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237A -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237A
KR19980029237A KR1019960048481A KR19960048481A KR19980029237A KR 19980029237 A KR19980029237 A KR 19980029237A KR 1019960048481 A KR1019960048481 A KR 1019960048481A KR 19960048481 A KR19960048481 A KR 19960048481A KR 19980029237 A KR19980029237 A KR 1998002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astening
clamp
clamp bolt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237A/ko
Publication of KR1998002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237A/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실의 차체에 고정되는 함형의 밧데리받침대(20)의 내부에 장방형의 밧데리(10)가 설치되도록 하는 클램프볼트(3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볼트(31)의 걸림부(31B)와 체결부(31A)가 분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1B)의 상부에는 체결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31b)에 체결되는 나사부(31a)가 체결부(31A)에는 하부에 형성됨으로서, 각 차종마다 길이가 상이한 클램프볼트(31)를 제작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차종간에 부품 호환성이 개선되어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 전장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밧데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밧데리받침대(Battery Tray)에 밧데리가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볼트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차종간의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는 전조등과 방향지시등을 포한한 각종 램프류와 카스테레오, 도아 자동열림장치, 와이퍼장치등에 많은 전기가 소요되는 바, 이와 같이 전기를 필요로 하는 각 전장부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엔진실의 일측에 밧데리가 설치되고, 상기 밧데리에는 엔진동력으로 작동하는 발전기를 연결하여 엔진구동중에 계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지게끔 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밧데리는 엔진실의 차체에 고정되는 밧데리받침대(Battery Tray)에 결합되는 것이 보통인 바, 종래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는 대부분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밧데리받침대(20')에 올려놓은 밧데리(10')의 상단 중앙에 판상의 클램프(30')를 설치하고, 클램프(30')의 양측과 밧데리받침대(20')의 양측 사이에 클램프볼트(31') 설치한 후 너트(32')로 견고하게 조이는 형태로 고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클램프볼트(31')가 밧데리받침대(20')에 결합되는 걸림부(31A')와 클램프(30')에 체결되는 체결부(32B')가 일체로 형성되는 관계로 차종간에 호환성이 불가능하여 각 차종마다 상이한 길이의 클램프볼트(31')를 제작하여 함으로서 차량제작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구조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각 차종마다 알맞은 길이로 클램프볼트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종간에 호환성이 개성되고, 차종마다 길이가 각기 다른 클램프볼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부품을 제작시 제작단가가 저감되어 차량의 제작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밧데리를 밧데리받침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볼트의 걸림부와 체결부를 분활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나사부를 체결부에 형성하여, 상기 체결홈에 나사부가 체결되어 걸림부와 체결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구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밧데리 31 : 클램프볼트
31A : 체결부 31a : 나사부
31B : 걸림부 31b : 체결홈
즉 본 발명은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엔진실의 차체에 고정되는 함형의 밧데리받침대(20)의 내부에 장방형의 밧데리(10)가 설치되도록 하는 클램프볼트(3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볼트(31)의 걸림부(31B)와 체결부(31A)가 분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1B)의 상부에는 체결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31b)에 체결되는 나사부(31a)가 체결부(31A)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밧데리(10)가 내부에 위치된 밧데리받침대(20)에 클램프볼트(31)의 걸림부(31B)를 위치시킨 후 클램프(30)의 위치에 알맞은 높이로 클램프볼트(31)의 걸림부(31B)에 형성된 체결홈(31b)에 체결부(31A)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31a)를 체결시켜주는 것에 의해 체결부(31A)와 걸림부(31B)가 결합되어 클램프볼트(31)의 길이가 가변되며 결합되어 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밧데리받침대(20)와 클램프(30) 사이에 설치되어 밧데리(10)가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볼트(31)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차종마다 길이가 상이한 클램프볼트(31)를 제작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차종간에 부품 호환성이 개선되어 차량을 제작시 제작단가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엔진실의 차체에 고정되는 함형의 밧데리받침대(20)의 내부에 장방형의 밧데리(10)가 설치되도록 하는 클램프볼트(3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볼트(31)의 걸림부(31B)와 체결부(31A)가 분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1B)의 상부에는 체결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31b)에 체결되는 나사부(31a)가 체결부(31A)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019960048481A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9980029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481A KR19980029237A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481A KR19980029237A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37A true KR19980029237A (ko) 1998-07-25

Family

ID=6631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481A KR19980029237A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9237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KR19980029236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CN212047612U (zh) 一种汽车塑胶扰流板
KR101063486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구조
KR19980062301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200194107Y1 (ko) 자동차 밧데리의 클램핑 장치
KR19980046502U (ko) 자동차의 너트 겸용 부시구조
KR200198944Y1 (ko) 배터리 터미널
KR200145857Y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0140269Y1 (ko) 자동차용 컨트롤 모듈 고정 브라켓의 구조
KR19980062195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9980078206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9980037388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9980012346U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0171726B1 (ko)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축전지 단자 취부구조
KR19980037387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00206203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19980047033U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KR19980062778A (ko)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
KR19980062194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00787200B1 (ko) 퓨즈박스터미널 고정구조
JPH0436991Y2 (ko)
KR0119196Y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JPH0248249A (ja) 自動車用バ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