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144U -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144U
KR19980030144U KR2019960043232U KR19960043232U KR19980030144U KR 19980030144 U KR19980030144 U KR 19980030144U KR 2019960043232 U KR2019960043232 U KR 2019960043232U KR 19960043232 U KR19960043232 U KR 19960043232U KR 19980030144 U KR19980030144 U KR 199800301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parking
wheel
park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3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144U/ko
Publication of KR19980030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14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6Equali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슈우에 한쪽 선단부가 각각 연결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이퀄라이저(7)를 매개로 조작레바에 연결된 주차케이블(5)을 갖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차케이블(5)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케이블(5)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력부여수단과, 운전석의 하중과 휠의 회전을 감지해서 운전석이 공석상태인 경우에 휠이 회전되면 상기 인장력부여수단에 제어전류를 인가하여 주차케이블에 추가적인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반면에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전류를 차단하여 부여된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제어 수단을 갖춘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자동차의 주차시에 자동차가 외력이나 중력에 의해 미끌어지게 되면 모우터를 매개로 주차케이블을 당겨줌으로써 자동차의 미끌어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동차를 보다 안정되게 주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주차시에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과 랙기어를 이용해서 뒷바퀴식 주차브레이크의 주차제동력을 보완하여 주차브레이크가 풀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해서 자동차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대기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주행할 때에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에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가 있는 바, 여기서 상기 주차브레이크는 통상적으로 주차 브레이크드럼과 슈우 및 스프링을 갖추고서 주차브레이크 슈우를 주차 브레이크드럼에 밀착시켜 그 때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뒷바퀴를 제동시키게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뒷바퀴 브레이크식 주차브레이크의 장착설 명도를 나타내는 것인 바, 즉 엔진의 동력을 추진축(101)과 차동기어(102)를 통해 차축(103)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휠(104)의 브레이크 슈우에 케이블(105)을 통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106)가 연결된 구조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106)를 당겨주면 조작레바(106)의 조작력이 상기 케이블(105)을 매개로 브레이크 슈우에 전달되어, 브레이크 슈우가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되면서 제동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105)에는 이퀄라이저(107)가 장착되어, 조작레바(106)(의 조작력이 이퀄라이저(107)를 매개로 좌측 케이블 및 우측 케이블에 균등하게 분배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뒷바퀴 브레이크식 주차브레이크장치로서는 예컨대 자동차가 경사로에 주차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해서 자동차를 안전하게 주차상태로 유지시키기가 미흡하고, 이 때문에 대개의 운전자는 돌덩이 등을 뒷바퀴나 앞바퀴에 받혀서 주차제동력을 보완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작레바를 조작하여 주차케이블을 당겨서 뒷바퀴식 주차브레이크의 슈우를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켜 주차제동력을 확보하는 이외에도 주차케이블에 모우터를 매개로 추가적인 인장력을 부여하여 케이블의 이완을 방지해서 자동차를 미끄러짐 없이 보다 안정되게 주차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브레이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추진축2:차동기어
3:차축4:휠
5:주차케이블6:조작레바
7:이퀄라이저8:랙기어
9:피니언기어10:모우터
11:휠회전감지센서12:운전석
13:부하감지센서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슈우에 한쪽 선단부가 각각 연결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이퀄라이저를 매개로 조작레바에 연결된 주차케이블을 갖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차케이블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케이블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력부여수단과, 운전석의 하중과 휠의 회전을 감지해서 운전석이 공석상태인 경우에 휠이 회전되면서 상기 인장력부여수단에 제어전류를 인가하여 주차케이블에 추가적인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반면에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전류를 차단하여 부여된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을 갖춘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상세도인 바, 즉 엔진의 동력을 추진축(1)과 차동기어(2)를 통해 차축(3)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휠(4)의 브레이크 슈우에 좌, 우측 주차케이블(5)을 통해 주차브레이크 조작레바(6)가 연결되고, 상기 좌, 우측 주차케이블(5)에는 조작레바(6)의 조작력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이퀄라이저(7)를 통해 조작레바(6)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케이블(5)에는 조작레바(6)에 의해 당겨져 인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케이블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인장력을 부여하여 인장력부여수단과, 운전석의 하중과 휠의 회전을 감지해서 운전석이 공석상태인 경우에 휠이 회전되면 상기 인장력부여수단에 제어전류를 인가하여 주차케이블에 추가적인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반면에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전류를 차단하여 부여된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력부여수단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 주차케이블(5)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게 장착된 랙기어(8)와, 이 랙기어(8)와 치합되어 랙 기어(8)를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케이블(5)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이완시키는 피니언기어(9)를 갖춘 모우터(10)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우터(10)를 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피니언기어(9)를 통해 랙기어(8)를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주면, 이 랙기어(8)와 함께 주차 케이블(5)이 당겨져서 인장력이 추가적으로 부여되게 된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휠(4)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휠(4)에 장착된 휠 회전감지센서(11)와, 운전석(12)에 장착되어 운전석이 공석 또는 착석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운전석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13)가 각각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반면에 출력단자에는 상기 모우터(10)가 연결되어, 운전석이 공석상태에서 휠(4)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모우터(10)에 밧데리전원을 인가하는 반면에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전원을 차단시키는 콘트롤러(ECU)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를 예컨대 경사로에 주차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상기 조작레바(6)를 조작하여 주차케이블(5)을 당겨서 주차브레이크가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하고 난 다음에 주차된 자동차가 외력이나 혹은 중력에 의해 미끌어지게 되면, 상기 휠(4)이 회전되면서 휠회전감지센서(11)를 매개로 휠의 회전이 콘트롤러에 의해 감지되게 되고, 콘트롤러는 상기 부하감지센서(13)를 매개로 운전석이 공석상태인지 혹은 착석상태인지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석이 공석상태에서 휠의 회전이 감지되면, 콘트롤러는 주차브레이크장치가 풀려지면서 케이블이 이완되는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모우터(10)에 밧데리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모우터(1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모우터(10)는 밧데리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면서 피니언기어(9)를 매개로 랙기어(8)를 전방향으로 이동시켜주게 되고, 이로 인해 랙기어(8)와 함께 주차케이블(5)이 당겨지면서 인장력이 부여되게 되므로, 이 주차케이블에 의해 브레이크 슈우가 드럼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휠의 회전이 저지되어, 자동차가 보다 안정되게 주차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자동차를 출발시키기 위해 운전석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러는 부하감지센서를 매개로 이를 감지함과 더불어 상기 모우터에 인가시키고 있던 전원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모우터에 의해 부여된 인장력이 해소되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조작레바(6)를 조작하면 주차케이블이 이완되는 동시에 주차브레이크도 해방되어, 자동차를 재출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주차시에 자동차가 외력이나 중력에 의해 미끌어지게 되면 모우터를 매개로 주차케이블을 당겨줌으로써, 자동차의 미끌어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동차를 보다 안정되게 주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슈우에 한쪽 선단부가 각각 연결되면서 다른쪽 선단부는 이퀄라이저(7)를 매개로 조작레바에 연결된 주차케이블(5)을 갖춘 주차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차케이블(5)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케이블(5)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력부여수단과, 운전석의 하중과 휠의 회전력을 감지해서 운전석이 공석상태인 경우에 휠이 회전되면서 상기 인장력부여수단에 제어전류를 인가하여 주차케이블에 추가적인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반면에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제어전류를 차단하여 부여된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제어수단을 갖춘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부여수단 좌, 우측 주차케이블(5)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게 장착된 랙기어(8)와, 이 랙기어(8)와 치합되어 랙기어(8)를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케이블(5)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이완시키는 피니언 기어(9)를 갖춘 모우터(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휠(4)의 회전을 감하기 위해 휠(4)에 장착된 휠회전감지센서(11)와, 운전석(12)에 장착되어 운전석이 공석 또는 착석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운전석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13)가 각각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반면에 출력단자에는 상기 모우터(10)가 연결되어, 운전석이 공석상태에서 휠(4)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모우터(10)에 밧데리전원을 인가하는 반면에 운전석에 운전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전원을 차단시키는 콘트롤러(ECU)를 갖춘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KR2019960043232U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KR199800301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232U KR19980030144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232U KR19980030144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144U true KR19980030144U (ko) 1998-08-17

Family

ID=5398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232U KR19980030144U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1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665B1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장치 및 제어방법
KR101265951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H09202221A (ja) 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8100603A (ja) 制動制御装置
JP2006306299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制御装置
KR19980030144U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고정장치
JP4978923B2 (ja) 停止判定装置及び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4330569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7198238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0405526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100203171B1 (ko) 경사로 재출발시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25656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299793B1 (ko) 비상시주차브레이크의작동장치
KR100224431B1 (ko) 자동차용 자동주차브레이크장치
KR100405528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9980045002U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 안전장치
KR19980056276A (ko) 자동차의 안전 주차장치
KR19980054028A (ko) 수동변속기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KR0145673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2006522709A (ja) 自動車のための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作動させる装置及び方法
KR100208600B1 (ko) 밀림방지용 제동장치
KR0160262B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JP2008265736A (ja) 自動車用自動駐車ブレーキ
KR200151674Y1 (ko) 브레이크 응답 제어장치
KR19980025655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