상기 증발기(300) 및 히터코어(400)가 구비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의 개략도로, 상기 도 8에 도시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자동차 실내의 차창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10)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120)와, 자동차 실내의 앞좌석 바닥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Floor Vent, 130)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110, 120, 130)들은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그 개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13은 상기 도 12에 도시한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의 측면도로,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300)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밀착되도록 고정되면서도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공조케이스(110) 사이에 배수로(37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370)를 통해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배수성능을 더욱 확산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로(370)의 영역을 확장하는 배수홈(101, 1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도 14에 도시한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의 단면도로, 상기 도 14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증발기(300)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증발기(300)가 갖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밀착되는 공조케이스(110) 면에 상기 배수로(370)의 영역을 확장하는 제 1 배수홈(101)이 복수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공조케이스(110) 사이에는 차체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이 발생됨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링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므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14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접하는 면에는 상기 배수로(370)의 영역을 확장하는 제 2 배수홈(1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증발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사시도.
도 4a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AA' 단면도.
도 4b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증발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또 다른 사시도.
도 7a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CC' 단면도.
도 7b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DD'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증발기의 응축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의 또 다른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증발기의 응축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증발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개략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 도시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5는 상기 도 14에 도시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다른 분해 사시도.
도 17은 상기 도 16에 도시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자동차용 공조장치
100 : 공조케이스 101 : 제 1 배수홈
110, 120, 130 : 벤트
110d, 120d, 130d : 도어
140 : 실링부재 141 : 제 2 배수홈
200 : 송풍부
300 : 증발기
310 : 상부 헤더탱크
320 : 하부 헤더탱크
321 : 헤더 322 : 튜브삽입홀
323 : 탱크 324 : 격벽삽입부
325 : 홈 326 : 격벽
327 : 엔드캡 328 : 단차부
330 : 입구파이프
340 : 출구 파이프
350 : 튜브
360 : 핀
370 : 배수로
400 : 히터코어

Claims (10)

  1. 일측 면에 튜브삽입홀(322)이 형성되는 헤더(321),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326), 및 상기 헤더(321)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탱크(3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321)의 튜브삽입홀(3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3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연통되어 상기 증발기(300)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배수로(370)의 양단부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측 옆면까지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탱크(323)는 상기 격벽(326)을 고정하는 격벽삽입부(32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격벽삽입부(324)는 양측의 홈(325)을 연결하여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일정 부분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3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323)는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강도보강용 홈(325)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3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는 양 단부의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내측으로 단차지며 상기 탱크(3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로(370)와 연결되는 단차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가 상기 단차부(328)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탭(327')이 형성된 엔드캡(327)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6. 일측 면에 튜브삽입홀(322)이 형성되는 헤더(321), 내부 격실을 구획하는 격벽(326), 및 상기 헤더(321)와 결합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탱크(3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헤더탱크(310) 및 하부 헤더탱크(320); 상기 상부 헤더탱크(310) 또는 하부 헤더탱크(320)에 각각 구비되는 입구파이프(330) 및 출구파이프(340); 상기 헤더(321)의 튜브삽입홀(32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50); 및 상기 튜브(350) 사이에 개재되는 핀(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3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공조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측으로 오목한 배수로(370)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탱크(323)는 상기 격벽(326)을 고정하는 격벽삽입부(32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격벽삽입부(324)는 양측의 홈(325)을 연결하여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일정 부분이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로(3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는
    양 단부의 둘레면에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내측으로 단차지며 상기 배수로(370)와 연결되는 단차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의 양 단부를 밀폐하는 엔드캡(327)은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 단차부(328)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탭(32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8. 각각의 도어(110d, 120d, 1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0, 120, 13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의한 증발기(300); 및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코어(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밀착되는 영역에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상기 배수로(370)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370)의 영역을 확장하는 제 1 배수홈(101)이 복 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 헤더탱크(320)와 공조케이스(110) 사이에 상기 증발기(300)의 하측을 감싸는 실링부재(140)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140)는 상기 하부 헤더탱크(320)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상기 배수로(370)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로(370)의 영역을 확장하는 제 2 배수홈(141)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0080006405A 2008-01-22 2008-01-22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396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05A KR101396437B1 (ko) 2008-01-22 2008-01-22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05A KR101396437B1 (ko) 2008-01-22 2008-01-22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77A KR20090080577A (ko) 2009-07-27
KR101396437B1 true KR101396437B1 (ko) 2014-05-19

Family

ID=4129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405A KR101396437B1 (ko) 2008-01-22 2008-01-22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411B1 (ko) * 2015-04-20 2020-07-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용 앤드 캡
DE102017218818A1 (de) * 2017-10-20 2019-04-25 Mahle International Gmbh Wärmeübertrager
DE102017218810A1 (de) * 2017-10-20 2019-04-25 Mahle International Gmbh Sammelkasten eines Wärmeübertrag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52A (ja) * 1993-05-19 1995-07-11 Nippondenso Co Ltd 空気調和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および排水ケース
JPH11240326A (ja) * 1997-12-22 1999-09-07 Denso Corp 空調ユニットの排水構造
JP2004316976A (ja) * 2003-04-14 2004-11-11 Japan Climate Systems Corp 熱交換器
JP2006194576A (ja) 2004-12-16 2006-07-27 Showa Denko Kk エバポレ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52A (ja) * 1993-05-19 1995-07-11 Nippondenso Co Ltd 空気調和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および排水ケース
JPH11240326A (ja) * 1997-12-22 1999-09-07 Denso Corp 空調ユニットの排水構造
JP2004316976A (ja) * 2003-04-14 2004-11-11 Japan Climate Systems Corp 熱交換器
JP2006194576A (ja) 2004-12-16 2006-07-27 Showa Denko Kk エバポ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77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96437B1 (ko)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543611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73312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히터코어 파이프의 커버구조
JP2007099107A (ja) 車両用空調装置
US1166717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6614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28227B1 (ko) 열교환기
KR100822564B1 (ko) 일체형 열교환기 및 이것을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049763A (ko) 축냉 열교환기
KR1021333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76861B2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取付構造
JP200524711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4125116A (ja) 車載用空調装置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KR2005011149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52547B1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KR101151524B1 (ko) 자동차 공조케이스의 히터코어 장착구조
KR20150098881A (ko)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237803B1 (ko) 자동차용 공조케이스
KR10037903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2101551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498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62743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2127737A (ja) 車輌用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