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723B1 -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 Google Patents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723B1
KR100298723B1 KR1019970080050A KR19970080050A KR100298723B1 KR 100298723 B1 KR100298723 B1 KR 100298723B1 KR 1019970080050 A KR1019970080050 A KR 1019970080050A KR 19970080050 A KR19970080050 A KR 19970080050A KR 100298723 B1 KR100298723 B1 KR 100298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cylinder
axis
hol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836A (ko
Inventor
이윤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7008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7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쇽 업소오버의 작동방향에 대해 측력이 작용할 때 축선이 가변되어 내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쇽 업소오버(20)의 원통형 가이드관(22)과 실린더(24)의 양끝단에 형성한 홀더홈(26)과,
상기 홀더홈(26)에 가변 이동하게 가능하게 개재 설치되는 금속구(28)와,
상기 금속구(28)에 의해 쇽 업소오버(20)의 축중심 이동이 가변적으로 조정되게 상부 인슐레이터(32)와 하부아암(34)에 설치 형성한 오목홈(3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가변 축형 쇽 업소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
본 발명은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 업소오버의 작동방향에 대해 측력이 작용할 때 축선이 가변되어 내구성을 도모한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에 관한 것이다.
쇽 업소오버는 노면에 의해 발생된 스프링의 진동을 재빨리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스프링의 피로를 적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또, 쇽 업소오버에 의해 고속 주행 조건의 하나인 로드 홀딩도 현저히 향상 된다.
쇽 업소오버는 작동상 리바운드할 때에만 감쇠력을 발생하는 단동식과 바운드, 리바운드의 양쪽에서 감쇠력을 발생하는 복동식이 있다.
도4는 종래기술의 쇽 업소오버의 장착을 도시한 도면으로, 쇽 업소오버(2)는 원통형 가이드관(4)과, 실린더(6)의 양끝단에 체결링부(8)를 형성하여 차체 또는 크로스 멤버에 체결되고 있다.
상기한 쇽 업소오버(2)는 외력에 의해 상,하운동으로 압축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외력이 F방향에서 작용하게 되면 실린더(6)의 내벽(10)과 피스톤(12)과의 사이에서 측압이 발생한다.
상기한 종래의 쇽 업소오버 작동시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 발생한 측압 때문에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의 편마모가 A부에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쇽 업소오버의 기능은 저하로 현가장치의 좌,우 균형을 잃게 되어 차체의 평형 유지등이 어려워 조정 안정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쇽 업소오버의 작동방향에 대해 측력이 작용할 때 축선이 가변되어 내구성을 도모한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4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쇽 업소오버 22:가이드관 24:실린더
26:홀더홈 28:금속구 32:인슐레이터
34:아암 36:오목홈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의 원통형 가이드관과 실린더의 양끝단에 형성한 홀더홈과,
상기 홀더홈에 가변 이동하게 가능하게 개재 설치되는 금속구와,
상기 금속구에 의해 쇽 업소오버의 축중심 이동이 가변적으로 조정되게 상부인슐레이터와 하부아암에 설치 형성한 오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의 원통형 가이드관과 실린더의 양끝단에 홀더수단인 홀더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구름수단인 금속구를 개재한다.
그리고 금속구를 양끝단에 개재한 쇽 업소오버가 외력에 의해 축중심의 각도가 변한 후 외력의 상실시 다시 정 축중심을 유지하는 자세로 복귀할 수 있게 아암과 인슐레이터에 오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쇽 업소오버에 F방향에서 측력이 작용하더라도 자동으로 축중심선이 가변되어 피스톤과 실린더 측벽과의 사이에 발생할려는 편마모를 해소하게 된다.
따라서 쇽 업소오버에 측력이 상실되면 축중심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변 축형 쇽 업소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2는 도1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쇽 업소오버(20)의 원통형 가이드관(22)과, 실린더(24)의 양끝단에 홀더홈(2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홀더홈(26)에는 금속구(28)를 개재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금속구(28)의 이동 변위를 가능하게 하면서 탄성부재(30)의 개재가 이루어지게 인슐레이터(32)와 아암(34)상에 오목홈(3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쇽 업소오버(20)의 원통형 가이드관(22)과 실린더(24)의 양끝단 홀더홈(26)에 금속구(28)를 개재한 후 인슐레이터(32)와 아암(34)의 오목홈(36)간에 걸쳐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쇽 업소오버(20)는 외력에 의해 상,하운동시 F방향에서 측력이 작용하면 쇽 업소오버(20)의 자세가 일정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쇽 업소오버(20)가 측력을 받았을 때 설치 자세가 이를 수용하므로서 종래의 피스톤(38)과 실린더(24) 내벽과 사이에서 측압에 의해 발생하던 발열이나 피스톤(38)의 편마모를 줄이게 된다.
그리고 쇽 업소오버(20)가 측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상,하운동에 의해 하부의 금속구(28)는 아암(34) 오목홈(36)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가이드관(22)의 금속구(28)도 인슐레이터(32) 오목홈(36)의 중심에 자리하게 된다.
이러한 쇽 업소오버(20)에 또, 측력이 작용하면 이를 받아들여 자세를 가변시키는 등 상,하운동시 자동으로 가변적 자세를 유지하게 되어 피스톤(38)의 마모등을 해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에 측력이 어느 방향에서 작용하더라도 자동으로 자세가 가변되어 축방향에 대한 상,하운동을 용이하게 하여 피스톤과 실린더의 작용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쇽 업소오버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현가장치의 안정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쇽 업소오버(20)의 원통형 가이드관(22)과 실린더(24)의 양끝단에 형성한 홀더홈(26)의 홀더수단과,
    상기 홀더수단에 개재되어 가변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금속구(28)의 구름수단과,
    상기 구름수단에 의해 쇽 업소오버(20)의 축중심 이동이 가변적으로 조정되게 상부 인슐레이터(32)와 하부 아암(34)에 오목홈(36)의 지지홈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변축 중심형 쇽 업소오버.
KR1019970080050A 1997-12-31 1997-12-31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KR100298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050A KR100298723B1 (ko) 1997-12-31 1997-12-31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050A KR100298723B1 (ko) 1997-12-31 1997-12-31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836A KR19990059836A (ko) 1999-07-26
KR100298723B1 true KR100298723B1 (ko) 2002-04-06

Family

ID=3752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050A KR100298723B1 (ko) 1997-12-31 1997-12-31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87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836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6456B2 (en) Recuperating passive and active suspension
US4066278A (en) Stabilizer assembly for use in vehicles
US7331627B2 (en) Lateral control rod for a cab suspension system
US6968931B2 (en) Shock absorber with guiding system
US11187298B2 (en) Extension assembly for damper
US20180154725A1 (en) Air spring hanging piston bearing
US6206152B1 (en) Vibration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KR100298723B1 (ko)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KR20200128921A (ko) 차량용 쇽업소버
US5186439A (en) Friction compensating automotive suspension strut
KR20210140994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KR100616010B1 (ko) 차량의 스트럿어셈블리
KR100392344B1 (ko) 자동차용현가장치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0116172Y1 (ko)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KR100458189B1 (ko) 감쇠력 가변 서스펜션
KR100376151B1 (ko) 쇽압쇼바의가변식유압댐퍼
WO2024003932A1 (en) Control of fluid flow in suspension dampers
KR20010048973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KR20070059365A (ko) 쇽업소버의 가변오리피스구조
KR20030003533A (ko) 자동차의 로워암 구조
KR20050038172A (ko) 횡력 저감용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CN117162720A (zh) 一种双减振器悬架结构及车辆
KR20000018366U (ko) 서스펜션의 스트럿 구조
KR200205069Y1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