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693A -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 Google Patents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693A
KR19980025693A KR1019960043923A KR19960043923A KR19980025693A KR 19980025693 A KR19980025693 A KR 19980025693A KR 1019960043923 A KR1019960043923 A KR 1019960043923A KR 19960043923 A KR19960043923 A KR 19960043923A KR 19980025693 A KR19980025693 A KR 19980025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ction pipe
oil suction
pipe structure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2887B1 (ko
Inventor
박태광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88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6Means for keeping lubricant level constant or for accommodating movement or position of machines or engines
    • F01M11/062Accommodating movement or position of machines or engines, e.g. dry sumps
    • F01M11/064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7Oil pickup tube to oil pump, e.g. str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을 오일펌프로 흡입하는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을 오일펌프로 흡입하는 오일흡입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흡입관의 상측에 굴절가능토록 설치된 팽창파이프와, 유면기울기에 따라 상기 팽파이프를 굴절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는ECU와, 상기 오일팬에 저장된 유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ECU에 입력하는 유면기울기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는 유면기울기에 따라 오일 흡입관이 회전되어 오일스크린이 항상 오일내부에 위치되므로 오일의 흡입효율이 상승되고, 또한 오일스크린이 오일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기가 혼입되지 않아 공기 혼입으로 인한 엔진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오일흡입관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가)는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의 구성도,
(나)는 상기 (가) 'A' 방향 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오일 팬 가스켓22:오일 스크린
24:오일흡기관26:팽창파이프
30:작동수단32:편심기어
34:작동기어36:리턴스프링
38:작동모터 40:ECU
50:유면기울기 감지수단51:기울기 감지센서
52:부력체 54:중력추
본 발명은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을 오일펌프로 흡입하는 오일흡입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의 유면기울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오일흡입관을 회동시킴으로써 오일흡입효율을 향상시킨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윤활은 엔진 내부의 마찰 저항을 저감함과 동시에 엔진 내부의 냉각에 대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엔진에는 윤활을 위한 엔진 오일일 주입되어 있다. 엔진의 윤활 방식에는 오일 펌프에 의한 압송과 주요 운동 부분에서의 비산에 의한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엔진 오일을 엔진 하부의 오일 팬에 모아 이것을 오일 펌프로 주요 부분에 보내는 습식 섬프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엔진오일 공급장치는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팬과, 상기 오일 팬의 오일을 흡입하여 엔진 각부로 압송하는 오일펌프와, 압송된 오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오일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오일 팬의 오일이 상기 오일펌프로 흡입되는 오일흡입관이 설치된다.
상기 종래의 오일흡입관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0)이 저장되는 오일팬(10)과, 상기 오일팬(10)의 오일 내부에 위치되어 오일 내부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오일스크린(12)과, 상기 오일스크린(12)에서 걸러진 오일이 오일펌프로 흡입되는 오일흡입관(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일흡입관 구조는 상기 오일팬(10)의 오일(0)이 상기 오일흡입관(14)을 통해 상기 오일펌프로 공급된다. 상기 오일펌프가 엔진 각부로 오일을 압송하기 위하여 오일(0)을 흡입하면, 상기 오일팬(10)의 오일(0)이 상기 오일스크린(12)에서 부피가 큰 불순물을 걸러진 뒤 상기 오일흡입관(14)을 통해 상기 오일펌프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오일흡입관 구조에서는 차량의 급가속이나 급감속시 또는 급선회기 상기 오일팬(10)의 내부의 오일유면(0)이 경사지게 변화하여 오일유면 일부가 상기 오일스크린(12)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오일흡입효율이 떨어지고 공기가 혼입되어 엔진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그 경사도에 따라 오일흡입관을 회동시켜 오일스크린이 항상 저장된 오일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오일흡입효율이 상승되고 공기 혼입이 방지되도록 한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을 오일펌프로 흡입하는 오일흡입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흡입관의 상측에 굴절가능토록 설치된 팽창파이프와, 유면기울기에 따라 상기 팽창파이프를 굴절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는 ECU와, 상기 오일팬에 저장된 유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ECU에 입력하는 유면기울기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0)이 저장되는 오일팬(20)과, 상기 오일팬(20)의 오일 내부에 위치되어 오일내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오일스크린(22)과, 걸러진 오일이 오일펌프로 흡입되는 오일흡입관(24)과, 상기 오일흡입관(24)의 상측에 굴절가능토록 설치된 팽창파이프(26)와, 유면기울기에 따라 상기 팽창파이프(26)를 굴절시키는 작동수단(30)과, 상기 작동수단(30)을 제어하는 ECU(40)와, 상기 오일팬(20)에 저장된 유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ECU(40)에 입력하는 유면기울기 감지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수단(30)은 상기 오일흡입관(24)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편심기어(32)와, 상기 편심기어(32)와 치합되어 상기 오일흡입관(24)을 회전시키는 작동기어(34)와, 상기 ECU(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작동기어(34)를 작동시키는 작동모터(38)로 구성된다.
상기 유면기울기 감지수단(50)은 유면사에 떠있는 부력체(52)와, 상기 부력체(52)의 하부에 설치되어 항상 연직 방향을 유지하는 중력추(54)와, 상기 부력체(52)에 설치되어 상기 중력추(54)의 각도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51)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팽창파이프(26)의 일측에는 상기 오일흡입관(24)을 원 위치로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링(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일팬(20)의 오일(0)을 상기 오일펌프가 흡입하며, 상기 오일스크린(22에 의해 오일내의 큰 불순물이 걸러진 후 상기 오일흡입관(24)을 통해 상기 오일펌프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차량이 급가속하거나 급감속 또는 급선회하여 오일팬(20) 내부의 유면 기울기가 변화하면 상기 유면기울기 감지 수단(50)에 의해 그 기울기가 감지되어 상기 ECU(40)로 신호가 보내진다. 상기 ECU(40)는 상기 작동모터(38)에 작동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작동모터(38)가 작동되면 상기 작동기어(34)가 상기 편심기어(32)와 치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편심기어(32)가 회전하면 상기 편심기어(32)에 편심되게 고정된 상기 오일흡입관(24)이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오일(0)내에 상기 오일스크린(22)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팽창파이프(26)는 상기 오일흡입관(24)이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은 팽창되고 다른 일측은 압축된다.
상기 오일팬(20) 내부의 오일이 정상 기울기를 갖게되면 상기 리턴스프링(36)의 탄력에 의해 상기 오일흡입관(24)이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팽창파이프(26)를 복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는 유면기울기에 따라 오일흡입관이 회전되어 오일스크린이 항상 오일내부에 위치되므로 오일의 흡입효율이 상승되고, 또한 오일스크린이 오일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기가 혼입되지 않아 공기 혼입으로 인한 엔진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을 오일펌프로 흡입하는 오일흡입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일흡입관의 상측에 굴절가능토록 설치된 팽창파이프와, 유면 기울기에 따라 상기 팽창파이프를 굴절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을 제어하는 ECU와, 상기 오일팬에 저장된 유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ECU에 입력하는 유면기울기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오일흡입관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편심기어와, 상기 편심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오일흡입관을 회전시키는 작동기어와, 상기 ECU의 신호에 의해 상기 작동기어를 작동시키는 작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면기울기 감지수단은 유면상에 떠있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항상 연직 방향을 유지하는 중력추와, 상기 부력체에 설치되어 상기 중력추의 각도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파이프는 그 일측에 상기 오일흡입관을 원위치로 탄발시키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KR1019960043923A 1996-10-04 1996-10-04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KR100212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23A KR100212887B1 (ko) 1996-10-04 1996-10-04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23A KR100212887B1 (ko) 1996-10-04 1996-10-04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93A true KR19980025693A (ko) 1998-07-15
KR100212887B1 KR100212887B1 (ko) 1999-08-02

Family

ID=1947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923A KR100212887B1 (ko) 1996-10-04 1996-10-04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473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유면 추종형 오일스트레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473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유면 추종형 오일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887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6147A (en) Vacuum priming system for centrifugal pumps
KR19980025693A (ko) 가변형 오일흡입관 구조
US3363404A (en) Mud degassers
JP6885203B2 (ja) 警告制御装置
JPH08296600A (ja) 吸引装置の吸引調整装置
KR101235631B1 (ko) 레벨 측정 장치
EP0034487B1 (en) Oil level and flow sensing apparatus for vacuum pump service
KR100228191B1 (ko) 차량용 유조식 공기청정기
JP4083480B2 (ja) 給油潤滑式圧縮機
JPS62295724A (ja) 燃料タンク用ストレ−ナ
KR960001454Y1 (ko) 수면 부상식 오일제거장치
KR19980021168U (ko) 내연기관의 오일흡입장치
JP2005069079A (ja) 内燃機関のオイル循環装置
KR100986469B1 (ko) 습식 에어클리너 장치
JPH0738719Y2 (ja) 揚水ポンプ装置
JPH0612929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0134655Y1 (ko) 내연기관용 오일펌프의 오일스트레이너
JPH04237727A (ja) 作業機のエンジン潤滑油量警報装置
JP2538662Y2 (ja) 揚水ポンプ装置
JPH0315614A (ja) エンジンの油量警報装置
KR19980045641U (ko) 자동변속기의 오일 필터
JP2540794Y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ストレ−ナ装置
JP2947056B2 (ja) ポンプの吸込口に設けるストレーナー装置
JPS6118543A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オツシヤ液減量警告装置
KR19980016476A (ko) 공기 혼입 방지형 오일 스크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