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806A -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806A
KR19980035806A KR1019960054251A KR19960054251A KR19980035806A KR 19980035806 A KR19980035806 A KR 19980035806A KR 1019960054251 A KR1019960054251 A KR 1019960054251A KR 19960054251 A KR19960054251 A KR 19960054251A KR 19980035806 A KR19980035806 A KR 19980035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stopper
accelerator pedal
locking devi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5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806A/ko
Publication of KR19980035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806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작동중 액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을 방지하는 주차브레이크 페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는 에어탱크(30), 에어댕크(30)에 연결되어 주차브레이크 레버(1)에 설치된 스위치(29)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1), 솔레노이드 밸브(31)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32), 액츄에이터(32)의 작동로드(33)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중앙이 회전이 자유롭게 힌지부(41)로 고정된 회동레벌(40), 회동레버(40)의 타단에 결합된 푸시로드(51)를 구비한 마스터실린더(50), 마스터실린더(50)에 의해 작동하는 릴리즈실린더(60), 릴리즈실린더(60)의 푸시로드(62)의 선단에 턴버클(65)로 연결된 스토퍼로드(70)와 스토퍼로드(7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토퍼(71)로 구성되며, 페달(10)에는 스토퍼(71)와 연합하여 페달(10)의 작동을 금지하기 위한 구멍(12)를 구비한 브라켓(11)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주행을 방지하여, 브레이크시스템의 파손이나 마모를 방지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방지 및 수명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액셀레이터의 페달 록킹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차브레이크 작동중 액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을 방지하는 주차브레이크 페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는 유압식의 브레이크와는 별도로 케이블 방식으로 구성되며 브레이크레버를 작동시켜 리어 휠 양측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케이블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도 1 포워드 풀 타입의 주차브레이크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레버(1)를 당기면 이퀼라이저(8)에 장착된 한쌍의 케이블(9)이 레버(1)측으로 당겨지며 케이블(9)의 인장에 따라 리어 휠의 브레이크가 작동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레버(1)는 케이블(9)을 인장시켜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용력을 작용하는 부분이다.
도 2에 종래의 브레이크레버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브레이크레버(1)는 선단에 주차브레이크 해제버튼(2)의 걸림단(1a)에 설치된 스프링(2a)개재하여 설치되고 버튼(2)에는 릴리즈로드(5)가 고정되어 있으며, 릴리즈로드(5)의 래치(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레버(1)의 하단은 라체트플레이트(3)에 힌지결합되어 라체트플레이트(3)를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라체트플레이트(3)의 전면에는 라체트기어(4)가 형성되어 래치(6)와 맞물려 있다.
이에따라, 주차브레이크 레버(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케이블(7)이 인장되고 래치(6)는 라체트플레이트(3)의 라체트기어(4)를 따라 회전하여 레버(1)가 멈추는 위치에서 라체트기어(4)와 맞물려 레버(1)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주차브레이크 레버(1) 선단의 해제버튼(2)을 누르면 릴리즈로드(5)가 밀려 래치(6)를 회전시키므로써 래치트플레이트(3)의 라체트기어(4)로부터 래치(6)가 분리되어 레버(1)를 하향시키므로써 인장된 주차케이블(7)을 이완시켜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나, 주차브레이크 레버(1)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걸고 주행을 하여도 주차브레이크 레버(1)는 시건장치(4,6)에 의해 시건되어 주행중 계속해서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가 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크며, 디스크 및/또는 드럼과 브레이크 패드나 라이닝 등 마찰요소의 마모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주행을 하기 위해서는 기어를 변속한 후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아 출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운전자는 출발을 위해서 액셀레이터 페달을 밟게되므로 출발시 액셀레이터의 조작을 방지한다면 주차브레이크의 해제에 대한 경보와 동시에 브레이크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도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차브레이크를 해제 않은 상태에서는 액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을 방지하여 주행을 방해하므로써 운전자에게 주차브레이크가 록킹되어 있음을 경고하기 위한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차브레이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주차브레이크레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의 스토퍼와 액셀레이터 페달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주차브레이크 레버 10:페달
11;브라켓 12:구멍
20:스위치 21:경보수단
30:에어탱크 31:솔레노이드밸브
32:액츄에이터 40:회동레버
50:마스터실린더 60:릴리즈실린더
70:스토퍼로드 71:스토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탱크,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며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선단에 설치된 스토퍼 및 페달의 일측에 상기 스토퍼와 상호작용할 스토퍼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구성된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의 선단에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를 체결하고 마스터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푸시로드를 구비한 릴리즈실린더를 포함하여 릴리즈 실린더의 푸시로드의 선단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와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 사이에 중앙이 회전이 자유롭게 힌지부로 고정된 회동레버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주차브레이크 레버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이에따라, 주차브레이크를 작동한 상태에서는 푸시로드가 전진하여 스토퍼로 액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을 금지하게 되므로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는 에어탱크(30), 에어탱크(30)에 연결되어 주차브레이크 레버(1)에 설치된 스위치(20)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1), 솔레노이드 밸브(31)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32), 액츄에이터(32)의 작동로드(33)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중앙이 회전이 자유롭게 힌지부(41)로 고정된 회동레버(40), 회동레버(40)의 타단에 결합된 푸시로드(51)를 구비한 마스터실린더(50), 마스터실린더(50)에 의해 작동하는 릴리즈실린더(60), 릴리즈실린더(60)의 푸시로드(62)의 선단에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턴버클(65)로 연결된 스토퍼로드(70)와 스토퍼로드(70)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토퍼(71)로 구성되며, 페달(10)에는 스토퍼(71)와 연합하여 페달(10)의 작동을 금지하기 위한 구멍(12)을 구비한 브라켓(11)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브레이크 레버(1)가 작동하여 스위치(20)가 온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1)가 개방되어, 에어탱크(30)에서 액츄에이터(32)로 공기압이 공급되어 액츄에이터(32)의 작동로드(33)가 전진하여 회동레버(4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마스터실린더(50)내의 작동유가 압축되어 릴리즈실린더(60)의 푸시로드(62)를 밀게되고, 푸시로드(62)에 의해 스토퍼로드(70)가 전전하여 페달(10)에 고정된 브라켓(11)과 결합되어 페달(1)의 작동을 금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페달 록킹장치는 마스터실린더(50)와 릴리즈실린더(60)의 구성을 삭제하여 액츄에이터(32)의 작동로드(33)와 스토퍼로드(70)를 직접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릴리즈실린더(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61)에 푸시로드(62)를 형성하고, 피스톤(61)의 푸시로드(62) 주위에 압축스프링(63)을 설치하여 마스터실린더(50)로부터 작동유가 압축되어 유압이 작용하면 피스톤(61)이 스프링(63)을 압축하여 전진하였다가, 유압이 해제되면 스프링(63)의 복원력에 의해 리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는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71)는 스토퍼로드(70)의 중간에 설치하여, 도 3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72)가 페달(10)에 고정된 브라켓(11)의 구멍(12)을 통과하여 선단부(72)가 브라켓(11)의 구멍(12)에 삽입되고 스토퍼(71)가 브라켓(1)에 접한 상태로 페달(10)의 작동을 록킹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츄에이터(32)의 작동로드(33)와 회동레버(40)의 결합은 액츄에이터(32)와 마스터실린더(50) 사이와 이격되어 있는 경우를 위한 구성이므로, 마스터실린더(50)와 액츄에이터(32)를 직렬배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33)의 작동로드(33)와 마스터실린더(50)의 푸시로드(51)를 직접 연결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레버(40)를 이용하여 경우에는 작동로드(33)와 회동레버(40)의 연결은 요크(34)를 이용하여 힌지결합하며, 회동레버(40)와 마스터실린더(50)의 푸시로드(51)의 연결도 요크(52)를 사용하여 힌지결합하여 힌지부(41)를 중심으로 액츄에이터(32)의 작동로드(33)의 직선운동을 마스터실린더(50)의 푸시로드(51)의 직선운동을 변환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차브레이크 레버(1)가 시건상태로 되어 스위치(20)가 온되면 차량의 대시패널에서 점멸하거나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수단(2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주차브레이크(1)를 당기어, 주차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주차브레이크(1)에 설치된 스위치(20)가 온되며, 스위치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31)가 개방되어 공기탱크(30)로부터 공기압을 액츄에이터(32)에 공급하여 액츄에이터(32)의 작동로드(33)가 당기지면서 회동레버(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푸시로드(51)가 이동하여 마스터실린더(50)가 압축되고, 마스터실린더(50)에서 제공된 유압에 의해 릴리즈실린더(60)의 푸시로드(62)가 전진하여, 스토퍼로드(70)의 선단부(72)와 스토퍼(71)가 브라켓(11)과 체결되어 액셀레이터페달(10)의 작동을 금지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탑승 후 주차브레이크 레버(1)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액셀레이터 페달(10)를 밟아도 페달(10)은 작동하지 않게 되며, 운전자(10)는 페달(10)의 작동불능상태로 인해 지시램프 등의 경보수단(21)등을 확인하므로써 주차브레이크 레버(1)가 시건되어 있다는 것을 지각하여 주차브레이크 레버(1)를 해제하면, 스위치(20)가 오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1)가 폐쇄되며, 마스터실린더(50)로부터 릴리즈실린더(60)로 향하던 유압의 공급이 중단되고, 릴리즈실린더(60)의 리턴스프링(63)의 작용으로 스토퍼로드(70)가 후퇴하여 페달(10)은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주행을 방지하여, 브레이크시스템의 파손이나 마모를 방지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장치 및 수명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에어탱크,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주차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며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 선단에 설치된 스토퍼 및 페달의 일측에 상기 스토퍼와 상호작용할 스토퍼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구성된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의 선단에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를 체결하고 마스터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푸시로드를 구비한 릴리즈실린더를 포함하여 릴리즈실린더의 푸시로드의 선단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와 마스터실린더의 푸시로드 사이에 중앙이 회전이 자유롭게 힌지부로 고정된 회동레버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주차브레이크 레버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KR1019960054251A 1996-11-15 1996-11-15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KR19980035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251A KR19980035806A (ko) 1996-11-15 1996-11-15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251A KR19980035806A (ko) 1996-11-15 1996-11-15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806A true KR19980035806A (ko) 1998-08-05

Family

ID=6632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251A KR19980035806A (ko) 1996-11-15 1996-11-15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8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831B1 (ko) 차량 자동 변속기용 주차 로크
JP2003200820A (ja) 車輛のブレーキシステム
KR19980035806A (ko) 액셀레이터 페달 록킹장치
KR100224412B1 (ko) 주차 브레이크 조작장치
KR100192314B1 (ko) 주차브레이크 록킹시 출발방지장치
KR19980038221U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해제 장치
KR100402060B1 (ko) 수동 변속 차량용 후진 방지 브레이크 구조
KR100224428B1 (ko) 주차 브레이크 록킹 해제장치
KR910004821Y1 (ko) 자동차 주차용 제동장치
KR100398261B1 (ko) 자동차의 파킹브레이크 시스템
KR0154029B1 (ko) 차량도난 방지장치
JPH0245099Y2 (ko)
KR100214982B1 (ko) 도난방지장치가 부착된 주차브레이크
KR19980060238U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의 조작 기구
KR100220462B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54769A (ko)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을 이용한 주차 브레이크 작동장치
KR200146869Y1 (ko) 파킹 브레이크 자동조작장치
KR100217676B1 (ko) 주차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 조작장치
JPS6220938B2 (ko)
KR0184825B1 (ko) 차량의 주.정차시 미끄럼 방지장치
KR19990042974A (ko) 파킹브레이크 록킹시 엔진구동 방지장치
KR200236934Y1 (ko) 자동변속기를 갖춘 자동차의 주차장치
KR0113834Y1 (ko) 유압식 주차브레이크
KR19980054336U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8299U (ko) 자동차의 경사로 출발시 역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