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217Y1 - 가구용 힌지조립체 - Google Patents

가구용 힌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217Y1
KR200184217Y1 KR2019990029148U KR19990029148U KR200184217Y1 KR 200184217 Y1 KR200184217 Y1 KR 200184217Y1 KR 2019990029148 U KR2019990029148 U KR 2019990029148U KR 19990029148 U KR19990029148 U KR 19990029148U KR 200184217 Y1 KR200184217 Y1 KR 200184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ounting plate
hinge
plate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봉갑
Original Assignee
유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피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2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문을 개폐하기 위한 기구인 힌지(50)를 가구의 벽체에 고정된 마운팅플레이트(70)에 대해 승강시켜 체결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이드홈(71)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가이드홈(71)을 따라 승강되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 걸림플레이트(74)를 체결나사(80)로 체결한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플레이트(74)에는 체결나사(80)가 관통하도록 승강장공(79)을 형성하였다. 상기 승강장공(79)의 길이는 상기 승강가이드홈(71)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플레이트(74)에는 상기 승강가이드홈(71)을 따른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7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4)를 가구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상기 힌지(50)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마운팅플레이트(74)를 체결하는 체결나사(72)의 풀고 죔을 반복하지 않으므로 가구본체가 손상되지 않고, 이때 상기 힌지(50)를 마운팅플레이트(74)로부터 분해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구용 힌지조립체{hinge assembly}
본 고안은 가구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힌지조립체에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마운팅플레이트에 착탈함과 동시에 마운팅플레이트에 체결되는
할 수 있도록 된 가구용 힌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되는 문이 있는 모든 가구에는 문의 개폐를 위하여 힌지조립체를 사용한다. 힌지조립체는 통상 일측이 문에 부착되고 타측이 가구의 내측벽에 부착되어 가구에 문을 결합하여 개폐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문이나 가구에 관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본 고안의 요지와 관련없는 부분은 설명은 되도록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힌지조립체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힌지부(10)는 가구의 측벽에 장착된 마운팅 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프레임부(12)에 직접 체결구조를 성형하고 있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는 그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1)에 체결나사(s)가 체결되어 가구의 측벽에 장착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에는 고정플레이트(22)가 나사(23)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2)의 전방에 레버(24)가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다. 상기 레버(24)는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항상 일방향(도면에 있어서는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24)가 설치된 반대쪽의 고정플레이트(22) 양단에는 고정홈(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2)의 상기 레버(24) 측 양단에는 각각 스토퍼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1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2)에 체결되어 결국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측벽에 상기 레버(24), 고정홈(26) 및 스토퍼돌기(27)에 결합되는 구조를 직접 구비한다. 즉, 프레임부(12)의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2)의 레버(24)에 걸리게 되는 선단 돌기부(14)가 하단의 양측벽에 각각 성형된다. 상기 선단 돌기부(14)의 하면은 상기 고정플레이트(22)의 레버(2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눌러주기 위해 일정한 경사를 가진 경사부(18)가 성형된다. 상기 경사부(18)는 힌지를 결합할 때 레버(24)의 선단부를 밀어서, 레버(24)가 반시계방향으로 후퇴되었다가 다시 반대로 회전되면서 상기 선단돌기부(14)와 결합되게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12)의 후단에는 고정플레이트(22)의 고정홈(26)에 삽입되는 고리형돌기(36)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돌기(27)와 결합되는 스토퍼홈(19)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돌기(27)와 스토퍼홈(19)은 상기 프레임부(12)와 고정플레이트(22)가 결합되었을 때, 이들이 서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힌지조립체를 마운팅플레이트(20)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리형돌기(16)를 고정플레이트(22)의 고정홈(26)에 후방으로부터 끼운다. 다음에는 상기 선단돌기부(14)가 성형된 프레임부(12)의 선단부, 다시 말해 상기 경사부(18)를 고정플레이트(22)의 레버(24)에 대고 가압하면, 그 가압력에 의해 레버(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상기 경사부(18)와 레버(24)의 접촉이 끝나는 시점에서 상기 레버(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선단돌기부(14)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27)는 상기 프레임부(12)의 스토퍼홈(19)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문의 두께에 따라 힌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볼트(30)를 조절하면 된다. 즉, 프레임부(12)의 상측벽에 직접 볼트(30)를 나사 결합함으로서, 볼트(30)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볼트(30)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22)의 상면과 직접 접하도록 구성하여, 힌지 높이의 미세한 조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힌지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는 가구의 측벽에 상기 체결나사(s)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의 위치를 상하로 변동시켜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종래에는 상기 체결나사(s)를 풀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의 위치를 변경한 후, 새로운 위치에 상기 체결나사(s)를 체결하여야 했다.
이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가 이동되는 거리가 미소한 경우, 즉 상기 체결나사(s)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가구의 측벽에 형성되는 체결나사(s)를 위한 구멍이 겹치게 되어 체결나사(s)의 체결이 정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공(21)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체결나사(s)를 위한 구멍을 새로 뚫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0)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나사(s)를 어느 정도 풀어준 후 다시 체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나무나 그 유사재질로 된 가구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은 그 형상이 파손되어 그 체결강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운팅플레이트의 장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에 체결되는 힌지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의 장착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절하더라도 마운팅플레이트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구용 힌지조립체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구용 힌지조립체가 체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힌지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걸림플레이트가 마운팅플레이트의 중앙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걸림플레이트가 마운팅플레이트의 상대적으로 상부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걸림플레이트가 마운팅플레이트의 상대적으로 하부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힌지 55,56: 나사
60: 체결유니트 61: 체결레버
65,66: 체결공 70: 마운팅플레이트
71: 승강가이드홈 72: 체결나사
74: 걸림플레이트 75: 체결걸림부
76: 안내경사면 77: 지지걸림부
78: 가이드돌기 79: 승강장공
80: 체결나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가구에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힌지부와, 가구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힌지부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장착시키는 승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이동돌기부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마운팅플레이트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상기 가이드부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체결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공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 마운팅플레이트, 승강플레이트는 스틸재질을 프레스작업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힌지조립체에 의하면 가구의 도어에 부착되는 힌지부를 가구본체의 마운팅플레이트에 체결하는 승강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위치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를 분해하지 않고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그 작업이 간단하게 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최초의 체결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힌지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측면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힌지조립체는 크게 문의 개폐를 위한 힌지(50)와 가구본체에 고정되는 마운팅플레이트(70)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 체결되고 상기 힌지(50)의 체결유니트(60)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플레이트(74)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50)는 일측이 문(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문의 개폐를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나사(80)를 풀고 죄기 위한 조절공(50')이 그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요지와 관계없는 힌지(50)의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힌지(50)에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유니트(6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유니트(60)는 힌지(50)의 일측에 나사(55,56)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유니트(60)에는 그 상면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나사(80)를 죄고 풀어주기 위해 조절공(6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공(50')과 조절공(6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유니트(60)의 선단부에는 체결레버(61)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레버(61)는 핀(61p)을 중심으로 스프링(62)에 의해 항상 반시계방향(도 3을 기준으로)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체결레버(6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걸림부(75)가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61)가 설치된 반대쪽 단부에는 걸림핀(6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핀(64)을 상기 체결유니트(6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마운팅플레이트(70)의 지지걸림부(77)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체결유니트(60)는 상기 나사(55,56)로 상기 힌지(50)에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체결유니트(60)에는 각각 체결공(65)과 체결장공(66)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나사(55)가 체결되는 상기 힌지(50) 측에는 상기 나사(55)와 체결유니트(60)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유니트(60)에는 체결장공(6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는 가구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는 그 체결공에 체결나사(7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플레이트(74)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73)이 마운팅플레이트(7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는 그 양단에 소정 길이로 승강가이드홈(71)이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는 걸림플레이트(74)가 장착된다. 상기 걸림플레이트(74)는 상기 체결유니트(60)와 체결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상기 체결레버(61)와 체결되는 체결걸림부(75)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걸림부(75)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레버(61)의 체결동작시에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면(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걸림부(75)와 반대되는 방향 단부에는 상기 걸림핀(64)이 걸려지는 지지걸림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걸림부(75)와 지지걸림부(77)는 그 돌출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플레이트(74)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승강가이드홈(71)에 삽입되어 걸림플레이트(74)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7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플레이트(74)의 상면 중앙을 횡으로 가로질러서는 승강장공(7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공(79)을 관통하여 체결나사(80)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의 체결공(73)에 체결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힌지부(50), 체결유니트(60), 걸림플레이트(74) 및 마운팅플레이트(70)는 스틸재질로서 프레스작업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50)가 마운팅플레이트(70)와 체결되는 것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힌지(50)에 고정되어 있는 체결유니트(60)를 걸림플레이트(74)에 체결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체결유니트(60)의 걸림핀(64)을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의 지지걸림부(77)에 걸어준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61)의 선단부를 안내경사면(76)에 대고 힌지(50)를 눌러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유니트(60)은 전체적으로 상기 걸림핀(64)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레버(61)가 설치된 선단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체결레버(61)의 일측이 상기 안내경사면(76)을 따라 내려가다가, 결국에는 마지막에는 상기 체결레버(61)의 선단부가 체결걸림부(75)에 걸려진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는 상기 힌지(50)의 체결전에 미리 상기 체결나사(72)로 가구본체의 측벽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플레이트(74)는 체결나사(80)를 사용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 체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플레이트(74)에 상기 체결유니트(60)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상기 힌지(50)의 장착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조절공(50',60')을 통해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나사(80)를 약간 풀어준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걸림플레이트(74)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 체결된 상태가 해제된다. 물론 이때, 상기 걸림플레이트(74)에는 상기 체결유니트(60)에 의해 힌지(5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플레이트(74)의 가이드돌기(78)를 상기 승강가이드홈(71)을 따라 이동시켜 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걸림플레이트(74)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도 4에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에서는 상기 걸림플레이트(74)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의 상대적으로 중간 높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에는 상기 가이드돌기(78)가 상기 승강가이드홈(71)의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체결나사(80)가 역시 상기 승강장공(79)의 중간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플레이트(74)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 대해 상승시켜 상기 힌지(50)의 마운팅플레이트(7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높여 준 상태가 도 5에 도시된다. 이와 같이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플레이트(74)의 가이드돌기(78)가 상기 승강가이드홈(71)의 상대적으로 상방에 놓여지게 되고 상기 체결나사(80)는 상기 승강장공(79)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플레이트(74)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에 대해 하강시켜 상기 힌지(50)의 마운팅플레이트(70)에 대한 상대적인 높이를 낮춰 준 상태를 설명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플레이트(74)의 가이드돌기(78)가 상기 승강가이드홈(71)의 상대적으로 하방에 놓여지게 되고 상기 체결나사(80)는 상기 승강장공(79)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70)가 가구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해제함이 없이 상기 힌지(50)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힌지(50)를 분리함이 없이 상기 조절공(50',60')을 통해 상기 체결나사(80)를 풀고 죌 수 있어 작업 훨씬 간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운팅플레이트(70)의 걸림플레이트(74)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유니트(60)을 분해하는 것, 다시 말해 힌지(50)를 마운팅플레이트(70)로부터 분해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힌지(50)의 일측(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나사(55)의 상단 부근)을 작업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버(61)를 검지손가락으로 상기 스프링(6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시켜 주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레버(61)가, 상기 체결걸림부(75)로부터 체결레버(61)가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유니트(60)과 마운팅플레이트(70) 사이의 체결은 해제되고, 상기 힌지(50)를 마운팅플레이트(70)로부터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힌지조립체는 종래와는 달리 마운팅플레이트를 가구본체로부터 분해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힌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힌지의 상하방향의 위치조절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가구본체에 체결된 마운팅플레이트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운팅플레이트의 체결상태가 최초의 가장 견고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각종 부품들은 스틸재질의 재료를 프레스작업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그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좋은 품질의 힌지조립체를 염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도어의 개폐를 위한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가구에 도어를 개폐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힌지부와,
    가구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힌지부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장착시키는 승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이동돌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마운팅플레이트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상기 가이드부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장공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체결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마운팅플레이트, 승강플레이트는 스틸재질을 프레스작업으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조립체.
KR2019990029148U 1999-12-22 1999-12-22 가구용 힌지조립체 KR200184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48U KR200184217Y1 (ko) 1999-12-22 1999-12-22 가구용 힌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48U KR200184217Y1 (ko) 1999-12-22 1999-12-22 가구용 힌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217Y1 true KR200184217Y1 (ko) 2000-06-01

Family

ID=1960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148U KR200184217Y1 (ko) 1999-12-22 1999-12-22 가구용 힌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2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6082A (en) Catch with anti-release latch
KR100401574B1 (ko) 자동 크립드라이버
KR100202465B1 (ko) 뚜껑 개폐 장치
US6928697B2 (en) Hinge
US20040119808A1 (en) Thermal printer having a reduced size
KR20000064377A (ko) 힌지
JPH03110281A (ja) 窓操作装置及びヒンジ構造
KR200184217Y1 (ko) 가구용 힌지조립체
US6485210B2 (en) Clamshell device for printers
KR200187449Y1 (ko) 가구용 힌지 조립체
JP2889230B1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ステー装置
KR200360661Y1 (ko)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0456509Y1 (ko)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JPH0629414Y2 (ja) ヒンジ
KR100211572B1 (ko)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KR0128179Y1 (ko) 여닫이문의 핸들장치 및 힌지
KR200284031Y1 (ko) 도어용 스토퍼
KR100461122B1 (ko) 스프링 게이지 세트
KR200236434Y1 (ko) 천장부재용 원터치 클램프
KR100466085B1 (ko) 자동차 도어 래치 로드의 길이 조정장치
KR200279106Y1 (ko) 배전반용 도어의 록킹 장치
KR20070041192A (ko) 루프 랙용 몰딩의 커버 구조
GB2287283A (en) Friction stay with reinforced slider
KR100395649B1 (ko) 천장부재용 원터치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