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546A -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546A
KR19980025546A KR1019960043696A KR19960043696A KR19980025546A KR 19980025546 A KR19980025546 A KR 19980025546A KR 1019960043696 A KR1019960043696 A KR 1019960043696A KR 19960043696 A KR19960043696 A KR 19960043696A KR 19980025546 A KR19980025546 A KR 1998002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urity regions
well
forming
gate electrodes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5853B1 (ko
Inventor
한병율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6004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8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9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14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urce or drain structures, e.g. specific source or drain implants or silicid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or rais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3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a self aligned punch through stopper or threshold implant under the gat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동작에 유리하도록한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은 기판에 제1도전형웰 및 제 2도전형웰과 상기 제1도전형웰과 제2도전형웰 사이에 격리층이 형성된 기판, 상기 제1, 제2도전형웰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 양측의 제1도전형웰 및 제2도전형웰에 상기 해당웰과 반대 도전형으로 형성되는 제1, 제2불순물 영역들, 상기 제1, 제2불순물 영역 하측에 해당웰과 동일한 도전형으로 형성되는 제1포켓불순물 영역들, 상기 제1, 제2불순물 영역 일측에 해당웰과 동일한 도전형으로 상기 제1포켓 불순물 영역과 격리되어 형성되는 제2포켓 불순물 영역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동작에 유리하도록한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MOS의 구조 단면도이다.
종래의 CMOS는 p형 기판(11)에 형성되는 p웰(12) 및 n웰(13)과 상기 p웰(12)과 n웰(13)의 격리영역에 형성되는 필드 산화막(14)과, 상기 필드 산화막(14)에 의해 정의된 활성영역의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제1, 제2게이트 전극(15a, 15b)과, 상기 제1게이트 전극(15a)양측의 상기 p웰(12)에 형성되는 LDD구조의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18, 23) 및 상기 제2게이트 전극(15b)양측의 상기 n웰(13)에 형성되는 LDD구조의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21, 24)과, 상기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18,23)을 감싸는 p형 포켓 불순물 영역(19) 및 상기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21, 24)을 감싸는 n형 포켓 불순물 영역(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CMOS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f는 종래 기술에 따른 CMOS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11)의 소정 영역에 이온 주입공정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불순물을 주입하고, 드라이브인 확산을 통해 p웰(12)과 n웰(13)을 형성한다.
도 2b에서와 같이, 전면에 초기 산화막과 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한 후, 상기 질화막 상부에 제1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질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열산화하여 상기 p웰(12)과 n웰(13)의 경계부분의 반도체 기판(11)상에 필드 산화막(14)을 형성한 다음, 상기 초기 산화막과 질화막을 제거한다.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필드 산화막(14)을 포함한 전면에 제1절연막과, 다결정 실리콘층과, 제2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한 다음, 상기 제2절연막 상에 제2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사진 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제1, 제2절연막과 다결정 실리콘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므로 게이트 절연막(10)과, 캡 게이트 절연막(16)과, 제1, 제2게이트 전극(15a, 15b)을 형성한 후, 상기 제2감광막을 제거한다.
도 2d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15a, 15b)을 포함한 전면에 제3감광막(17)을 도포한 후, 상기 n웰(13) 영역의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3감광막(17)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저농도의 n형 불순물과, p형 불수물을 차례로 이온 주입하므로 상기 제1게이트 전극(15a) 양측의 p웰(12) 영역에 저농도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18)과 p형 포켓(Pocket) 불순물 영역(19)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3감광막(17)을 제거한다.
여기서 이온 주입 에너지는 p형 포켓 불순물 영역(19) 형성시 더 세게 한다.
도 2e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15a, 15b)을 포함한 전면에 제4감광막(20)을 도포한 후, 상기 p웰(12)영역의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4감광막(2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저농도의 p형 불순물과, n형 불순물을 차례로 이온 주입하므로 상기 제2게이트 전극(15b)양측의 n웰(13)영역에 저농도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21)과, n형 포켓 불순물 영역(2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4감광막(20)을 제거한다.
여기서 이온 주입 에너지는 n형 포켓 불순물 영역(22) 형성시 더 세게 한다.
도 2f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15a, 15b)을 포함한 전면에 질화막을 형성하고 에치백하여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15a, 15b) 양측면에 게이트 측벽(23)을 형성한 다음 전면에 제5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상기 n웰(13) 영역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이어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5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 n형 불순물 이온을 이온 주입하므로 고농도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23)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5감광막을 제거한다.
그리고 전면에 제6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상기 p웰(12) 영역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 다음,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6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 p형 불순물 이온을 이온주입함으로 고농도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24)을 형성한 후, 상기 제6감광막을 제거한다.
종래의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은 포켓 불순물에 의해 역도핑되어 전류의 흐름에 방해가 됨으로 트랜스 콘덕턴스가 저하되고 턴온(turn-on) 전류가 작아 트랜지스터의 고속동작에 장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포켓 불순물이 불순물 영역을 감싸는 양을 조절하여 트랜지스터의 고속 동작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소자 및 제 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CMOS의 구조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종래 기술에 따른 CMOS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MOS의 구조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에 따른 CMOS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반도체 기판32:p웰
33:n웰34:필드 산화막
39:저농도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
41:저농도 p형 소오스/드레인불순물 영역
43a, 43b:p형 포켓 불순물 영역44a, 44b:n형 포켓 불순물 영역
46:고농도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
47:고농도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는 기판에 제1도전형웰 및 제2도전형웰과 상기 제1도전형웰과 제2도전형웰 사이에 격리층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제1, 제2도전형웰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 양측의 제1도전형웰 및 제2도전형웰에 상기 해당웰과 반대 도전형으로 형성되는 제1, 제2불순물 영역과, 상기 제1, 제2불순물 영역 하측에 해당웰과 동일한 도전형으로 형성되는 제1포켓 불순물 영역들과, 상기 제1, 제2불순물 영역 일측에 해당웰과 동일한 도전형으로 상기 제1포켓 불순물 영역과 격리되어 형성되는 제2포켓 불순물 영역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에 제1도전형웰과 제2도전형웰을 형성하고 계면에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도전형웰상에 각각 제1, 제2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 양측의 제1도전형웰 및 제2도전형웰에 해당웰에 반대되는 도전형으로 제1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복수개의 제1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연막을 측벽을 포함한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제2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연막 측벽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2절연막 측벽 및 제1, 제2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제2포켓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MOS의 구조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CMOS는 p형 기판(31)에 형성되는 p웰(32) 및 n웰(33)과, 상기 p웰(32)과, n웰(33)의 격리영역에 형성되는 필드 산화막(34)과, 상기 필드 산화막(34)에 의해 정의된 활성 영역의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제1, 제2게이트 전극(35a, 35b)과, 상기 제1게이트 전극(35a) 양측의 상기 p웰(32)에 형성되는 LDD구조의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39, 46) 및 상기 제2게이트 전극(35b) 양측의 상기 n웰(33)에 형성되는 LDD구조의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1,47)과, 상기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39, 46)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p형 포켓 불순물 영역(43a), 상기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39, 46)의 일측에 상기 제1p형 포켓 불순물 영역(43a)과 격리되어 형성되는 제2p형 포켓 불순물 영역(43b) 및 상기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1,47)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n형 포켓 불순물 영역(44a), 상기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1,47)의 일측에 상기 제1n형 포켓 불순물 영역(44a)과 격리되어 형성되는 제2n형 포켓 불순물 영역(4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CMOS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에 따른 CMOS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31)의 소정 영역에 이온 주입 공정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불순물을 주입하고, 드라이브 인 확산을 통해 p웰(32)과 n웰(33)을 형성한다.
도 4b에서와 같이, 전면에 초기 산화막과 제1질화막을 차례로 형성한 후, 상기 제1질화막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여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1질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열산화 하여 상기 p웰(32)과 n웰(33)의 경계부분의 반도체 기판(31)상에 필드 산화막(34)을 형성한 다음, 상기 초기 산화막과 제1질화막을 제거한다.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필드 산화막(34)을 포함한 전면에 제1절연막과, 다결정 실리콘층과, 제2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한 다음, 상기 제2절연막상에 제1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사진 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제1, 제2절연막과 다결정 실리콘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므로 p웰(32)과 n웰(33)에 각각 게이트 절연막(30)과, 캡 게이트 절연막(36)과, 제1, 제2게이트 전극(35a, 35b)을 형성한 후, 상기 제1감광막을 제거한다.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35a, 35b)을 포함한 전면에 제2질화막을 형성하고 에치백하여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35a, 35b) 양측에 질화막 측벽(37)을 형성하고, 이때 질화막 측벽(37)의 두께는 0.01~0.15㎛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질화막 측벽(37)의 두께는 틸트 이온주입의 각도를 조절 한다.
도 4e에서와 같이, 전면에 제2감광막(38)을 도포한 후, 상기 n웰(33) 영역의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2감광막(38)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므로 상기 제1게이트 전극(35a)양측의 p웰(32)영역에 저농도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39)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2감광막(38)을 제거한다.
도 4f에서와 같이, 전면에 제3감광막(40)을 도포한 후, 상기 p웰(32)영역의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3감광막(4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므로 상기 제2게이트전극(35b) 양측의 n웰(33)영역에 저농도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1)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3감광막(40)을 제거한다.
도 4g에서와 같이, 전면에 제2산화막을 형성하고 에치백하여 상기 질화막 측벽(37)을 포함한 제1, 제2게이트 전극(35a, 35b)양측에 산화막 스페이서의 두께가 0.05~2㎛로 하는 산화막 측벽(42)을 형성한다.
도 4h에서와 같이, 상기 질화막 측벽(37)을 고온의 인산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전면에 제4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상기 n웰(33) 영역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이어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4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p형 불순물 이온을 이온 주입하므로 상기 제1게이트 전극(35a)양측의 p웰(32)영역에 상기 질화막 측벽(37)의 제거로 형성된 공간에 의해 서로 격리된 제1, 제2p형 포켓 불순물 영역(43a, 43b)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4감광막을 제거한다. 그리고 전면에 제5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상기 p웰(32) 영역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 다음,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5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n형 불순물 이온을 이온 주입하므로 상기 제2게이트 전극(35b)양측의 n웰(33) 영역에 상기 질화막 측벽(37)의 제거로 형성된 공간에 의해 서로 격리된 제1, 제2n형 포켓 불순물 영역(44a, 44b)을 형성한 후, 상기 제5감광막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p형, n형 포켓 불순물 영역(43a, 43b, 44a, 44b)의 이온 주입 에너지는 상기 저농도 n형,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영역(39, 41)보다 크다.
도 4i에서와 같이, 전면에 제3산화막(45)을 저압 증착(LPCVD)법으로(0.01㎛≤α≤0.1㎛)의 식에 의해 0.015~0.175㎛의 두께로 형성하여 상기 질화막 측벽(37)을 제거하여 생긴 공간을 메꾼 후, 전면에 제6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상기 n웰(33)영역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이어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6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 n형 불순물 이온을 이온 주입 하므로 고농도 n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6)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4감광막을 제거한다, 그리고 전면에 제7감광막(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하여 상기 p웰(32) 영역 상부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 다음,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7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고농도 p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 하므로 고농도 p형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7)을 형성한 후, 상기 제7감광막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은 홈을 가진 게이트 측벽으로 서로 격리된 제1, 제2포켓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므로 포켓 불순물의 장점도 살리고 트랜스 콘덕턴스를 개선하며, 트랜지스터의 턴온 전류를 증가시켜 트랜지스터의 고속동작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기판에 제1도전형웰 및 제2도전형웰과 상기 제1도전형웰과 제2도전형웰 사이에 격리층이 형성된 기판;
    상기 제1, 제2도전형웰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 양측의 제1도전형웰 및 제2도전형웰에 상기 해당웰과 반대 도전형으로 형성되는 제1, 제2불순물 영역들;
    상기 제1, 제2불순물 영역 하측에 해당웰과 동일한 도전형으로 형성되는 제1포켓불순물 영역들;
    상기 제1, 제2불순물 영역 일측에 해당웰과 동일한 도전형으로 상기 제1포켓 불순물 영역과 격리되어 형성되는 제2포켓 불순물 영역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 기판에 제1도전형웰과 제2도전형웰을 형성하고 계면에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제2도전형웰상에 각각 제1, 제2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 양측의 제1도전형웰 및 제2도전형웰에 해당웰에 반대되는 도전형으로 제1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복수개의 제1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막 측벽을 포함한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서 제2절연막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막 측벽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절연막 측벽 및 제1, 제2게이트 전극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제2포켓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불순물 영역이 LDD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제1절연막 측벽을 0.01~0.15㎛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제1절연막 측벽을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제2절연막 측벽을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제2절연막 측벽을 0.05~0.2㎛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포켓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전면에 제3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제2게이트 전극 양측의 제1불순물 영역 하측에 상기 제1불순물 영역과 동일한 도전형으로 제2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3절연막을 0.015~0.175㎛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제3절연막을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포켓 불순물 영역을 제1불순물 영역보다 높은 에너지로 이온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9960043696A 1996-10-02 1996-10-02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KR10021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696A KR100215853B1 (ko) 1996-10-02 1996-10-02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696A KR100215853B1 (ko) 1996-10-02 1996-10-02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546A true KR19980025546A (ko) 1998-07-15
KR100215853B1 KR100215853B1 (ko) 1999-08-16

Family

ID=1947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696A KR100215853B1 (ko) 1996-10-02 1996-10-02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935B1 (ko) * 2001-12-29 2004-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861282B1 (ko) * 2002-06-03 2008-10-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935B1 (ko) * 2001-12-29 2004-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861282B1 (ko) * 2002-06-03 2008-10-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5853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566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008100A (en)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fabrication process
KR100873356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9980025546A (ko)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KR1998005314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98874B1 (ko) 트랜지스터의형성방법
KR100227644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415191B1 (ko) 비대칭형 씨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337200B1 (ko) 모스펫형성방법
KR100305205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00364794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60958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3910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03379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0125296B1 (ko) 모스펫(mosfet) 제조방법
KR100421899B1 (ko) 반도체소자제조방법
KR10022538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3945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69570B1 (ko) 반도체소자의 모스전계효과 트렌지스터 제조방법
KR100223811B1 (ko) 반도체 소자 및 제조방법
KR100247170B1 (ko) 트렌치 구조를 갖는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422823B1 (ko) 모스트랜지스터제조방법
KR20030056893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9980030510A (ko) 모스펫(mos fet)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9990004401A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