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870U -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870U
KR19980040870U KR2019960053951U KR19960053951U KR19980040870U KR 19980040870 U KR19980040870 U KR 19980040870U KR 2019960053951 U KR2019960053951 U KR 2019960053951U KR 19960053951 U KR19960053951 U KR 19960053951U KR 19980040870 U KR19980040870 U KR 19980040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uide mechanism
fuel injection
pipe
fu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3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870U/ko
Publication of KR19980040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87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연료 파이프(1)의 주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연료 파이프(2)를 통해 주입된 연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구로서, 상기 연료 파이프(1)내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연료의 흐름을 나선형으로 유도하는 나선체(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가 주입되는 주입구 부분의 연료 파이프에 구비되는 연료가 비산되지 않는 연료 파이프내로 원활히 주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에서 연장된 연료 파이프는 리어 펜더에 설치된 필러 박스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 정면은 필러 리드에 의해 차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료 파이프의 주입구에는 연료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한 캡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필러 리드를 개방시키고 캡을 푼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주입기(2)를 연료 파이프(1)의 주입구를 통해 집어 넣어서 연료를 연료 탱크로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연료 주입기(2)의 끝단에는 연료 파이프(1)에서 연료가 범람되면 이를 감지하여 즉시 연료 주입을 멈추도록 하는 센서(3)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료 주입기(2)에서 주입된 연료가 연료 파이프(1)의 내벽에 부딪힌 후, 내부로 흐르지 않고 범람하듯이 비산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연료 주입기(2)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되어, 연료 주입이 지체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연료 주입방식으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 파이프로 주입된 연료가 비산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연료 파이프내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여, 연료 주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 주입방식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료 파이프 2:연료주입기
3:센서 4:나선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료 파이프의 주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연료 주입기를 통해 주입된 연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구로서,
상기 연료 파이프내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연료의 흐름을 나선형으로 유도하는 나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선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연료 주입기를 통해 연료 파이프내로 주입된 연료는 사선체를 따라 나선형으로 하향이동되므로써, 연료가 비산되어 센서에 의해 연료 주입기가 정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방으로 이루어진 나선체(4)가 주입구 부분의 연료 파이프(1)에 내장되어, 각 상하단이 연료 파이프(1)의 내주벽에 고정된다. 특히, 나선체(4)는 연료 주입기(2)에서 주입된 연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두께는 매우 얇고 또한 피치거리도 매우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나선체(4)로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연료 주입기(2)에서 연료 파이프(1)내로 공급된 연료는 나선체(4)를 따라 나선운동을 하게 되어, 연료의 운동방향이 불규칙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연료가 비산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어, 비산된 연료를 센서가 감지하여 연료 주입기(2)를 정지시키는 상황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연료는 그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나선운동을 하면서 연료 파이프(1)내로 원활히 주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료 파이프(1)내에 설치된 나선체(4)에 의해 연료의 흐름이 나선운동으로 유도되어, 연료의 비산현상이 최대한 억제된다.
또한, 연료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나선운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써, 연료 주입의 보다 원활해지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연료 파이프의 주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연료 주입기를 통해 주입된 연료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구로서,
    상기 연료 파이프내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연료의 흐름을 나선형으로 유도하는 나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KR2019960053951U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KR199800408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951U KR19980040870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951U KR19980040870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870U true KR19980040870U (ko) 1998-09-15

Family

ID=5399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951U KR19980040870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87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460A (en) Refueling pipe structure in fuel tank
JP6177152B2 (ja) フィラーパイプ
JP2002283855A (ja) 自動車の燃料給油口構造
KR920007696A (ko) 노즐
SG42362A1 (en) WC-cistern filling valve
JPS5851057Y2 (ja) 燃料注入管装置
JP5888795B2 (ja) フィラーパイプ
KR19980040870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KR19980062951A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 가이드 기구
DE19606020B4 (de) Für den Einsatz in einem Kraftstoffbehälter eines Kraftfahrzeuges vorgesehene Saugstrahlpumpe
JP6667950B2 (ja) フィラーパイプ
KR19980040256A (ko) 연료 필러 파이프
JP6639273B2 (ja) フィラーパイプ
KR0113981Y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크리닝부재
JPS5915700Y2 (ja) 燃料タンクの注入口
JP2525748Y2 (ja) ウオツシヤタンクにおけるマウス構造
KR200148730Y1 (ko) 차량용 탱크의 오일주입부 구조
JPH0891061A (ja) 燃料タンクのフィラー構造
JPS5928905Y2 (ja) 燃料タンクの注入口
DE102005017519A1 (de) Kraftstoff-Fördereinheit
KR19980052996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 안내구조
JP2605390B2 (ja) フューエルタンク
JP2004026021A (ja) 給油パイプ構造
KR19980045763U (ko) 연료 탱크의 파이프 구조
KR0117808Y1 (ko) 차량의 워셔액 주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