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509A -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509A
KR19980031509A KR1019960051062A KR19960051062A KR19980031509A KR 19980031509 A KR19980031509 A KR 19980031509A KR 1019960051062 A KR1019960051062 A KR 1019960051062A KR 19960051062 A KR19960051062 A KR 19960051062A KR 19980031509 A KR19980031509 A KR 19980031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le
hood
lock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1572B1 (ko
Inventor
최윤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5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계로 해제하는 후드 잠금장치를 일체로 구성하여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드 인너패널(1)에 수직되게 고정설치되고 하단에 로크부(32)가 형성된 걸림봉(30)과; 상기 걸림봉(30)의 외측에 무접촉되게 끼워 설치되며 항상 인장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4)과; 상기 탄성스프링(34)을 지지하도록 걸림봉(30)에 수직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부에 걸림턱(35)이 환설된 스프링시트(36)와; 상기 로크부(32)와 대향되는 전방 베이스 패널(40)의 일측에 로크부(32)가 인입되도록 하는 관통공(42)과; 상기 관통공(42)과 근접한 베이스 패널(4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항시 관통공(42)의 범위내로 침입할려는 인가된 힘에 의해 상기 걸림봉(30)을 로크/해제하도록 하는 걸림링크(44) 및 상기 베이스 패널(40)의 상면 일측에 회동· 탄지결합되고 스프링시트(36)의 걸림턱(35)에 위치되어 걸림봉(30)의 2차 해제를 제어하도록 하는 해제레버(48)로 구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본 발명은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단계로 해제하는 후드 잠금장치를 일체로 구성하여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후드의 잠금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후드(1)의 후드 인너패널(2) 일측에 수직되고 끝단이 소정값의 직경의 로크부(10)가 형성된 걸림봉(12)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걸림봉(12)의 외측 즉, 후드 인너패널(2)과 걸림봉(12)의 로크부(10) 사이에는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 스프링(14)이 개재되는데 상기 탄성 스프링(14)과 로크부(10) 사이에는 그 탄성 스프링(14)을 수직으로 유동되게 지지하는 스프링시트(16)가 상기 로크부(10)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봉(12)의 근접위치에는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게 해제 손잡이(17)가 형성된 잠금 레버(18)가 회동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요소와 대향하는 엔진룸의 전방 베이스 패널(20)에는 상기 걸림봉(12)의 로크부(10)가 끼워지되 스프링 시트(16)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제 1 로크공(22)이 형성되고, 이와 근접하는 곳에는 상기 잠금 레버(18)가 인입하여 로킹되는 제 2 로크공(24)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로크공(22)의 근접위치에 항상 그 로크공(22)의 범위내로 침입할려는 탄성력을 갖는 로크스프링(26)이 일측은 상기 베이스 패널(10)에, 타측은 실내룸(도시안됨)에 설치된 후드레버(도시안됨)에 연결 설치된 해제 케이블(28)에 고정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 작동은 후드가 닫힐 때 잠금레버와 걸림봉의 로크부가 동시에 상기 제 1 로크공과 제 2 로크봉에 걸려 고정된다. 특히 상기 잠금봉의 로크부는 제 1 로크공에 인입되는 한편, 스프링시트는 상기 제 1 로크공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탄성스프링을 압축시킨다. 이와 동시에 베이스 패널에 설치된 상기 로크스프링은 걸림봉의 로크부에 의해 자체 탄성력이 발생하여 상기 로크부와 스프링시트 사이에 위치되어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걸림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후드레버의 조작으로 해제 케이블을 잡아 당기면 상기 로크스프링의 위치변위로 걸림봉이 해제되고 이후, 조작자가 상기 잠금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제 2 로크공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후드 잠금장치는 작동상에는 문제점이 없지만 조립할 경우에는 독립된 각각의 물품이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라인 증설에 따른 간접자본의 과다지출, 조립시간의 증대 등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단계로 해제하는 후드 잠금장치를 일체로 구성하여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후드 인너패널에 수직되게 고정설치되고 하단에 로크부가 형성된 걸림봉과;
상기 걸림봉의 외측에 무접촉되게 끼워 설치되며 항상 인장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탄성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걸림봉에 수직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부에 걸림턱이 환설된 스프링 시트와;
상기 로크부와 대향되는 전방 베이스 패널의 일측에 로크부가 인입되도록 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과 근접한 베이스 패널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항시 관통공의 범위내로 침입할려는 인가된 힘에 의해 상기 걸림봉을 로크/해제하도록 하는 걸림링크 및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 일측에 회동·탄지결합되고 스프링 시트의 걸림턱에 위치되어 걸림봉의 2차 해제를 제어하도록 하는 해제 레버로 구성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후드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을 도시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후드 2: 후드 인너패널,
4: 너트, 30: 걸림봉,
32: 로크부, 33: 테이퍼,
34: 인장 스프링, 35: 걸림턱,
36: 스프링 시트, 40: 베이스 패널,
42: 관통공, 44: 걸림 링크,
45: 스토퍼, 46: 복귀 스프링,
47: 힌지, 48: 해제 레버,
49: 해제 케이블,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후드 인너패널(2)의 일측에 상하부가 관통되는 소정내경의 구멍을 형성한다.
그 구멍에 형성된 후드 인너패널(2)의 상면에 너트(4)를 용접하고, 그 너트(4)로 소정 외경을 갖는 걸림봉(30)을 나설하되, 상기 걸림봉(30)의 하단에는 그 봉(30)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로크부(32)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로크부(32)의 외주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봉(30)의 외측에는 그 봉(30)의 외주에 접촉되지 않게 항상 인장 스프링(34)이 개재되며 상기 인장 스프링(34)의 끝단부과 로크부(32) 사이에는 스프링 시트(36)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시트(36)의 외경은 로크부(32)의 그것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인장 스프링(34)을 지지하는 부분보다 낮게 단턱이 진 걸림턱(35)이 환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봉(30)과 대향하는 전방 베이스 패널(40)의 일측에 상기 로크부(32)가 자유스럽게 인입될 수 있는 관통공(42)이 형성된다. 그 관통공(42)는 로크부(32)는 인입되지만 스프링 시트(36)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36)과 근접한 베이스 패널(4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항시 관통공(36)의 범위내로 침입할려는 인가된 힘에 의해 상기 걸림봉(30)을 로크/해제하도록 하는 걸림 링크(44)가 피봇결합된다. 그 피봇결합은 토션 스프링(도시안됨)과 동시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반드시 필요한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한편, 상기 걸림 링크(44)의 피봇 반대단에는 실내룸에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후드 레버(도시안됨)와 연결된 해제 케이블(49)이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패널(40)의 상부 일측에는 일정범위에서 회동하는 해제레버(48)가 힌지()결합되되, 그 힌지(47)에는 일측단이 베이스 패널(40)에, 타측단이 상기 해제 레버(49)에서 고정되는 복귀 스프링(46)이 탄설된다.
또한, 상기 해제 레버(48) 힌지점의 반대측에는 상기 해제 레버(48)의 일면이 항상 스프링 시트(36)의 걸림턱(35)에 위치되게 회동 제어하는 스토퍼(45)가 입설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로크된 상태의 후드 잠금장치를 열고자 조작자가 운전석의 전방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안됨)에 설치된 후드 레버(도시안됨)를 조작하면 상기 후드 레버와 연결된 해제 케이블(49)이 당겨지면서 걸림봉(30) 끝단의 로크부(32) 상면에 위치된 걸림 링크(44)가 회동 이탈하면서 해제된다.
상기 걸림봉(30)이 해제되면 압축 탄성이 인가된 인장 스프링(34)이 복귀됨과 동시에 걸림봉(30)이 그 끝단의 로크부(32)가 관통공(42)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일정범위 수직이동하게 된다.
이후, 조작자가 상기 후드 밑으로 손을 집어넣어 스토퍼(45)에 의해 스프링 시트(36)의 걸림턱(35)의 상면에 위치된 해제 레버(48)를 걸림턱(35)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후드(1)의 잠금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어 그 후드(1)를 개(開)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조작하고 있던 손을 해제 레버(48)로부터 이탈시키면 복귀 스프링(46)과 힌지(47)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상기 스토퍼(45)에 의해 회동력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후드(1)가 폐(閉)되는 동작은 일정위치에서 그 후드(1)를 자유낙하시키면 해제 레버(48)는 스프링 시트(36)의 수직이동으로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걸림턱(35)에 다시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 링크(44)도 로크부(32)의 테이퍼(33)면을 따라 면접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로크부(32)의 상면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종래의 그것과 거의 유사하지만 각 로크장치들이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조립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발명을 실차에 적용하게 되면, 작동상의 효과는 종래와 비슷하지만 독립된 하나의 물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과정에서 조립라인을 감축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그 조립시간도 종래에 비해 훨씬 줄어들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Claims (1)

  1. 후드 인너패널(1)에 수직되게 고정설치되고 하단에 로크부(32)가 형성된 걸림봉(30)과;
    상기 걸림봉(30)의 외측에 무접촉되게 끼워 설치되며 항상 인장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4)과;
    상기 탄성스프링(34)을 지지하도록 걸림봉(30)에 수직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부에 걸림턱(35)이 환설된 스프링시트(36)와;
    상기 로크부(32)와 대향되는 전방 베이스 패널(40)의 일측에 로크부(32)가 인입되도록 하는 관통공(42)과;
    상기 관통공(42)과 근접한 베이스 패널(4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고, 항시 관통공(42)의 범위내로 침입할려는 인가된 힘에 의해 상기 걸림봉(30)을 로크/해제하도록 하는 걸림링크(44) 및 상기 베이스 패널(40)의 상면 일측에 회동· 탄지결합되고 스프링시트(36)의 걸림턱(35)에 위치되어 걸림봉(30)의 2차 해제를 제어하도록 하는 해제레버(4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KR1019960051062A 1996-10-31 1996-10-31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KR100211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62A KR100211572B1 (ko) 1996-10-31 1996-10-31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62A KR100211572B1 (ko) 1996-10-31 1996-10-31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509A true KR19980031509A (ko) 1998-07-25
KR100211572B1 KR100211572B1 (ko) 1999-08-02

Family

ID=1948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062A KR100211572B1 (ko) 1996-10-31 1996-10-31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982B1 (ko) * 2002-04-25 2004-02-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982B1 (ko) * 2002-04-25 2004-02-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1572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230985C2 (de) Kofferraumverriegelung
EP0822306B1 (de) Aussengriff für ein Kraftfahrzeug
DE19521082C1 (de) Kraftfahrzeug-Türgriff
DE3626956C2 (ko)
KR19980031509A (ko)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DE112019001824T5 (de) Vorgespannte Deckelstruktur
KR10041103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스테이 장치
CA1058361A (en) Linkage assembly for a window
US20040182617A1 (en) Pivot lock
KR200142673Y1 (ko) 차량용 도어 래치
KR200184217Y1 (ko) 가구용 힌지조립체
KR100320851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및 연료 필라의 도어 조작장치
DE7915060U1 (de) Verschluss fuer klappendeckel, hauben u.dgl.
KR0118845Y1 (ko)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KR200187449Y1 (ko) 가구용 힌지 조립체
DE19644405C2 (de) Kraftfahrzeug mit wenigstens einer einen Zugang zu einem Servicebereich des Kraftfahrzeugs bildenden Öffnung in einer Karosserieaußenhaut
KR0118477Y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변형 방지장치
KR200155988Y1 (ko) 자동차의 후드 릴리즈 레버몸체의 레버 체결구조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JPH04357365A (ja) 自動変速装置付き自動車用の駐車ロック機構
KR200150359Y1 (ko) 글로브 박스의 개폐 토크 조절 구조
KR0131160Y1 (ko)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JP2592991Y2 (ja) 自動車用開閉装置
KR19980046456U (ko)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의 가이드리브구조
KR0182893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