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800A -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800A
KR19980028800A KR1019960047974A KR19960047974A KR19980028800A KR 19980028800 A KR19980028800 A KR 19980028800A KR 1019960047974 A KR1019960047974 A KR 1019960047974A KR 19960047974 A KR19960047974 A KR 19960047974A KR 19980028800 A KR19980028800 A KR 19980028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shock absorber
absorber
support structur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800A/ko
Publication of KR1998002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800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쇽업소버를 내장하고서 하부가 너클(2)에 체결되는 반면에 상부는 스트러트 인슐레이터(9)를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된 스트러트 어셈블리(1)의 외주에는 상부 스프링시트(4)와 하부 스프링시트(5)가 상하로 소정간격을코일스프링(3)과 쇽 업소버 사이의 오프셋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 스프링시트(4,5)가 회동지지수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Description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쇽 업소버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지지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쇽 업소버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지지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쇽 업소버의 외주에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상.하부 스프링시트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기지되어 쇽 업소버에 가해지는 수평력에 의한 마찰을 저감시켜 쇽 업소버의 진동이나 충격흡수능력을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업소버와 코일스프링의 외력에 의한 회전궤적의 차이로 인해 쇽 업소버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쇽 업소버가 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차량의 승차감이 나빠지게 된다.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쇽 업소버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지지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인 바, 즉 쇽 업소버를 내장한 스트러트 어셈블리(1)의 하부가 너클(2)에 체결되고, 이 스트러트 어셈블리(1)의 외주에는 코일스프링(3)이 끼워져 상부 스프링시트(4)와 하부어셈블리의 외주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이 상.하부 스프링시트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차량의 리바운드나 범퍼시에 그 양태에 따라 적절히 오프셋각도가 가변되면서 수평방향의 외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켜 줌으로써, 쇽 업소버가 원활하게 제기능을 발휘하면서 진동이나 충격을 적절히 흡수함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이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쇽 업소버를 내장하고서 하부가 너클(2)에 체결되는 반면에 상부는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9 )를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된 스트러트 어셈블리(1)의 외주에는 상부 스프링시트(4)와 하부 스프링시트(5)가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이 상.하부 스프링시트(4,5)사이에 코일스프링(3)이 끼워져 지지되게 장착된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지지구조에 있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수단이 소정 곡률로 만곡된 제 1지지판(10a)이 스트러트 어셈블리(1)의 댐퍼로드(1a)와 외통(1b)에 각각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제 1 지지판(10a)에는 제 1 지지판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로 만곡되면서 상부 스프링시트(4)와 하부 스프링시트(5)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 제 2 지지판(10b)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KR1019960047974A 1996-10-24 1996-10-24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KR19980028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974A KR19980028800A (ko) 1996-10-24 1996-10-24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974A KR19980028800A (ko) 1996-10-24 1996-10-24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800A true KR19980028800A (ko) 1998-07-15

Family

ID=6628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974A KR19980028800A (ko) 1996-10-24 1996-10-24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8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76A (ko) * 2001-09-18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킹핀축 가변이 가능한 스트러트 인슈레이터 마운트 구조
KR100428132B1 (ko) * 2001-08-21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32B1 (ko) * 2001-08-21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20030024376A (ko) * 2001-09-18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킹핀축 가변이 가능한 스트러트 인슈레이터 마운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672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KR100828788B1 (ko) 차량용 현가 장치의 스프링 좌굴 방지 장치
US6357771B1 (en) Torsion bar with variable rate anchor arm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KR19980028800A (ko) 쇽 업소버의 코일스프링 가변지지구조
JP4261670B2 (ja) ストラットダンパのダストカバー取付構造
US5186439A (en) Friction compensating automotive suspension strut
JP3874385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3168856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取付構造
KR100616010B1 (ko) 차량의 스트럿어셈블리
KR0126352Y1 (ko) 맥퍼슨형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의 개선된 상부장착 구조
KR100471752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러트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00391602B1 (ko) 차량의 롤링 방지용 스트럿어셈블리
KR19980016797U (ko) 자전거 안장 쿠션장치
KR100206544B1 (ko) 대형 차량용 리바운드 스토퍼 구조
KR0162794B1 (ko) 자동차 서스펜션용 부쉬
JPS62184987A (ja) 二,三輪車における車輪懸架装置の懸架ばね機構
JPS6112429Y2 (ko)
JPS598884Y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94500B1 (ko) 측 하중 저감 타입 맥퍼슨 스트러트 현가장치
KR100318075B1 (ko) 자동차의 노이즈 저감용 스프링 시트 구조
JPH053782Y2 (ko)
KR20050038172A (ko) 횡력 저감용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19990040225A (ko) 스트러트식 현가장치의 가변직경형 2중스프링
KR20050076859A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