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845Y1 -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845Y1
KR0118845Y1 KR2019950032506U KR19950032506U KR0118845Y1 KR 0118845 Y1 KR0118845 Y1 KR 0118845Y1 KR 2019950032506 U KR2019950032506 U KR 2019950032506U KR 19950032506 U KR19950032506 U KR 19950032506U KR 0118845 Y1 KR0118845 Y1 KR 0118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stop lever
reinforcement
stopper
st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164U (ko
Inventor
이중경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32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845Y1/ko
Publication of KR970023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기관실을 이루는 차체와 본네트 사이에서 본네트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기관실을 이루는 차체의 운전석 측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힌지 브래키트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본네트 스테이와;상기 본네트 스테이의 타단을 고정하여 본네트의 보강재에 형성된 슬라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본네트의 개폐에 따른 본네트 스테이의 위치를 안내하는 슬라이더와;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여 본네트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써, 보강재의 슬라이드 장공에 인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축착된 스톱 레버와;상기 스톱 레버 하부의 보강재에 형성된 안내 장공에 스프링의 개재하에 하방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스톱 레버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스톱 레버가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및 상기 스토퍼를 안내 장공의 상부로 이동시켜 스톱 레버의 구속을 해제하여 본네트의 폐쇄를 유도하는 것으로써, 상기 스토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강재에 수개의 클립으로 슬라이드 장공과 평행하도록 고정, 설치된 릴리스와이어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는, 본네트의 록킹장치를 해제한 후 본네트를 들어 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본네트를 개방시킬 수 있고, 또 릴리스 와이어를 당기면서 본네트를 내려 놓는 간단한 동작으로 본네트를 닫을 수 있는 등 본네트 개, 폐시 작업자의 손을 사용하는 동작을 줄일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본네트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네트 스테이의 힌지부가 기관실의 운전석 쪽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작업자의 정비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잇점도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본네트 개폐장치의 구조를 보인 본네트 개방 상태의 사시도.
제2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본네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본네트 스테이 결합 상태를 보인 상세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본네트의 저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슬라이더 및 그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스톱 레버 구조 및 동작을 보인 제4도의 A부 상세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스톱 레버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스토퍼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본네트2a:보강재
3:본네트 스테이4:힌지 브래키트
11:슬라이드 장공12:슬라이더
13:스톱 레버14:축핀
16, 21:와셔17:스토퍼
18:안내 장공19:리턴 스프링
22:릴리스 와이어23:클립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네트 개폐시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본네트 개폐의 편의성을 도모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등이 장착되는 기관실의 상부에는 기관실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본네트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네트는 운행중이거나 평상시에는 록킹장치에 의해 록킹된채 닫혀 있다.
엔진 등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위하여 본네트를 개방시킬 때는 운전석에 위치한 개방버튼을 누르거나 당기게 되면, 본네트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록킹 상태를 해제시킨 후 본네트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개방시킨 다음 스테이로 지지하여 본네트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개방시킨 다음 스테이로 지지하여 본네트를 개방시킨 후 소정의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본네트의 개방 상태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은 기관실, 2는 본네트, 3은 본네트 스테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네트 스테이(3)는 기관실(1) 주변 차체의 헤드 램프쪽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힌지 브래키트(4)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이 설치된 본네트 스테이(3)의 타단부가 본네트(2)의 보강재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끼워져 본네트(2)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네트(2) 개방 상태로 소정의 작업을 진행한 후 스테이(3)를 제거하고, 본네트(2)를 개방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놓으면 본네트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닫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본네트 개폐구조는, 개방시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본네트 스테이(3)를 빼서 본네트의 보강재에 형성된 홀에 끼워야 하고, 또 닫을 때는 본네트 스테이(3)를 본네트(2)의 홀로부터 빼낸후 차체에 고정시킨 다음 본네트를 닫아야 하는 등 본네트의 개폐에 필요한 동작이 많아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본네트 개방시 스테이(3)가 차체의 앞쪽에 위치하는 구조로써, 본네트 스테이(3)가 작업자의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네트 개폐시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본네트 개폐의 편의성을 도모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네트 스테이의 차체 고정 위치를 운전석측으로 이동시켜 작업자의 정비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기관실을 이루는 차체와 본네트 사이에서 본네트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기관실을 이루는 차체의 운전석측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힌지 브래키트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본네트 스테이와;상기 본네트 스테이의 타단을 고정하여 본네트의 보강재에 형성된 슬라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본네트의 개폐에 따른 본네트 스테이의 위치를 안내하는 슬라이더와;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여 본네트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써, 보강재의 슬라이드 장공에 인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축착된 스톱 레버와;상기 스톱 레버 하부의 보강재에 형성된 안내 장공에 스프링의 개재하에 하방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스톱 레버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스톱 레버가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및 상기 스토퍼를 안내 장공의 상부로 이동시켜 스톱 레버의 구속을 해제하여 본네트의 폐쇄를 유도하는 것으로써, 상기 스토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강재에 수개의 클립으로 슬라이드 장공과 평행하도록 고정, 설치된 릴리스 와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본네트의 보강재에 형성된 슬라이드 장공과 동일 폭의 목부를 갖는 상, 하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체의 어느 한 몸체에 본네트 스테이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 레버는 본네트 보강재의 이면에 부착된 웰드 너트에 체결되는 축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스톱 레버와 보강재 사이에는 스톱 레버의 회전을 원할히 하기 위한 와셔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에는 릴리스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이 반경 방향으로 가로 질러 형성되고, 하단부에 연결된 나사부가 본네트 보강재이면에 위치하는 너트에 와셔의 개재하에 체결되어 조립된다.
한편,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본네트의 보강재에 수개의 클립으로 고정되는 피복제의 내부에 와이어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는, 본네트의 록킹장치를 해제한 후 본네트를 들어 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본네트를 개방시킬 수 있고, 또 릴리스 와이어를 당기면서 본네트를 내려 놓는 간단한 동작으로 본네트를 닫을 수 있는 등 본네트 개,폐시 작업자의 손을 사용하는 동작을 줄일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본네트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네트 스테이의 힌지부가 기관실의 운전석 쪽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작업자의 정비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잇점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본네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본네트의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본네트 스테이 결합 상태를 보인 상세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슬라이더 및 그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스톱 레버 구조및 동작을 보인 제2도의 A부 상세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스톱 레버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스토퍼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은 기관실, 2는 본네트, 3은 본네트 스테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본네트 개폐장치에서 상기 본네트 스테이(3)는 그 일단이 기관실(1)을 이루는 차체의 운전석쪽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힌지 브래키트(4)에 힌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네트를 개방하여 정비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 종래와 같은 본네트 스테이(3)에 의한 작업의 방해는 없게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네트 스테이(3)의 타단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네트 보강재(2a)에 형성된 소정 길이의 슬라이드 장공(11)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2)는 본네트 스테이(3)의 타단을 고정하여 본네트(2)의 개, 폐에 따라 슬라이드 장공(11)을 이동하면서 본네트 스테이(3)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장공(11)과 동일 폭의 목부(12a)를 갖는 상,하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체(12b)의 어느 한 몸체에 본네트 스테이(3)를 고정하기 의한 걸이부(12c)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2a)의 슬라이드 장공(11)의 하단부에 인접하게는 슬라이드 장공(11)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2)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여 본네트 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슬라이더(12)를 지지하는 스톱 레버(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톱 레버(13)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4개의 슬라이더 지지날개(13a)를 구비하여 축핀(14)을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스톱 레버(13)의 조립 구조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핀(14)이 보강재(2a)의 이면에 부착된 웰드 너트(15)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스톱 레버(13) 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톱 레버(13)와 보강재(2a)와의 사이에는 스톱 레버(13)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한 와셔(16)가 개재되어 있다.
제6도에서 참조 부호 17은 상기한 스톱 레버(13)의 역회전을 제한하여 스톱 레버(13)가 슬라이더(12)를 구속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로써, 이 스토퍼(17)는 스톱 레버(13) 하부의 보강재(2a)에 형성된 안내 장공(18)에 리턴 스프링(19)의 개재하에 하방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8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스토퍼(17)의 고정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7)는 그 하부에 연장된 나사부(17a)가 보강재(2a)의 이면에 위치하는 너트(20)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안내 장공(18)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2a)와 너트(20)의 사이에는 스토퍼(17)의 이동을 원활히 보조하는 와셔(21)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스토퍼(17)에는 그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연결공(17b)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연결공(17b)에는 릴리스 와이어(2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릴리스 와이어(22)는 스토퍼(17)를 안내 장공(18)의 상단부로 이동시켜 스톱 레버(13)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릴리스 와이어(22)의 작용에 의해 스톱 레버(13)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2)의 구속이 해제되어 슬라이더(12)가 슬라이드 장공(18)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본네트 닫힘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릴리스 와이어(22)는 본네트의 보강재(2a)에 수개의 클립(23)으로 고정되는 피복제(22a)의 내부에 소정 길이의 와이어(22b)가 조립된 구조로 되어 보강재의 슬라이드 장공(11)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에는 손잡이부(22c)가 형성되어 이를 손으로 잡고 당김을써 스토퍼(17)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의 작용 및 그에 따르는 효과를 살펴본다.
먼저, 개방 동작은 운전석의 개방 버튼을 누른 후 본네트를 서서히 들어 올리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데, 본네트를 서서히 들어 올리게 되면, 보강재(2a)의 슬라이드 장공(11)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던 슬라이더(12)가 하부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본네트가 개방되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의 진행으로 슬라이더(12)는 점점 더 이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스톱 레버(13)의 지지날개에 접촉하여 이 스톱 레버(13)를 회전시키면서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톱 레버(13)는 정회전은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원활히 회전하게 되고, 다음단의 지지날개가 이동하는 스톱 레버(13)의 전단에서 스톱 레버(13)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 레버(13)는 그 후단의 일측에 부설된 스토퍼(17)에 의해 그의 역회전은 구속되므로 슬라이더(12)를 지지하여 본네트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네트를 개방하여 소정의 정비 작업 등을 행한 후 본네트를 닫음에 있어서는, 릴리스 와이어(22)의 손잡이부를 잡고 당기면 그에 연결된 스토퍼(17)가 안내 장공(18)의 최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스톱 레버(13)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톱 레버(13)는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이 때 본네트를 놓으면 그의 자중에 의해 슬라이더(12)가 슬라이드 장공(1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본네트를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후 상기 스토퍼(17)는 그를 탄력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하여 손을 사용하는 동작이 대폭적으로 줄어 들게 되므로 본네트를 보다 편리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는, 본네트의 록킹장치를 해제한 후 본네트를 들어 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본네트를 개방시킬 수 있고, 또 릴리스 와이어를 당기면서 본네트를 내려 놓는 간단한 동작으로 본네트를 닫을 수 있는 등 본네트 개,폐시 작업자의 손을 사용하는 동작을 줄일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본네트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네트 스테이의 힌지부가 기관실의 운전석 쪽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작업자의 정비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잇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례에 불과한 것으로,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자동차의 기관실을 이루는 차체와 본네트 사이에서 본네트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기관실을 이루는 차체의 운전석 측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힌지브래키트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본네트 스테이;상기 본네트 스테이의 타단을 고정하여 본네트의 보강재에 형성된 슬라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본네트의 개폐에 따라 본네트 스테이의 위치를 안내하는 슬라이더;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여 본네트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써, 보강재의 슬라이드 장공에 인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축착된 스톱 레버;상기 스톱 레버 하부의 보강재에 형성된 안내 장공에 스프링의 개재하에 하방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스톱 레버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스톱 레버가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및 상기 스토퍼를 안내 장공의 상부로 이동시켜 스톱 레버의 구속을 해제하여 본네트의 폐쇄를 유도하는 것으로써, 상기 스토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강재에 수개의 클립으로 슬라이드 장공과 평행하도록 고정, 설치된 릴리스 와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본네트의 보가어재에 형성된 슬라이드장공과 동일 폭의 목부를 갖는 상,하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체의 어느 한 몸체에 본네트 스테이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레버는 본네트 보강재의 이면에 부착된 웰드 너트에 체결되는 축핀에 의하여 히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스톱레버와 보강재 사이에는 스톱 레버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한 와셔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릴리스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이 반경 방향으로 가로 질러 형성되고, 하단부에 연결된 나사부가 본네트 보강재 이면에 위치하는 너트에 와셔의 개재하에 체결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와이어는 본네트의 보강재에 수개의 클립으로 고정되는 피복제의 내부에 와이어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KR2019950032506U 1995-11-07 1995-11-07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KR0118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506U KR0118845Y1 (ko) 1995-11-07 1995-11-07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506U KR0118845Y1 (ko) 1995-11-07 1995-11-07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64U KR970023164U (ko) 1997-06-18
KR0118845Y1 true KR0118845Y1 (ko) 1998-07-01

Family

ID=1942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506U KR0118845Y1 (ko) 1995-11-07 1995-11-07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8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164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450909C3 (de) Fernbedienungsein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Seitentür eines Personenkraftwagens
JPH05201260A (ja) 手で操作可能な車両用折畳み幌
US8215683B2 (en) Clo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over of a motor vehicle
US4508379A (en) Locking device of an automotive door
US7431357B2 (en) Exterior door handle with minimum surface intrusion
US6086958A (en) Vehicle body panel positioning method for paint application
KR19980071506A (ko) 콘버터블 차량의 트렁크 덮개 및 후방 횡단 부재 개폐 장치
US7004529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od of a folding-top convertible motor vehicle
US5910077A (en) Door actuated extendable strap handle
KR0118845Y1 (ko) 자동차의 본네트 개폐장치
US4073526A (en) Lock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door
US4075788A (en) Linkage assembly for a window
KR102417392B1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JP2889230B1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ステー装置
KR10041103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스테이 장치
EP0808981B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motor vehicle door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19980031509A (ko) 일체형 후드 잠금장치
KR0107640Y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로드 연결구조
KR0113843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KR970003674Y1 (ko) 자동차의 본넷트 개폐구조
KR19980062888A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리드 록킹장치
JPS6227648Y2 (ko)
KR100402115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스테이 장치
KR0113842Y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로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