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973A -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973A
KR20010048973A KR1019990053875A KR19990053875A KR20010048973A KR 20010048973 A KR20010048973 A KR 20010048973A KR 1019990053875 A KR1019990053875 A KR 1019990053875A KR 19990053875 A KR19990053875 A KR 19990053875A KR 20010048973 A KR20010048973 A KR 2001004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damping force
damping
inner tube
forc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5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8973A/ko
Publication of KR2001004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과 접하는 내측튜브의 내주면상에 폭의 길이가 가변적인 감쇠력 조절용 홈을 형성시켜 이를 매개로 주행중 리바운드 내지 범프시 쇽 업소버의 감쇠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진동제진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된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의 내측튜브(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됨과 더불어 상측 및 하측부위(26a)의 폭이 각각 중앙부위(26b)에 비해 다소 좁도록 설정된 감쇠력 조절용 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shock absorber structur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쇽 업소버의 내측튜브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의 감쇠력 조절용 홈을 형성시켜 이를 매개로 별도의 오일의 유동통로를 형성함으로써 감쇠력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스프링과, 섀시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바아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쇽 업소버(Shock-Absorber)는 차량의 주행중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작용을 하고, 그 방식에 따라 고체 마찰식과 유압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압식이 많이 사용되며, 또 작동상으로는 신장시에 감쇠력을 발휘하는 단동식과, 신장시와 압축시에 모두 감쇠력을 발휘하는 복동식이 있다.
한편, 종래 복동식의 쇽 업소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또는 어퍼컨트롤아암에 고정되면서 내부에 전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로드(12)와, 이 로드(12)의 선단에 결합된 피스톤(14)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재(10)와; 차축 또는 로어컨트롤아암에 고정되면서 상기 피스톤(14)을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서 작동실(21)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튜브(22)와, 이 내측튜브(22)의 외부에서 폐공간을 형성하여 보상실(23)을 형성하는 외측튜브(24)를 포함하는 실린더부재(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14)에는 피스톤밸브(14a)가 오리피스(14b)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튜브(22)의 저면에는 바디밸브(22a)가 오리피스(22b)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튜브(22)의 작동실(21)과 상기 외측튜브(24)의 보상실(23)내에는 각각 소정량의 오일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부호 30은 로드(12)의 선단에 장착되어 차체 또는 어퍼컨트롤아암에 고정되기 위한 부시이고, 31은 외측튜브(24)의 선단에 장착되어 차축 또는 로어컨트롤아암에 고정되기 위한 부시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가 주행중 현가장치의 리바운드(rebound)에 의해 상기 쇽 업소버가 신장되면, 상기 내측튜브(22)의 작동실(21)내에 저장된 오일이 피스톤밸브(14a)를 통과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반해 자동차가 주행중 현가장치의 범프(bump)에 의해 상기 쇽 업소버가 수축되면, 상기 외측튜브(24)의 보상실(23)내에 저장된 오일이 바디밸브(22a)를 통과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결과,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은 상기 쇽 업소버에 의해 제진되어 차실내에서 느끼게 되는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쇽 업소버에서는 피스톤(14)에 형성된 피스톤밸브(14a)와 외측튜브(24)에 구비된 바디밸브(22a)에 의해 전적으로 감쇠력의 정도가 결정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구현할 수 있는 감쇠특성이 획일화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스톤과 접하는 내측튜브의 내주면상에 폭의 길이가 가변적인 감쇠력 조절용 홈을 형성시켜 이를 매개로 주행중 리바운드 내지 범프시 쇽 업소버의 감쇠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진동제진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된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의 내측튜브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됨과 더불어 상측 및 하측부위의 폭이 각각 중앙부위에 비해 다소 좁도록 설정된 감쇠력 조절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복동식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쇽 업소버를 부분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내측튜브상에 형성된 감쇠력 조절용 홈을 부분절개하여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우징부재 12-로드
14-피스톤 20-실린더부재
22-내측튜브 24-외측튜브
26-감쇠력 조절용 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쇽 업소버를 부분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내측튜브상에 형성된 감쇠력 조절용 홈을 부분절개하여 확대도시한 사시도인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위해 종래 복동식 쇽 업소버를 도시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쇽 업소버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와, 이 로드의 선단에 결합된 피스톤(14)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재(10)와; 상기 피스톤(14)을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내측튜브(22)와, 이 내측튜브(22)의 외부에서 폐공간을 형성하는 외측튜브(24)를 포함하는 실린더부재(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쇽 업소버의 실린더부재(20)를 형성하는 내측튜브(22)의 내주면에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감쇠력 조절용 홈(26)이 형성되는 바, 이 감쇠력 조절용 홈(26)은 상측 및 하측부위(26a)의 폭이 각각 중앙부위(26b)에 비해 다소 좁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감쇠력 조절용 홈(26)은 내측튜브(22)내에서 피스톤(14)이 상하로 이동될 때 작동실(21)내의 오일이 피스톤(14)에 구비된 피스톤밸브(14a)와는 별도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상기 내측튜브(22)가 형성하는 작동실(21)내의 오일은 피스톤(14)에 구비된 피스톤밸브(14a)를 통해 유동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내측튜브(22)의 내주면상으로 형성된 감쇠력 조절용 홈(26)을 통해서도 각각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튜브(22)내에서 피스톤(14)이 상하로 왕복이동될 때, 상기 감쇠력 조절용 홈(26)의 상측 및 하측부위(26a)에서는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상기 피스톤(14)이 감쇠력 조절용 홈(26)의 중앙부위(26b)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감쇠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감쇠력 조절용 홈(26)은 통상적인 평탄로의 주행중에서 차량의 현가장치가 리바운드 내지 범프될 때, 상기 피스톤(14)이 내측튜브(22)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영역이 주로 감쇠력 조절용 홈(26)의 중앙부위(26b)에 해당되므로, 이때 얻게 되는 낮은 감쇠력만으로도 충분히 진동을 제진할 수 있으며, 특히 작은 감쇠특성으로 인한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감쇠력 조절용 홈(26)은 비포장길과 같은 오프로드의 주행중에서 차량의 현가장치가 리바운드 내지 범프될 때, 상기 피스톤(14)이 내측튜브(22)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영역이 주로 감쇠력 조절용 홈(26)의 중앙부위(26b)를 거쳐 상측 및 하측부위(26a)에까지 이르게 되므로, 이때에는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어 차체의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행중 차량이 노면의 상태에 따라 리바운드 내지 범프를 거듭할 때 상기 피스톤밸브(14a)와 바디밸브(22a)를 통과하는 오일의 유체저항력외에 별도로 감쇠력 조절용 홈(26)을 지나게 되는 오일의 유체저항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감쇠력 조절용 홈(26)의 형상이나 위치를 적절하게 변화시키게 되면 최적의 감쇠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쇽 업소버에서 피스톤(14)에 형성된 피스톤밸브(14a)와 외측튜브(24)에 구비된 바디밸브(22a)에 의해 전적으로 구현되는 감쇠특성의 획일화를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에서는, 상기 내측튜브(22)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감쇠력 조절용 홈(26)이 중앙에 폭의 길이가 확장된 형태의 중앙부위(26b)로부터 상하로 연장된 상측 및 하측부위(26aa)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도록 형성된 것인 바, 이 상측 및 하측부위(26aa)는 이의 폭길이가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구현되는 감쇠특성은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폭길이 대비 얻어지는 감쇠력의 정도가 반비례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서도 주행중 노면의 상태에 따라 차량이 리바운드 내지 범프를 거듭할 때 상기 피스톤밸브(14a)와 바디밸브(22a)를 통과하는 오일의 유체저항력외에 별도로 감쇠력 조절용 홈(26)을 지나게 되는 오일의 유체저항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감쇠력 조절용 홈(26)의 형상이나 위치를 적절하게 변화시키게 되면 최적의 감쇠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에 의하면, 쇽 업소버의 내측튜브상에 감쇠특성을 가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감쇠력 조절용 홈이 형성됨에 따라, 주행중 상기 쇽 업소버가 획일적인 진동감쇠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가변화될 수 있는 진동감쇠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승차감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된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의 내측튜브(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됨과 더불어 상측 및 하측부위(26a)의 폭이 각각 중앙부위(26b)에 비해 다소 좁도록 설정된 감쇠력 조절용 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력 조절용 홈(26)은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상측 및 하측부위(26aa)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KR1019990053875A 1999-11-30 1999-11-30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KR20010048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75A KR20010048973A (ko) 1999-11-30 1999-11-30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875A KR20010048973A (ko) 1999-11-30 1999-11-30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973A true KR20010048973A (ko) 2001-06-15

Family

ID=1962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875A KR20010048973A (ko) 1999-11-30 1999-11-30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89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536B1 (ko) 2020-12-21 2021-06-28 이종범 자기 소버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536B1 (ko) 2020-12-21 2021-06-28 이종범 자기 소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753B1 (ko)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쇠력가변식 쇽업소버
KR20140115726A (ko)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및 상기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를 가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1771690B1 (ko) 로드 가이드에 설치된 부가밸브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US6206152B1 (en) Vibration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KR20010048973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구조
JP4318071B2 (ja) 油圧緩衝器
KR101239914B1 (ko) 쇽업소버의 선회 감응밸브 조립체
US6382373B1 (en) Frequency dependant damper
KR200287283Y1 (ko) 쇽업소버
KR100482108B1 (ko) 하이브리드 가변 감쇠력을 가지는 쇽업소오버
JP3033457B2 (ja) セルフポンピング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3525740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591796Y2 (ja) 自動二輪車用倒立型フロントフォーク
KR20090100485A (ko) 전자석을 이용한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20000037749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00445986B1 (ko) 쇽 업소버
KR10133785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960004424Y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감쇠벨브
KR100260306B1 (ko) 차량용 현가 장치의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19990013191U (ko) 스트로크 감응식 쇽업소버
KR100298723B1 (ko)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KR100856492B1 (ko) 가이드 부재를 갖는 이중 피스톤 밸브
KR100376151B1 (ko) 쇽압쇼바의가변식유압댐퍼
KR20050014443A (ko) 가변 감쇠력을 갖는 쇽 업소버 장치
KR100455212B1 (ko)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