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033U -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033U
KR19980047033U KR2019960060189U KR19960060189U KR19980047033U KR 19980047033 U KR19980047033 U KR 19980047033U KR 2019960060189 U KR2019960060189 U KR 2019960060189U KR 19960060189 U KR19960060189 U KR 19960060189U KR 19980047033 U KR19980047033 U KR 199800470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fixed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0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033U/ko
Publication of KR19980047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03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 고정부재의 사용없이 배터리(1)가 차체에 취부되도록 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작업자의 단순조작만으로 배터리(1)의 취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조립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취부를 위한 별도 부수부재가 폐지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작업자의 단순조작만으로 체결작업이 이루어져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체 시동장치 및 전기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배터리가 구비되어 지는 바, 이 배터리는 다수의 단자와 전해질 용액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도록 되고, 또 이 배터리는 차체 엔진실 등내에 내설되어 차체 각 전기장치나 시동장치 등과 연결되도록 된다.
또, 상기 배터리의 차체 취부는 종래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실내 바닥 등 차체에 볼트(103) 등을 매개로 체결되도록 된 판 형상의 안착판(102)이 상기 차체에 취부되고, 이 안착판(102) 상에 배터리(101)가 안착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고정봉(104)이 상기 안착판(102) 하단에 걸쳐 상방향으로 뻗도록 위치되는 한편, 이 고정봉(104)의 상부 선단에 양측끝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105)이 상기 배터리(101)의 상단에 수평으로 걸치도록 끼워져 너트(106) 등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안착판(102)이 차체에 볼트(103) 등을 매개로 고정되고, 이 안착판(102) 상에 배터리(101)가 안착된 후, 그 양측이 한쌍의 고정봉(104)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상기 배터리(101)의 상단이 브래킷(105)에 의해 상기 안착판(102)으로 압박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터리(101)의 차체 취부를 위해 안착판(102)과, 고정봉(104) 및, 브래킷(105) 등의 고정부재가 다수 요구됨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됨은 물론, 조립공수가 증가되어 조립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 취부를 위한 별도 고정부재가 폐지되도록 되어 상기 고정부재 제작에 따른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일체 성형된 고정부가 차체에 끼워지는 식으로 체결되도록 되어 작업자의 단순조작만으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의 분리·결합 사시도,
도 2는 종래 구조로서, 도 1에 대응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터리,2 - 확장부,
3 - 고정홈,4 - 걸림돌기,
5 - 볼트,6 -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의 하단양측에 외측으로 판 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확장부가 형성되고, 이 확장부의 일측단에 내측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함몰된 고정홈이 형성됨, 이 고정홈이 차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절곡된 ㄱ자 단면형상의 걸림돌기에 걸쳐지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차체에 안착되고, 이 안착된 배터리의 타측확장부에 볼트 등이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삽입·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배터리 하단에 일체 형성된 일측확장부가 차체에 일체 형성된 걸림돌기에 의해 걸쳐 고정되고, 이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된 확장부의 타측 확장부가 볼트 등에 의해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차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및 이 배터리가 취부될 차체를 도시한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룬 배터리(1)의 하단 양측에 판 형상을 이루고 외측으로 돌출된 확장부(2)가 구비되고, 이 확장부(2)의 일측선단에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함몰되어 단차 형성된 고정홈(3)이 형성되며, 이 고정홈(3)에 삽입·안착되도록 차체 일부가 절개된 후 상방향으로 돌출·절곡되어 ㄱ자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된 걸림돌기(4)가 일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1)의 일측확장부(2)에 형성된 고정홈(3)이 걸림돌기(4)에 걸쳐 고정되고, 이 걸림돌기(4)에 의해 차체에 안착·고정된 배터리(1)의 상기 고정홈(3) 형성부의 반대편 일측 확장부(2)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볼트(5)가 삽통되어 그 하단에서 너트(6)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배터리(1)의 일측 확장부(2)가 걸림돌기(4)에 의해 차체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배터리(1)의 타측 확장부(2)가 볼트(5) 등에 의해 차체에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1)가 차체에 안착·고정된다.
또, 상기 고정홈(3) 내에 걸림돌기(4)가 삽입·안착됨에 따라 배터리(1)의 전·후방 및 측방향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볼트(5)의 체결에 따라 배터리(1)가 걸림돌기(4)에 걸쳐진 상태에서 유동없이 지지·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것은 본 고안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 고정부재의 사용없이 배터리(1)가 차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상기 배터리(1)의 취부가 작업자의 단순조작만으로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1)의 하단 양측에 판 형상을 이루고 외측으로 뻗어 형성된 확장부(2) 중 일측 확장부(2) 선단에 하방향으로 함몰·형성된 고정홈(3)이 차체 일부가 절개·절곡되어 돌출·형성된 ㄱ자 단면형상의 걸림돌기(4)에 끼워지면서 상기 배터리(1)가 차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3)이 형성된 확장부(2)의 반대편 확장부(2)에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볼트(5)가 삽통되어 차체 이면에서 너트(6)와 체결되도록 된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KR2019960060189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KR199800470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89U KR19980047033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89U KR19980047033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33U true KR19980047033U (ko) 1998-09-25

Family

ID=5399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189U KR19980047033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03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432B1 (ko) 자동차용 인버터
US6371229B1 (en) Vehicle power head mounting structure
KR20110001013A (ko) 전원 연결 박스
JP5299699B2 (ja) 電気接続箱
KR20110001012A (ko) 전원 연결 박스
KR102051322B1 (ko) 전기자동차의 크래들 장착구조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KR19980047033U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KR101063486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구조
KR100203160B1 (ko) 자동차 축전지의 취부구조
US11077745B2 (en) High voltage battery carrier for vehicle
CN214929327U (zh) 一种车辆的后视镜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200408484Y1 (ko) 연결브라켓 연결구조
CN109888141B (zh) 支架组件、电池系统及电动汽车
CN216184767U (zh) 一种车身支架结构
CN209881262U (zh) 线束护套组件及具有它的车辆
CN210807849U (zh) 一种集成化装配装置
CN217917588U (zh) 电驱系统总成承载装置及汽车
CN219838609U (zh) 车架组件和车辆
CN220410483U (zh) 多合一控制器安装支架及车辆
KR0182899B1 (ko) 배터리 마운팅용 브라케트의 고정구조
JP2023018192A (ja) 車両のヒューズユニット取付構造
KR100457108B1 (ko) 버스용 시트의 측면 장착구조
KR19980029237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9980029236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