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456A -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456A
KR19980037456A KR1019960056206A KR19960056206A KR19980037456A KR 19980037456 A KR19980037456 A KR 19980037456A KR 1019960056206 A KR1019960056206 A KR 1019960056206A KR 19960056206 A KR19960056206 A KR 19960056206A KR 19980037456 A KR19980037456 A KR 19980037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ehicle
opening
closing mean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456A/ko
Publication of KR1998003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456A/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스터 실린더와 하이드로릭 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관에는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작동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이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속감지센서와 브레이크 작동스위치 및 드라이브 샤프트의 토우크 등의 종합적인 입력신호를 받아 개폐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정차시 핸드 브레이크 없이도 차량이 후방으로 밀려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터 실린더와 하이드로릭 유니트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이 솔레노이드 밸브가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이 경사면에서 일시적으로 정차 후 다시 출발하는 경우에도 차량이 뒷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는, 첨부도면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패달과 연결설치되어서 일체로 작동되는 마스터 실린더(10)와, 이 마스터 실린더(10)에서 발생된 유압을 각 작동실린더로 제공하는 하이드로릭 유니트(20 : hydraulic unit)와, 브레이크 드럼내에 설치된 각 작동실린더 및 이것들(10), (20)이 연관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관(1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패달을 밞는 경우에만 작동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경사로에서 출발하는 경우 차량이 뒷쪽으로 밀려나면서 후방 차량과 접촉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스터 실린더와 하이드로릭 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고, 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가속패달이 개도되는 정도와 드라이브 샤프트의 토르크 및 드라이브 샤프트 토우크의 발생 등에 따른 종합적인 입력신호를 받은 전자제어유니트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사로에서 차량이 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조건하에서 핸드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갖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스터 실린더11 : 연결관
12 : 개폐수단20 : 하이드로릭 유니트
30 : 전자제어유니트31 : 스로틀 포지션 센서
32 : 드라이브 샤프트33 : 차속감지센서
34 :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10)와 하이드로릭 유니트(20)가 서로 연관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쌍의 연결관(11)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관(11)에는 전자제어유니트(30)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수단(12)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개폐수단(12)은 차속이 0Km/h가 되는 동시에 브레이크작동스위치(34)가 온(ON)이 되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31)의 입력신호 및 드라이브 샤프트(32)에 토우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 온(ON) 되어 작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수단(12)은 솔레노이드 밸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면부호 10은 마스터 실린더를, 11은 연결관을, 20은 하이드로릭 유니트를, 30은 전자제어유니트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10)와 이 마스터 실린더(10)에서 발생된 유압을 각 휠에 골고루 분배해 주는 하이드로릭 유니트(20) 사이에 서로 연관가능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연결관(11)에 각각 전자제어유니트(30)의 제어를 받는 개폐수단(12)을 설치하여서, 브레이크 패달을 밞는 경우 그 상태에 따라 이 개폐수단(12)이 브레이크 드럼의 작동실린더에 공급된 유압이 다시 마스터 실린더(10)로 되돌아 오는 것을 막아 핸드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개폐수단(12)은 공지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의 제어를 받아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항상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고, 주정차시와 같이 일시적으로 차량이 멈추어 서는 경우에는 핸드 브레이크 기능을 갖게 된다.
특히,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는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게 되며, 파악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12)의 개폐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는 상기 개폐수단(12)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31, 이하 센서라 한다)의 신호입력과 드라이브 샤프트(32)의 토우크 및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4)의 입력신호에 따른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는 차속감지센서(33)에서 차속이 0Km/h 임을 감지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4)가 온(ON) 위치에 있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31)의 신호입력이 없으면서 드라이브 샤프트(32)에 토우크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개폐수단을 온(ON) 시켜서 유압을 차단하여 브레이크를 해제시킨 후에는 작동실린더에는 제동력이 공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2)은 브레이크 패달을 밞아 차속이 0Km/h가 되면서 주행이 완전히 멈추어진 경우에만 상기 개폐수단(12)이 온(ON) 되면서 작동실린더로 공급된 유압이 복귀되는 것을 막아 핸드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게 되며, 만일 가속패달을 밞아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31)가 작동에 따른 신호입력을 받게 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의 제어에 의하여 이 개폐수단(12)은 오프(OFF) 되어서 정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는 상술된 내용 중에어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못할 때에는 상기 개폐수단(12)을 오프(OFF)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실린더로 공급된 유압은 다시 마스터 실린더(10)로 복귀하여 원래대로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12)은 차량이 정상적으로 운행을 하는 경우에는 항상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레이크 패달의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 드럼의 내부에 유압유의 순환을 제어하게 되며, 차량이 비정상적인 운행을 하는 경우에는 이 전자제어유니트(30)의 제어를 받게 된다.
이를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장치의 플로우 챠트를 나타내는 첨부도면 4를 참조하여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개폐수단(12)은 차량이 정상적으로 운행할 때에는 항상 오프(off)된 상태가 되어, 브레이크 패달의 작동으로 발생된 제동력은 이 패달의 작동력을 제거하게 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운행상태에서 신호등의 제어에 따라 일시적으로 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패달을 밝는 경우, 차속감지센서(33)가 차량의 속도가 0Km/s를 인식한 입력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4)의 작동여부를 전자제어유니트(30)에 제공하게 된다.(10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차속감지센서(33) 및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4)의 입력신호를 받은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는 상기 개폐수단(12)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4)는 작동하나 차속이 0Km/s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수단(12)은 오프된 상태가 되어 원래대로 유압이 복귀가능하게 된다.(400)
또한, 상기 과정(100)을 만족하면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가 입력신호를 받지 못하면서 드라이브 샤프트가 토우크를 받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개폐수단을 온 시키게 된다.(300)
이에 따라서 작동실린더에 공급된 유압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10)로 되돌아 오지 못하게 되어, 브레이크 계통에 제동력이 발생된 상태로 차량이 정지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과정 중에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31)나 드라이브 샤프트(3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입력신호를 받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30)는 개폐수단(12)을 오프 시켜서 브레이크 계통에서 제동력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즉, 브레이크 패달을 밞아 차량이 완전히 정지한 상태에서 공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수단(12)은 온되어서 핸드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게 되며, 주행중이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가속패달을 밞게 되면 상기 개폐수단(12)은 다시 오프 되면서 제동력을 해제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터 실린더와 하이드로릭 유니트가 연관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수단이 센서, 드라이브 샤프트 및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의 복합적인 입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이 일시적으로 주정차시 핸드 브레이크 없이도 그 기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스터 실린더(10)와 하이드로릭 유니트(20)가 서로 연관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한쌍의 연결관(11)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관(11)에는 전자제어유니트(30)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수단(12)이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개폐수단(12)은 차속이 0Km/h가 되는 동시에 브레이크작동스위치(34)가 온(ON)이 되고, 스로틀 포지션 센서(31)의 입력신호 및 드라이브 샤프트(32)에 토우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 온(ON) 되어 작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2)은 솔레노이드 밸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19960056206A 1996-11-21 1996-11-21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80037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06A KR19980037456A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06A KR19980037456A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56A true KR19980037456A (ko) 1998-08-05

Family

ID=6632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206A KR19980037456A (ko) 1996-11-21 1996-11-21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4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61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nwanted rolling away of a vehicle
KR20060037315A (ko) 자동프로그램 브레이크제어장치
KR19980037456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어장치
KR0160050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100395025B1 (ko) 자동차의 제동력 향상방법
KR100217575B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장치
KR970007716B1 (ko) 자동차 제동 시스템
KR100383933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50617B1 (ko) 차량의 파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9142270A (ja) 車両の制動力保持装置
KR0118014B1 (ko) 자동차의 역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55015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970010132B1 (ko) 자동차용 비상제동장치
KR100269966B1 (ko)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100258193B1 (ko) 에어 브레이크장치의 언덕길 보조 발진장치 및 그방법
KR100345103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3485205B2 (ja) 坂道発進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における制動ランプ点灯制御装置
KR200151708Y1 (ko) 자동차의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30031748A (ko) 자동 주차브레이크 장치
JP2837495B2 (ja) 制動補助装置の制御方法
JPH11189132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9990059443A (ko) 자동차용 안전 장치
KR100222317B1 (ko) 유압식브레이크씨스템의 유압단속장치 설치방법
KR100192358B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KR0120251Y1 (ko) 자동 파킹 브레이크 겸용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