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547B1 -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547B1
KR100652547B1 KR1020000074336A KR20000074336A KR100652547B1 KR 100652547 B1 KR100652547 B1 KR 100652547B1 KR 1020000074336 A KR1020000074336 A KR 1020000074336A KR 20000074336 A KR20000074336 A KR 20000074336A KR 100652547 B1 KR100652547 B1 KR 10065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vehicle
outlet
ven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045A (ko
Inventor
김재형
김용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5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시스템의 열교환기내의 작업유체가 외기와 열교환 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가 자동차의 경사진 곳의 주행으로 인하여 공조유니트가 경사질 때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깨끗한 차내 환경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리어벤트출구 내측 선단부에 차단벽이 소정길이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A device for preventing condensed water from inflown in a car air conditioning unit}
도 1 은 종래 유니트의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유니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공조유니트 140 : 리어벤트출구
190 : 차단벽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시스템의 열교환기 및 블로어 등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의 소정위치로 배출하는 공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시스템의 열교환기(증발기)내의 작업유체가 외기와 열교환 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가 자동차의 경사진 곳의 주행으로 인하여 공조유니트가 경사질 때 차실내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깨끗한 차내 환경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공조시스템은 작업유체가 흐르는 유로상에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이 작업유체가 상기 열교환기내를 통과할 때 유로밖의 외기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외기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차실내로 불어넣게 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작업유체를 외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또는 이 열교환된 공기를 차실내로 불어넣는 블로어장치 등은 공조유니트 내부에 설치되는 데, 본 명세서에서는 도 1 과 같이 내부에 열교환기인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가 설치된 통상의 공조유니트(10)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공조유니트(10)는 몸체(11)가 한 쌍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유체와 열교환된 외기를 자동차 실내의 소정위치로 분배되게 배출할 수 있게 몸체(11)의 상부에는 디프로스트출구(12)와 프런트벤트출구(13) 그리고 하부 일측에는 리어벤트출구(14)와 리어플로출구(15)가 각각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0) 또는 히터코어(30)에서 열교환된 외기가 상기 리어플로출구(15)로 원활하게 배출안내할 수 있게 몸체(11)의 측벽을 따라 가이드벽(16)이 일정거리 연장되어 그 단부가 개구된다.
그리고 냉,난방시 상기 증발기(20) 또는 히터코어(30)를 지나 공급되는 공기가 운잔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출구로 적절하게 되는 복수개의 도어(1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조유니트(10)는 몸체(11)의 하부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 소정위치에는 드레인파이프(18)가 돌출되어 상기 증발기(20)내의 작업유체와 외 기가 열교환할 때 생성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조유니트(10) 내부에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있어 냉방 또는 난방시스템을 가동하게 되면, 상기 유로상의 작업유체가 증발기(20) 또는 히터코어(30)로 유입되어 외기와 열교환한 다음 다시 유로상으로 배출되는 데, 이 때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에서 열교환된 외기는 상기 도어(17)의 개방으로 확보된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몸체(11)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각각의 출구(12)(13)(14)(15)로 배출되어 차실내로 배출되어 차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그리고 냉방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20) 내부에는 저온의 작업유체가 흐르면서 외기열을 흡열하므로써 열교환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 때 더운 외기가 상기 증발기(20)내의 저온의 작업유체에 열을 빼앗겨 상기 외기가 포화수증기상태가 되고 이 시점(이슬점) 이후에 열을 더 빼앗기게 되면 상기 외기는 응축되어 증발기(20) 주변에서 응축수 형태로 집수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외기의 습도가 높게 되면 이와 비례하여 이슬점의 온도도 높아져 비교적 고온에서도 응축수가 생성되어 그 양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증발기(20) 주변에서 생성된 많은 양의 응축수를 집수하여 이를 차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유니트(10) 하부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드레인파이프(18)가 돌출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 응축수가 자동차 주행중에 상기 공조유니트(10)의 하부 리어벤트출구(14)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상기 공조유니트(10) 하부에 개구된 리어벤트출구(14)가 몸체(11)의 저면에서부터 높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가 경사진 곳을 주행하게 되면, 상기 공조유니트(10)도 동시에 경사지게 되는 데, 이 때 상기 공조유니트(10)가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져 리어벤트출구(14)가 거의 수평상태에 이르게 될 때 상기 증발기(20) 하부에 집수된 응축수는 급작스런 이동으로 드레인파이프(18)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상기 리어벤트출구(14)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집수된 응축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급정지에 따르는 관성력에 의해서도 상기 응축수가 드레인파이프(18)로 배출되지 않고 역시 리어벤트출구(14)를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응축수가 차실내로 유입되면 이 응축수는 눈에 잘 보이지 않아 그 대로 방치되어 냄새를 일으키는 등 차실내의 환경을 해치는 주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과제는 증발기 주변에 집수된 응축수가 자동차의 경사진 곳의 주행으로 인하여 공조유니트가 경사질 때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깨끗한 차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는 리어벤트출구(14) 내부 선단부에 차단벽을 소정길이 돌출구성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유니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조유니트(100)는 통상에서와 같이 열교환기인 증발기(200)와 히터코어(300)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110)가 한 쌍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몸체(110)의 상부에는 디프로스트출구(120)와 프런트벤트출구(130) 그리고 하부 일측에는 리어벤트출구(140)와 리어플로출구(150)가 각각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외기가 상기 리어플로출구(150)로 유입될 수 있게 몸체(110)의 측벽을 따라 가이드벽(160)이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각각의 출구(120)(130)(140)(150)에는 복수개의 도어(170)가 설치되어 열교환된 외기가 상기 각각의 출구(120)(130)(140)(150)로 적절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몸체(110)의 하부 증발기(200)와 히터코어(300) 사이 소정위치에는 드레인파이프(180)가 설치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유니트(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는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경사진 곳의 주행으로 상기 공조유니트(100)가 소정각도로 경사질 때 증발기(20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리어벤트출구(140)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벤트출구(140) 내측 선단부에 차단벽(190)을 소정각도에서 소정길이만큼 연장시켜 리어벤트출구(140)가 어느 정도 열려져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차단벽(190)은 도면에서 나타내고 있듯이 리어벤트출구(140) 내측 선단 하부에서 소정각도에서 소정길이 연장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공조유니트(100) 하부평면을 기준으로 그 기울기가 60-70도이고, 그 연장된 길이는 냉,난방된 공기가 리어벤트출구(140) 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차단벽(190)의 상단부가 상기 공조유니트(100)의 외측벽으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된 적절한 길이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리어벤트출구(140)가 몸체(110)의 저면과 근접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차단벽(190)이 상기 리어벤트출구(140)의 하단부를 차단함으로써 자동차가 경사진 곳의 주행으로 인하여 상기 공조유니트(100)가 우측으로 경사지더라도 응축수가 상기 리어벤트출구(140)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차단벽(190)이 상기 리어벤트출구(140)에 설치되었으나, 상기 공조유니트(100)가 경사질 때 응축수가 차실내로 배출되는 다른 모든 공조유니트(100)의 출구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벽이 차실내로 유입되어 냄새의 주원인이 되는 응축수를 차단하여 차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유로상의 작업유체를 유로밖의 외기와 열교환할 수 있게 내부에 냉/난방시스템의 열교환기인 증발기와 히터코어가 설치되고, 이 각각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자동차 내부로 분배 배출할 수 있게 상부에는 프런트벤트출구 및 디프로스트출구 그리고 하부에는 리어벤트출구 및 리어플로출구가 개구되며, 상기 각각의 출구들에는 상기 작업유체와 열교환된 외기의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각각의 출구로 적절하게 배출할 수 있게 복수개의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에 있어서,
    자동차가 경사진 곳을 주행할 때, 공조유니트가 소정각도로 경사짐으로 인하여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리어벤트출구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벤트출구 내측 선단부에 차단벽을 소정각도에서 소정길이만큼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리어벤트출구 내측 선단 하부에서 공조유니트 하부평면을 기준으로 그 기울기가 60-70도가 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KR1020000074336A 2000-12-07 2000-12-07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KR10065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336A KR100652547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336A KR100652547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045A KR20020045045A (ko) 2002-06-19
KR100652547B1 true KR100652547B1 (ko) 2006-12-01

Family

ID=2768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336A KR100652547B1 (ko) 2000-12-07 2000-12-07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5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045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09004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652547B1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차실내 유입방지장치
KR101396437B1 (ko)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가 구비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72694B1 (ko) 자동차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US1166717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610904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JP3800451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759424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JP5962499B2 (ja) 車載用空調装置
KR202100562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3611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101340477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쿨박스 성능 향상장치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KR20040063603A (ko) 자동차용 리어 공조장치
JP4524939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19606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42132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100790383B1 (ko) 차량용 후석 공기조화장치
KR1008213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97194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9990038154U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응축수 배출구조
JP200920874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50112279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