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779A -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779A
KR19980039779A KR1019960058887A KR19960058887A KR19980039779A KR 19980039779 A KR19980039779 A KR 19980039779A KR 1019960058887 A KR1019960058887 A KR 1019960058887A KR 19960058887 A KR19960058887 A KR 19960058887A KR 19980039779 A KR19980039779 A KR 19980039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insulator
vehicle body
vehicle
engin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779A/ko
Publication of KR1998003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779A/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력 흡수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에 따라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진동에 따르는 소음의 발생방지 뿐 아니라, 조립작업의 간편화로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체(6) 측에 결합되는 장착단(30)과, 이 장착단(30)에 연장되어 일측으로 개구되는 안착부(32)(34)로 형성되는 차체 측 브라켓(10)과;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로 상기 차체(6) 측 브라켓(10)에 길이 반대방향으로 안착 결합되는 인슐레이터(12)와; 변속기 케이스(4) 측에 결합되는 장착단(30)과, 상기 인슐레이터(12)의 중앙부위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단(36)으로 형성되는 변속기 케이스 측 브라켓(8)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구동에 따르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지지하는 구조는 지지부분의 위치, 수, 구조 등을 엔진의 구조와 종류 및 섀시, 바디의 구조와 종류에 따라 진동을 완화하는 동시에 엔진의 무게에 견디는 능력을 갖도록 설계된다.
현재 보편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엔진의 마운팅(mounting) 방법은 4점(點), 또는 3점 지지방식이 있으며, 승용차에는 토오크 롤 축 지지방식을 채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토오크 롤 축 지지방식의 엔진마운팅 방법은 엔진의 앞쪽 지지 부분을 엔진의 중심과 뒤쪽 지지 부분을 잇는 중심 부근에 정하여 엔진마운팅 지점이 3점, 또는 4점 지지 방식보다 엔진의 중심에 가까우면서도 높은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4점 지지방식의 엔진 마운팅방법은 앞쪽 지지부분을 타이밍기어 케이스나 또는 엔진 전단에, 뒤쪽 지지부분을 클러치 하우징이나 또는 변속기 케이스의 후단 및 양쪽에 각각 지지토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지지방식에 따라 지지 고정되는 엔진은 도1에서와 같은 엔진마운트가 개재되는 상태로 차체(6)에 장착되며, 엔진과 연결되는 변속기 케이스 측(4)과 차체(6) 측에 고정 배치되는 브라켓(8)(10) 사이에 고무재로 된 인슐레이터(12)를 배치시켜 이 인슐레이터(12)로 하여금 브라켓(8)(10) 사이에서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나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도2 참조)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인슐레이터(12)는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상기한 변속기 케이스(4) 측의 브라켓(8) 일측에 양단이 결합된 인너튜브(14)가 그 축중심으로 관통되고, 상기 차체(6) 측의 브라켓(10)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한 인슐레이터(12)에는 인너튜브(14)의 주위 부분으로 진동력의 흡수한계를 높이기 위해 다수의 슬롯(16)이 형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엔진마운트는 인너튜브가 인슐레이터의 중심을 지나는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인너튜브에서 인슐레이터의 중심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력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엔진 및 변속기의 구동 및 작동에 따르는 진동력을 차체에 전달되어 차량의 승차감을 나쁘게 할 뿐 아니라, 진동에 따르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레이터의 탄력폭을 증대시켜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력 흡수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에 따라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에 따르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엔진마운트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2는 종래의 엔진마운트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3은 종래의 엔진마운트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트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트를 나타내는 일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차체 8, 10 : 브라켓
12 : 인슐레이터 30 : 장착단
32, 34 : 안착부 36 : 결합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측에 결합되는 장착단과, 이 장착단에 연장되어 일측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안착부로 형성되는 차체 측 브라켓과;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로 상기 차체 측 브라켓에 길이 반대방향으로 안착 결합되는 인슐레이터와; 변속기 케이스 측에 결합되는 장착단과, 상기 인슐레이터의 중앙부위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단으로 형성되는 엔진 측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의 엔진마운트와 중첩 설명되는 동일 부분에는 종래 도면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1에서와 같이 앞쪽 지지부분을 타이밍기어 케이스나 또는 엔진 전단에, 뒤쪽 지지부분을 클러치 하우징이나 또는 변속기 케이스(4)의 후단 및 양쪽에 각각 지지토록 한 지지방식에 따라 엔진을 차체(6)에 장착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엔진마운트에 관련되며, 특히 변속기 케이스(4)의 측부로 배치되는 엔진마운트에 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마운트는 도4에서와 같이 상기 변속기 케이스(4) 측과 차체(6) 측에 고정되는 브라켓(8)(10) 사이에 고무재로 된 인슐레이터(12)를 배치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슐레이터(12)에 의해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나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 흡수되도록 하고 있다.(도5 참조)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차체(6) 측 브라켓(10)은 상기 차체(6)에 결합되는 장착단(30)과, 이 장착단(30)에 연장되어 일측으로 개구되는 한 쌍의 안착부(32)(34)로 형성되어 이 안착부(32)(34)에 인슐레이터(12)가 길이 반대방향으로 안착되는 상태하에서 결합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변속기 케이스(4) 측의 브라켓(8)은 변속기 케이스(4) 측에 결합되는 장착단(30)과, 상기 인슐레이터(12)에 끼워지는 결합단(36)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12)는 상기 차체(6) 측 브라켓(10)의 안착부(32)(34)에 유격을 갖는 상태로 끼워져 안착되며, 서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착단(38)(40)이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단(38)(40) 들의 각 단부에는 플랜지(42)(44)가 각각 고정 형성되어 안착단(38)(40)들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12)의 안착단(38)(40) 중앙부위는 두께가 육성된 상태로 형성되고, 이에 길이반대 방향으로 뚫린 결합홀(46)에 변속기 케이스(4) 측의 브라켓(8)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인슐레이터(12)의 탄력적인 유동폭을 증대시켜 진동력의 흡수한계를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엔진마운트는 인슐레이터의 탄력폭을 증대시켜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력 흡수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에 따라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에 따르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조립작업의 간편화로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차체(6) 측에 결합되는 장착단(30)과, 이 장착단(30)에 연장되어 일측으로 개구되는 안착부(32)(34)로 형성되는 차체 측 브라켓(10)과;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로 상기 차체(6) 측 브라켓(10)에 길이 반대방향으로 안착 결합되는 인슐레이터(12)와;
    변속기 케이스(4) 측에 결합되는 장착단(30)과, 상기 인슐레이터(12)의 중앙부위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단(36)으로 형성되는 변속기 케이스 측 브라켓(8)
    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12)는
    안착단(38)(40)의 각 단부에 플랜지(42)(44)가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1019960058887A 1996-11-28 1996-11-28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19980039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887A KR19980039779A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887A KR19980039779A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79A true KR19980039779A (ko) 1998-08-17

Family

ID=6648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887A KR19980039779A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7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7188B2 (ja) 自動車用エンジンマウント
KR19980039779A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JP3827306B2 (ja) 車両用変速レバー
KR19980030735A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터
CN220566582U (zh) 一种转向器防尘罩和车辆
KR100384105B1 (ko) 차량용엔진마운팅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19980030736A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터
KR013519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구조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0120837Y1 (ko) 자동차용 토션바가 장착되는 콘트롤 암의 체결구조
KR100364268B1 (ko) 자동차용 차동기어케이스의 장착구조
KR100391205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팅의 설치구조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9980049024A (ko) 서브프레임의 지지구조
KR19980028842U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0118462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이중 진동흡수구조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20050070852A (ko) 자동차용 프론트사이드멤버의 엔진 마운팅구조
KR100461363B1 (ko) 자동차의 변속기마운팅브라켓트
KR20010002071U (ko) 자동차용 스트러트 바
KR19980024118U (ko) 결합성 향상을 위한 조향축의 인터미디트 샤프트
KR20040029779A (ko) 자동차용 엔진룸의 변속기 고정구조
KR19980027854U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20050047997A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74842A (ko) 자동차용 엔진의 마운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