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982B1 -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982B1
KR100417982B1 KR10-2002-0022753A KR20020022753A KR100417982B1 KR 100417982 B1 KR100417982 B1 KR 100417982B1 KR 20020022753 A KR20020022753 A KR 20020022753A KR 100417982 B1 KR100417982 B1 KR 10041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rive shaft
assembly
shaft p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189A (ko
Inventor
김시웅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9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는 중심부분에 설치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설치홀로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중공홈이 형성된 축핀; 상기 몸체의 설치홀을 통하여 상기 축핀의 상기 중공홈 내부에 삽입 위치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한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조작으로 상기 구동축이 상기 중공홈 내부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이 눌려지면 상기 축핀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조립 부품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복원하면 상기 가조립 부품으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축핀의 내부로 삽입되는 조립지지수단; 상기 버튼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동작위치를 정지시키도록 외부 조작으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가조립 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는 가조립이 이루어지는 부품에 손쉽게 가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가조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잠금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다른 작업자에 의하여 가조립 장치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Apparatus for temporary assembly having a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조립 상태의 부품들을 임시로 결합시키며 그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잠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장치에서는 각각의 부품들을 가 조립하는 공정이 있다. 이러한 가조립 공정은 최종 완제품 조립전에 임시로 부품들을 결합하여 그 결합상태의 적합 유무를 검사하고, 모든 부품들의 결합상태의 최적이라고 판단되면 이후 실질적인 부품들의 조립이 수행하여 항상 최적으로 조립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조립 고정은 첨단 기계장치 특히 항공기의 조립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비록 가조립 상태라고 하더라도 부품들의 분리가 너무 쉽게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때문에 이를 위한 개선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에 가조립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는 연마봉 핀 또는 분할 핀을 사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연마봉 핀과 분할 핀들은 그 공차가 심하여 가조립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다른 작업자가 쉽게 분리시킬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하지 못한 상황에서 핀이 분리되어 가조립 상태가 훼손되면 작업현장에서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도 있고, 또한 최적의 조립상태를 위한 공정 진행에 차질을 유발하여 부품의 조립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부품들에 대한 안정된 가조립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작업 담당자 외의 다른 작업자에 의하여 이러한 가조립 상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의 조립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몸체
110...손잡이
200...버튼
300...키박스
400...스프링
500...축핀
600...구동축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는 중심부분에 설치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설치홀로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중공홈이 형성된 축핀; 상기 몸체의 설치홀을 통하여 상기 축핀의 상기 중공홈 내부에 삽입 위치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한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조작으로 상기 구동축이 상기 중공홈 내부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이 눌려지면 상기 축핀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조립 부품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복원하면 상기 가조립 부품으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축핀의 내부로 삽입되는 조립지지수단; 상기 버튼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동작위치를 정지시키도록 외부 조작으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가조립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지지수단은 조립지지볼로 마련되고, 상기 축핀의 외주에는 상기 조립지지볼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외주에는 상기 조립지지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노출홀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양측벽이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축핀과 상기 버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과 상기 버튼에 결합된 구동축을 탄성 구동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버튼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튼의 외측으로 노출된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를 동작시키는 키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잠금쇠가 상기 키박스의 동작으로 돌출하면 상기 잠금쇠가 삽입되는 잠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조립 잠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조립 잠금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0)와 버튼(200) 그리고 축핀(500) 및 구동축(600)과 조립지지수단과 잠금수단으로 되어 있고, 이하에서는 이들 각각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몸체(100)는 대략 원통형태로 되어 있고, 내부를 관통하는 설치홀(120)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양측방으로 연장되어 작업자의 손에 몸체(100)가 취부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110)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한 설치홀(120)의 내주면에는 하나의 잠금홈(1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잠금홈(130)의 내부에는 외측으로 노출된 홀(210)이 형성된 원형의 통체로 된 버튼(200)이 설치된다. 이 버튼(200)은 이 설치홀(120) 내부에서 슬라이딩 구동하게 되어 있고, 버튼(200)의 홀(210)에는 전술한 잠금수단이 장착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200)의 외주에는 소정 형태로 돌출된 지지턱(22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몸체(100)의 설치홀(120) 내주면에는 걸림턱(1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200)은 지지턱(230)이 걸림턱(140)에 걸려서 지지됨에 따라 버튼(200)이 몸체(100)의 손잡이(110) 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몸체(100) 내부의 설치홀(120)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버튼(200)에 설치되는 잠금수단은 키홈(310)이 형성된 키박스(300)와 이 키박스(300)의 조작으로 상하측으로 진출입하는 잠금쇠(3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잠금쇠(320)는 몸체(100)의 설치홀(120) 내주에 형성된 잠금홈(130)에 체결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축핀(500)은 몸체(100)의 설치홀(120) 중의 손잡이(110)가 형성된 반대편 단부로 삽입되어 몸체(100)와 고정 결합되게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중공홈(5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핀(500)이 삽입된 단부와 몸체(100)의 반대편으로 삽입된 버튼(200)의 단부와의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버튼(200)과 축핀(5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버튼(20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0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400)은 일단이 버튼(200)에 형성된 지지홈(220)에 지지되고, 타단이 축핀(500)에 형성된 지지홈(520)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한편, 축핀(500)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노출된 복수개의 노출홀(5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노출홀(51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축핀(500)의 중공홈(530) 내부에는 축핀(500)의 중공홈(530) 내부에서 슬라이딩 구동하는 구동축(600)이 장착된다. 이 구동축(600)은 전술한 버튼(200)의 내측단부에 결합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버튼(200)과 일체로 형성할 수 도 있고, 다르게는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결합할 수 도 있다.
또한 구동축(600)의 내측단 외주에는 삽입홈(610)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610)은 축핀(500)의 외경에서 단부 폭이 좁아지도록 내향 경사지게 단차진 형태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전술한 조립지지수단이 안착된다.
이 조립지지수단은 구형상의 금속체로 된 조립지지볼(700)로 되어 있는데, 이 조립지지볼(700)의 외경은 전술한 축핀(500)의 노출홀(510)의 끝단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출홀(510)에 위치한 조립지지볼(700)은 노출홀(510) 내부에서 구동은 하지만 외부로 이탈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의 조립은 먼저 몸체(100)의 설치홀(120) 내부 중 손잡이(110)가 형성된 반대편 부분으로 버튼(200)을 삽입한다.
이때 삽입되는 버튼(200)의 내부에는 키박스(300)가 설치된 상태고, 다른 타단측으로는 구동축(600)이 결합된 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버튼(200)이 설치되면 스프링(400)을 삽입하여 스프링(400)의 단부가 버튼(200)의 지지홈(320)에 지지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조립지지볼(700)을 구동축(600)의 삽입홈(610)에 안착시킨다. 이후 축핀(500)의 중공홈(530)으로 구동축(600)이 끼워지도록 하면서 축핀(500)의 단부를 몸체(100)의 설치홀(120)에 끼워서 고정시키면 그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에 사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320)에 의하여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200)을 누르면 눌러진 버튼(200)에 의하여 스프링(400)이 압착됨과 동시에 버튼(200)에 의하여 구동축(600)이 축핀(500) 내부에서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축핀(500)의 노출홀(510) 측에 위치한 조립지지볼(700)은 구동축(600)의 삽입홈(610) 부분으로 삽입되어 안착 위치되고, 노출홀(510) 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축핀(500)을 가 결합하기 위한 부품의 결합구로 삽입한 다음 버튼(200)에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은 스프링(400)에 의하여 몸체(100)의 외측으로 복원하고, 최종에는 버튼(200)의 지지턱(230)이 몸체(100)의 걸림턱(140) 부분에 걸리면서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 축핀(500)이 버튼(200)과 함께 복원함에 따라 조립지지볼(700)은 축핀(500)의 외측으로 밀려나와 축핀(500)의 노출홀(5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축핀(500)에 의하여 결합부품의 가조립 상태가 이루어진다.
이후 작업자는 키홈(310)을 통하여 키박스(300)를 조작하면 잠금쇠(320)는 상향 돌출하여 몸체(100)의 설치홀(120) 내주에 형성된 잠금홈(130)에 끼워져 잠금상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가조립 상태의 분리를 위해서는 작업자에 의하여 사용된 키가 있어야만 그 분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다른 작업자가 임의로 이러한 가조립 상태를 훼손하거나 분리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조립지지볼(700)에 의하여 안정된 가조립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가조립 상태의 분리를 위해서는 키를 가진 작업자가 키홈(310)으로 키를 삽입하여 키박스(300)를 조작하면 잠금쇠(320)는 잠금홈(130)으로 부터 이탈하여 버튼(20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버튼(200)의 조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을 눌러서 구동축(600)이 축핀(500)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하면, 조립지지볼(700)은 구동축(600)의 삽입홈(610) 부분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가조립 장치를 설치부분으로 부터 이탈하면 조립지지볼(700)이 부품의 결합홀로부터 빠져 나올 때 구동축(600)의 삽입흠(610)으로 삽입됨에 따라 그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는 각종 부품들의 가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실시상태에서 몸체의 형상과 버튼의 작동구조 및 잠금수단의 구성 그리고 축핀 및 구동축의 형상 등을 일부 변형하여 실시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것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는 가조립이 이루어지는 부품에 손쉽게 가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가조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잠금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다른 작업자에 의하여 가조립 장치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중심부분에 설치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설치홀로 개구된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중공홈이 형성된 축핀;
    상기 몸체의 설치홀을 통하여 상기 축핀의 상기 중공홈 내부에 삽입 위치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한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조작으로 상기 구동축이 상기 중공홈 내부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이 눌려지면 상기 축핀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조립 부품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복원하면 상기 가조립 부품으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축핀의 내부로 삽입되는 조립지지수단;
    상기 버튼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동작위치를 정지시키도록 외부 조작으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가조립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지수단은 조립지지볼로 마련되고, 상기 축핀의 외주에는 상기 조립지지볼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외주에는 상기 조립지지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홀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양측벽이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는 상기 축핀과 상기 버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과 상기 버튼에 결합된 구동축을 탄성 구동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버튼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튼의 외측으로 노출된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를 동작시키는 키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잠금쇠가 상기 키박스의 동작으로 돌출하면 상기 잠금쇠가 삽입되는 잠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 장치.
KR10-2002-0022753A 2002-04-25 2002-04-25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KR100417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753A KR100417982B1 (ko) 2002-04-25 2002-04-25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753A KR100417982B1 (ko) 2002-04-25 2002-04-25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189A KR20030084189A (ko) 2003-11-01
KR100417982B1 true KR100417982B1 (ko) 2004-02-11

Family

ID=3238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753A KR100417982B1 (ko) 2002-04-25 2002-04-25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3202B (zh) * 2019-01-03 2023-08-01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钢珠装配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829A (ja) * 1993-11-30 1995-06-13 Yuhshin Co Ltd フリーホイール式シリンダ錠
JPH08312216A (ja) * 1995-05-15 1996-11-26 Nippon Rotsukusaabisu:Kk カムロック錠
KR19980031509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KR20010027652A (ko) * 1999-09-15 2001-04-06 박상남 버튼식 창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829A (ja) * 1993-11-30 1995-06-13 Yuhshin Co Ltd フリーホイール式シリンダ錠
JPH08312216A (ja) * 1995-05-15 1996-11-26 Nippon Rotsukusaabisu:Kk カムロック錠
KR19980031509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KR20010027652A (ko) * 1999-09-15 2001-04-06 박상남 버튼식 창문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189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925A (en) Terminal box
JP5145129B2 (ja) クリップ
ITUD940202A1 (it) Spina di compressione caricata da molla
US20020001513A1 (en) Clip
JPH0640428U (ja) プッシュリベット
WO2006012928A1 (de) Spreizniet
JPH09108916A (ja) 工具ホルダ
JP2008302494A (ja) 固着リング組付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502395A (ja) ブラインド締結具および該ブラインド締結具を被加工物から抜き取る方法
US4498222A (en) Clinching process of buckle base and wire rope
KR100417982B1 (ko) 잠금기능을 가진 가조립 장치
JPH11294420A (ja) 補機の取付構造
AU6175999A (en) Method for setting a piece fastening base plate and fastening tool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3801809B2 (ja) 軸とヨークの結合構造
TW201311378A (zh) 動力工具用岩心鑽頭組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EP0620382A1 (en) A quick assemblable chain link for a cable-holding chain
EP1260297A1 (en) Core body lock device of core drill and core body used for the device
WO1995010394A1 (en) A pair of pliers
JP2003151651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100439067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JP4178660B2 (ja) 固定装置
JP7267813B2 (ja) アンカー、アンカー抜取用工具、アンカーユニット、アンカーの撤去方法
KR200191524Y1 (ko) 스텝볼트
JP2649886B2 (ja) クランクとペダル軸の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