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90A -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90A
KR19980025090A KR1019970049462A KR19970049462A KR19980025090A KR 19980025090 A KR19980025090 A KR 19980025090A KR 1019970049462 A KR1019970049462 A KR 1019970049462A KR 19970049462 A KR19970049462 A KR 19970049462A KR 19980025090 A KR19980025090 A KR 1998002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ulsation
front side
rear side
refrigera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053B1 (ko
Inventor
마사야 나카무라
히사토 가와무라
데츠야 야마구치
모토노부 가와카미
하야토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치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치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치세이
Publication of KR1998002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6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sidebranch resonators, e.g. 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n/2차 성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적은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한 쪽의 실린더 블록(21)내에는 다른 쪽의 실린더 블록(22)중 어느쪽의 압축실(29)과도 다른 타이밍으로 냉매 가스의 토출을 행하는 압축실(29)을 설치한다. 토출실(35, 36)과 토출 통로(45, 46)로부터 한 쌍의 맥동 감소 수단을 구성하며, 각 맥동 감소수단에 의한 압축 냉매 가스의 토출맥동의 감소율을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같게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본 발명은, 차량 공기 조절 장치에 사용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토출맥동의 감소(저감) 기술에 관계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상기와 같은 종류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동 샤프트가 지지됨과 동시에, 크랭크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상호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 실린더 보어 내에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그 피스톤과 대향하는 밸브 플레이트 사이에 압축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에는 캠 플레이트로서의 사판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사판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되어, 냉매 가스가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의 운전시에는 압축된 냉매 가스가 상기 각 압축실에서 순차적으로 토출된다. 이 때문에, 상기 토출마다 토출실내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높아져서 이른바 토출맥동이 발생한다. 상기 토출맥동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FT) 해석을 행하면, 0차(zero)로부터 상당히 고차에 걸치는 폭넓은 주파수 성분이 얻어진다. 이것들의 주파수 성분 중에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고유 진동수와 근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진 현상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여 차 실내의 소음 레벨을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등록공개 소―84779호 공보에는, 전면측 및 후면측의 양쪽의 토출실에 각각 거의 동일한 길이의 파이프 일단부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양 쪽 파이프의 타단 개구부를 실린더 블록내에 대향 배치시킨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구성으로서는 토출맥동의 감소 요인으로서 열거할 수 있는 것은, 전면측 및 후면측의 토출실에 접속되는 파이프, 즉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를 거의 일치시키는 것뿐이다. 그리고, 다른 감소 요인에 관하여는, 상세히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상기 토출맥동의 주파수 성분 중에, 한 쪽의 기통수 n/2에 대응한 회전 n/2차 성분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회전 n/2차 성분이란, 구동 샤프트의 1회전 사이에 n/2회의 동일 변위를 반복하는 성분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n/2차 성분의 주파수는 압축기의 상용 회전수로써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고유 진동수와 근접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이 많았다.
그런데, 상기 회전 n/2차 성분의 발생 요인은 전후의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의 불균등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많은 발생 요인이 생각된다. 이 때문에, 다른 발생 요인에 의해 회전 n/2차 성분이 새롭게 증대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발생 요인에 의해, 전면측의 각 압축실에 유래하는 토출맥동과의 사이에, 감소율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압축기 전체의 토출맥동으로서,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크기가 다르고, 상호 위상이 180°어긋난 2개의 회전 n/2차 성분이 공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 구성의 토출맥동 감소 기구만으로서는, 그 감소 효과가 불충분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으로서는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n/2차 성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적은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동 샤프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크랭크실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상호 평행이 되도록 배열하여, 그 실린더 보어 내에 피스톤을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그 피스톤과 대향하는 밸브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압축실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에는 캠 플레이트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그 캠 플레이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고, 냉매 가스를 압축하도록 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한 쪽의 실린더 블록내에는 다른 쪽의 실린더 블록 어느 쪽의 압축실과도 다른 타이밍으로 냉매 가스의 토출을 행하는 압축실을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실린더 보어로부터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의 맥동을 감소하기 위한 한 쌍의 맥동 감소 수단을 구비하여,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의한 맥동의 감소율이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같게 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제 2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린더 블록에는 홀수개의 실린더 보어를 배열한 것이다.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맥동 감소 수단이 하우징 내에 형성된 토출실과 그 토출실의 압축 냉매 가스를 토출 머플러에 이끄는 토출 통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청구항 제 4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의 용적과 상기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와 그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을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같게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제 5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3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의 용적, 상기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 및 그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의 어느 것인가 1개를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같게 되도록 형성하여, 다른 2개의 크기를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의한 맥동의 감소율이 같게 되도록 설정한 것이다.
청구항 제 6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의 용적과 상기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와 그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을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그 3개의 크기를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의한 맥동의 감소율이 같게 되도록 설정한 것이다.
청구항 제 7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의 선단을 상호 근접 또한 대향하도록 개구한 것이다.
청구항 제 8 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맥동 감소 수단과 거의 연속하도록 오일 세퍼레이터부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토출맥동은 그 감소율이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압축실내의 냉매 가스는 어느 것이나 거의 같은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되어 토출실에 토출된다. 이 때문에, 전면측 및 후면측의 양 토출실내에 토출된 상태에서의 냉매 가스는 어느 것이나 같은 크기의 한 쪽의 기통수 n/2에 대응하는 회전 n/2차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토출맥동을 가지는 것이 된다. 그리고,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 가스의 토출맥동의 회전 n/2 성분은 동일하게 감쇠된다.
여기에서, 한 쪽의 실린더 블록내에는, 다른 쪽의 실린더 블록의 어느 쪽의 압축실과도 다른 타이밍으로 냉매 가스의 토출을 행하는 압축실을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양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가 합류된 상태로, 180°위상의 어긋난 전면측과 후면측과의 회전 n/2차 성분이 합성되더라도, 그 2개의 회전 n/2차 성분이 완전하게 중첩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회전 n/2차 성분이 감소되어,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사이에서의 공진 현상의 가진력이 감소되어, 차 실내의 소음 레벨이 낮추어진다.
청구항 제 2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서는, 한 쪽의 기통수가 홀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실린더 보어를 등간격 각도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전압축실에 대하여 다른 타이밍으로 토출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회전 n/2차 성분의 각 피크 위치가 구동 샤프트의 회전각에 있어서 360/(n/2)°씩 어긋난 것으로 된다. 더우기, 전면측에서의 냉매 가스와 후면측에서의 냉매 가스와는 그 회전 n/2차 성분에 있어서, 위상이 상호 180°어긋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양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가 합류한 상태로서는, 그 토출맥동이 구동 샤프트의 1회전의 사이에 n회 동일 변위를 반복한다. 결국 각 피크 위치가 각각 360/n°어긋난 회전 n차 성분이 주성분으로 되어, 회전 n/2 차 성분은 소실한다. 그리고,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사이에서 공진 현상의 가진력이 크게 감소되어, 차 실내의 소음 레벨이 크게 낮추어진다.
청구항 제 3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맥동 감소 수단이 하우징내에 형성된 토출실 및 그 토출실과 토출 머플러 사이의 토출 통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토출실에 있어서는, 그 용적이 클수록 토출된 냉매 가스가 팽창되어 맥동이 크게 감소된다. 또한, 토출 통로에 있어서는, 그 통로 길이가 길수록 혹은 그 개구 면적이 적을수록, 교축 효과가 크게 되어 토출맥동이 크게 감소된다.
청구항 제 4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서 토출실의 용적,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이 어느 것이라도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측과 후면측과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있어서의 맥동 감소율이 거의 같은 것으로 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n/2차 성분이 감소된다.
청구항 제 5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전면측과 후면측으로서 토출실의 용적,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 및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 내의 어느 것인가 1개가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측과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있어서, 그 맥동의 감소율을 거의 동일하게 해야 하는, 다른 2개의 크기가 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n/2차 성분이 감소된다.
청구항 제 6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전면측과 후면측으로서 토출실의 용적,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 및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의 어느 것이라도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측과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있어서, 그 맥동의 감소율을 거의 동일하게 해야 하는, 그 3개의 크기가 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n/2차 성분이 감소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한 경우, 압축기의 다른 구성 요소의 크기 혹은 탑재 스페이스의 제약등에 따라서,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의 형상을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어, 압축기 전체 구성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청구항 제 7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토출 통로의 선단이 상호 근접하도록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 머플러 형상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 n/2차 성분을 감소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토출 통로의 선단이 상호 대향하도록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측과 후면측으로부터의 압축 냉매 가스끼리 충돌하여, 회전 n/2차 성분이 한층 더 감소된다.
청구항 제 8 항 기재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로서는, 압축 냉매 가스중에 분산된 윤활유를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된 윤활유를 압축기내의 접동부에 환류시켜, 그 접동부의 윤활에 제공할 수 있다. 더우기, 오일 세퍼레이터부 내에서, 압축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회전 n/2차 성분이 또한 감소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압축기 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전면측 실린더 블록의 후면측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 압축기의 맥동 감소 기구를 모델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7a는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토출맥동의 감소율을 균등하게 한 경우에 관한 설명도.
도 7b는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토출맥동의 감소율을 불균등으로 한 경우의 토출맥동 감소에 관한 설명도.
도 8은 별도의 예인 (3)항의 압축기의 맥동 감소 기구를 모델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별도의 예인 (4)항의 압축기의 맥동 감소 기구를 모델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별도의 예인 (5)항의 압축기의 맥동 감소 기구를 모델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별도의 예인 (6)항의 압축기의 맥동 감소 기구를 모델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21, 22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 블록
23 : 밸브 플레이트
24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면 하우징
25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후면 하우징
27 :실린더 보어 28 : 피스톤
29 : 압축실 35, 36 : 토출실
37 : 크랭크실 38 : 구동 샤프트
40 : 캠 플레이트로서의 사판 45, 46 : 토출 통로
47 : 오일 세퍼레이터부 49 : 토출 머플러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측의 실린더 블록(21)과 후면측의 실린더 블록(22)과는 중앙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21)의 전면측 단면에는 밸브 플레이트(23)를 통해 전면 하우징(24)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22)의 후면측 단면에는 밸브 플레이트(23)를 개재시켜 후면 하우징(25)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21, 22), 전면 하우징(24), 후면 하우징(25) 및 밸브 플레이트(23)는 복수의 관통 볼트(26)에 의해 상호 체결 고정되어, 이들에 의해서 압축기의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21, 22)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27)가 상호 평행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 보어(27) 내부에는 양두형의 피스톤(28)이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들의 피스톤(28)의 양측단부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23)와의 사이에 있어서, 각 실린더 보어(27) 내에는 전후 한 쌍의 압축실(29)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23)에는 각 실린더 보어(27)에 대응하도록 흡입 밸브 기구(30) 및 토출 밸브 기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하우징(24) 및 후면 하우징(25) 내에는 거의 고리 형상의 압력격벽(32)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격벽(32)에 의해, 각 하우징(24, 25) 내의 외주측에는 흡입실(33, 34)이 구획 형성됨과 동시에, 중심측에는 토출실(35, 36)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흡입실(33, 34)은 밸브 플레이트(23)로 형성된 상기 흡입 밸브 기구(30)를 통해 압축실(29)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토출실(35, 36)은 밸브 플레이트(23)로 형성된 상기 토출 밸브 기구(31)를 통해 압축실(29)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양 실린더 블록(21, 22)의 중앙부에는 크랭크실(37)이 형성되어 있다. 양 실린더 블록(21, 22)의 축구멍(21a, 22a)에는 구동 샤프트(38)가 한 쌍의 레이디얼 베어링(39)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38)의 전단 부근의 외주면과 전면 하우징(24)의 개구부(24a)의 내주면 사이에는, 립실(24b)이 장착되고, 압축기내에서의 냉매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어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38)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를 통해 차량 엔진등의 외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38)의 중간 외주부에는 캠 플레이트로서의 사판(40)이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사판(40)에는 상기 피스톤(28)이 한 쌍의 슈(41)를 통해 계류되어, 사판(4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28)이 실린더 보어(27) 내에서 왕복 운동된다. 또한, 사판(40)의 보스부(40a)는 한 쌍의 스러스트 베어링(42)을 통해, 크랭크실(37)을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21, 22)의 전후 양측 벽면에 지지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실(37)은 실린더 블록(21, 22) 및 밸브 플레이트(23)로 형성한 흡입 통로(43)를 통해 상기 흡입실(33, 34)과 연통되어 있다. 크랭크실(37)은 실린더 블록(22)으로 형성한 흡입구(44)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실(35, 36)은 밸브 플레이트(23) 및 실린더 블록(21, 22)으로 형성된 토출 통로(45, 46)를 통해, 실린더 블록(21, 22)으로 형성된 오일 세퍼레이터부(47)에 접속되어 있다. 오일 세퍼레이터부(47)는 한 쌍의 연통 구멍(48)을 통해 토출 머플러(49)에 연결되어 있다. 토출 머플러(49)는 토출구(50)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실린더 보어(27)는 각 실린더 블록(21, 22)에 있어서 홀수개(상기 실시 형태로서는 5개) 형성되고, 각 실린더 보어(27)는 등간격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결국, 이 실시 형태의 압축기로서는, 양 실린더 블록(21, 22)으로 10개의 압축실(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10개의 압축실(29)은 어느 것이나 다른 타이밍으로 냉매 가스의 토출이 행하여지게 되어 있다.
상기 토출실(35, 36) 및 토출 통로(45, 46)는 압축 냉매 가스의 맥동을 감소하기 위한 맥동 감소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면측의 토출실(35)의 용적, 토출 통로(45)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과 후면측의 토출실(36)의 용적, 토출 통로(46)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이 각각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압축기 전체의 토출 용량이 100∼200cc 정도인 경우, 상기 토출실(35, 36)의 용적으로서는, 20∼100cc가 바람직하고, 60∼80cc가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로서는, 13∼60mm가 바람직하고, 40∼50mm가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 통로(45, 46)의 개구 면적의 직경으로서는, 7∼12mm가 바람직하고, 4∼6mm가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부(47)는 거의 이중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토출 통로(45, 46)의 선단이 상호 근접 또한 대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예를 들면 압축기 전체의 토출 용량이 100∼200cc 정도인 경우, 상기 토출 통로(45, 46)의 선단 사이의 거리로서는, 3∼20mm가 바람직하고, 5∼ 8mm가 또한 바람직하다. 토출 통로(45, 46)의 외주면과 그 외주면에 대향하는 실린더 블록(21, 22) 및 격벽(51) 사이에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선회 통로(52)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 통로(52)는 토출 통로(45, 46)의 기단부 부근의 격벽(51)으로 형성된 연통 구멍(48)을 통해 토출 머플러(49)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면(53)은 전면측 및 후면측의 실린더 블록(21, 22)의 접합 단면상에 있어, 오일 세퍼레이터부(47)와 그 오일 세퍼레이터부(47)에 근접한 제 1 볼트 구멍(54)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면(53)에 의해서, 양 실린더 블록(21, 22)이 접합된 상태로, 오일 세퍼레이터부(47)와 제 1 볼트 구멍(54) 사이에 소정의 교축 정도를 가지는 틈이 형성된다. 제 1 볼트 구멍(54)은 후면측 실린더 블록(22)의 후면측 단면에 각설된 제 1 급유홈(55)을 통해, 저유실(56)에 연결되어 있다.
저유실(56)은 후면측 실린더 블록(22)의 축구멍(22a)에 감입된 유저원 통상의 슬리브(57) 내에, 밸브 플레이트(23) 및 후면 하우징(25)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유실(56)은 슬리브(57)로 형성된 투영 구멍(58)을 통해 후면측 실린더 블록(22)의 축구멍(22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저유실(56)은 후면측 실린더 블록(22)의 후면측 단면에 각설된 제 2 급유홈(59)을 통해, 실린더 블록(21, 22) 하단의 제 2 볼트 구멍(60)에 연통되어 있다. 제 2 볼트 구멍(60)은 전면측 실린더 블록(21)의 전면측 단면에 각설된 제 3 급유홈(61)을 통해, 전면측 실린더 블록(21)의 축구멍(21a)에 연결되어 있다. 결국, 상기 저유실(56)과 전면측 실린더 블록(21)의 축구멍(21a)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 엔진등의 외부 구동원에 의해 구동 샤프트(38)가 회전되면, 크랭크실(37) 내의 사판(40)이 회전되어, 슈(41)를 통해 복수의 피스톤(28)이 실린더 보어(27) 내에서 왕복 운동된다. 상기 피스톤(28)의 운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에서 흡입구(44)를 거쳐서 크랭크실(37)에 이끌어진 냉매 가스는 크랭크실(37)로부터 흡입 통로(43)를 거쳐서 흡입실(33, 34)에 이끌어진다. 피스톤(28)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을 향하는 재팽창·흡입 행정에 있어서는, 압축실(29)의 압력 저하에 따라, 흡입실(33, 34) 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 밸브 기구(30)를 통해 압축실(29) 내에 흡입된다.
다음에, 피스톤(28)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을 향하는 압축·토출 행정에 있어서는, 압축실(29) 내의 냉매 가스가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여 압축된 후, 토출 밸브 기구(31)를 통해 토출실(35, 36)에 토출된다. 또한, 토출실(35, 36) 내의 압축 냉매 가스는 토출 통로(45, 46)를 거쳐서, 오일 세퍼레이터부(47)에 이끌어진다.
오일 세퍼레이터부(47) 내에서 전면측의 토출 통로(45)로부터의 압축 냉매 가스와 후면측의 토출 통로(46)로부터의 압축 냉매 가스가 충돌한다. 충돌을 거친 압축 냉매 가스는 다시 전면측 및 후면측에 방향 전환되어, 선회 통로(52) 내에서 토출 통로(45, 46) 외주면의 주위에서 선회된다. 이 때, 냉매 가스중에 분산된 윤활유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윤활유의 분리된 냉매 가스는 연통 구멍(48)을 통해 토출 머플러(49) 내에 토출된다. 토출 머플러(49) 내의 압축 냉매 가스는 토출구(50)를 통해 외부 냉매 회로를 이루는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로 공급되어, 차량 실내의 공기 조절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오일 세퍼레이터부(47) 내는 고압의 토출압 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저유실(56)는 저압의 흡입압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압력차에 의해서, 오일 세퍼레이터부(47) 내에서 분리된 윤활유는 양 실린더 블록(21, 22)의 접합 단면상의 조면(53)에 의해 구성되는 틈, 제 1 볼트 구멍(54), 제 1 급유홈(55)을 통해, 저유실(56)에 이끌어지고, 일단 저류된다. 그리고, 저유실(56)내의 윤활유의 일부는, 슬리브(57)의 투영 구멍(58)을 통해 후면측 실린더 블록(22)의 축구멍(22a)에 공급되어, 후면측의 레이디얼 베어링(39)의 윤활 및 냉각에 제공된다. 또한, 저유실(56) 내의 윤활유의 다른 일부는 제 2 급유홈(59), 제 2 볼트 구멍(60) 및 제 3 급유홈(61)을 통해 전면측 실린더 블록(21)의 축구멍(21a)에 공급된다. 그리고, 전면측의 레이디얼 베어링(39), 또한 전면 하우징(24) 립실(24b)의 윤활 및 냉각에 제공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 형태의 압축기는 한 쪽의 기통수가 5이기 때문에, 그 운전시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38)가 1회전하면, 각 토출실(35, 36) 내에 5회, 압축 냉매 가스가 토출이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토출 정도에 토출실(35, 36) 내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높여지고, 이른바 토출맥동이 발생한다. 상기 한 쪽마다의 토출맥동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FT) 해석을 행하면, 한 쪽의 기통수 n/2에 대응하는 회전n/2차 성분으로서의 회전 5차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0차로부터 상당히 고차에 걸치는 폭 넓은 주파수 성분이 얻어진다. 상기 회전 5차 성분이란, 구동 샤프트(38)의 1회전분의 시간에 있어서 5회의 동일 변위를 반복하는 성분이다.
그런데, 각 압축실(29) 내의 냉매 가스는 어느 것이나 거의 같은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압축되어, 교축 기능을 가진 토출 밸브 기구(31)를 통해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토출실(35, 36)에 토출된다. 이 때, 압축 냉매 가스는 약간 재팽창된다. 이 재팽창에 의해, 토출실(35, 36) 내의 압축 냉매 가스는 그 토출맥동의 회전 5차 성분이 소정량 감소된다.
토출실(35, 36) 내의 압축 냉매 가스는 소정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을 가지는 토출 통로(45, 46)를 통해 오일 세퍼레이터부(47)에 이끌어진다. 상기 토출 통로(45, 46)를 통과할 때의 교축 효과에 의해서, 압축 냉매 가스의 토출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5차 성분은 또한 감소된다. 그리고, 오일 세퍼레이터부(47) 내에서, 전면측 및 후면측의 토출 통로(45, 45)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압축 냉매 가스가 충돌됨과 동시에 유동 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충돌 및 유동 방향의 변경에 의해서도, 압축 냉매 가스의 토출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5차 성분이 감소된다.
그리고,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압축실(29)로부터의 압축 냉매 가스는 토출 머플러(49) 내에서 합류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 형태의 압축기로서는 한 쪽의 기통수는 5(홀수)이고, 각 실린더 보어(27)가 등간격 각도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회전 5차 성분의 각 피크 위치가 구동 샤프트의 회전각에 있어서 360/5= 72°씩 어긋난 것으로 된다. 또한, 1개의 피스톤(28)을 통해 양측의 압축실(29)은 구동 샤프트(38)의 회전각에 있어서 상호 180°격리한 시점에서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10개의 전체 압축실(29)에 대하여, 각각 다른 타이밍으로 토출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전면측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회전 5차 성분과 후면측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회전 5차 성분으로서는, 그 위상에 180°의 어긋남이 생기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 형태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도 6에 모델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측 및 후면측에서, 토출실(35, 36)의 용적,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이 어느 것이나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있어서의 맥동의 감소율이 거의 같은 것으로 되는 이것에 의해, 토출 머플러(49) 내에서 합류될 때에, 전면측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회전 5차 성분 및 후면측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회전 5차 성분과는 거의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즉, 전면측 및 후면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의 합류에 의해서, 각각 72°피크 간격을 갖고, 상호 180°위상 어긋남을 가지며, 또한 거의 같은 크기의 2개의 회전 5차 성분이 합성되게 된다. 상기 합성에 의해, 36°간격을 가지는 규칙적인 10개의 피크를 가지는 회전 10차 성분이 토출맥동의 주성분으로 되어, 회전 5차 성분은 소실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기대된다.
(a) 상기 실시 형태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한 쪽의 기통수가 홀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실린더 블록(21, 22)에 있어서, 각 실린더 보어(27)를 등간격 각도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전 압축실(29)에서 다른 타이밍으로써 토출이 행하여진다. 이 압축 냉매 가스의 토출에 근거하여 토출맥동이 발생한다. 상기 토출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5차 성분은 전면측 및 후면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가 토출실(35, 36) 및 토출 통로(45, 46)를 통과함에 의해 마찬가지로 감소된다. 이것에 의해, 전면측 및 후면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가 토출 머플러(49) 내에서 합류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토출 회전 5차 성분이 공존하지 않고 소실된다. 따라서,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사이에서의 공진 현상의 가진력가 크게 감소되어, 차 실내의 소음 레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 배관(호스)의 공진점이 맥동의 공진점에 임하여, 호스로부터 차량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잘 있지만, 상기 5차 성분을 감소하는 것으로 호스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 형태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서, 토출실(35, 36)의 용적,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이 어느 것이나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측과 후면측으로써의 압축 냉매 가스에 대하여, 토출맥동의 감소율을 용이하게 거의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5차 성분의 발생이 억제된다.
(c) 상기 실시 형태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전면측 및 후면측의 토출 통로(45, 46)의 선단이 상호 근접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토출 머플러(49)의 형상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 5차 성분을 감소할 수 있다. 더우기, 그것들 토출 통로(45, 46)의 선단이 상호 대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측과 후면측으로써의 압축 냉매 가스끼리 충돌하여, 회전 5차 성분이 한층더 감소된다.
(d) 상기 실시 형태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토출 통로(45, 46)로 연속하도록, 오일 세퍼레이터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축 냉매 가스중에 분산된 윤활유가 오일 세퍼레이터부(45, 46)에 있어서 회수된다. 상기 회수된 윤활유를 압축기 내의 레이디얼 베어링(39), 립실(24b)등의 접동부로 환류시켜, 그것들의 접동부의 윤활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그것들의 접동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어, 나아가서는 압축기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우기, 오일 세퍼레이터부(47) 내에서, 압축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유동 방향의 변경에 의해, 압축 냉매 가스의 토출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5차 성분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별도의 예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일 세퍼레이터부(47) 및 그 오일 세퍼레이터부(47)에 연이어 설치된 윤활유의 공급 구성을 생략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토출맥동에 있어 회전 n/2차 성분의 감소 기능을 손상하지 않고, 압축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실린더 블록(21, 22) 내에 예를 들면 2, 4, 6개등의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27)를 배열함과 동시에, 한 쪽의 실린더 블록(21, 22) 내에는 다른 쪽의 실린더 블록(22, 21) 어느 쪽의 압축실(29)과도 다른 타이밍으로 냉매 가스의 토출을 행하는 압축실(29)을 설치하도록, 그것들의 실린더 보어(27)의 일부를 등간격 각도 위치에서 비켜 놓고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양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가 토출 머플러(49) 내에서 합류된 상태에 있어서, 180°위상이 어긋난 전면측과 후면측에 유래하는 회전 n/2차 성분이 합성되어도, 완전하게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n/2차 성분이 감소되어,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사이에서 공진 형상의 가진력이 감소되어, 차 실내의 소음 레벨을 저하시킬 수 있다.
(3) 도 8에 모델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별도의 예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면측 및 후면측의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이 상이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별도의 예인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토출실(35, 36)의 용적은 전면측과 후면측과 같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측의 토출 통로(45)는 후면측의 토출 통로(46)와 비교하여 통로 길이가 길게, 개구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토출 통로(45, 46)에 있어서는, 그 통로 길이가 긴 정도 혹은 그 개구 면적이 작을수록, 교축 효과가 크게 되어, 맥동이 크게 감소된다. 즉, 전면측의 토출 통로(45) 및 후면측의 토출 통로(46)에서 그 토출맥동의 감소율이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4) 도 9에 모델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별도의 예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면측 및 후면측의 토출실(35, 36)의 용적 및 토출 통로(45, 46)의 개구 면적이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별도의 예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는 전면측 및 후면측에서 같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측의 토출실(35)은 후면측의 토출실(36)과 비교하여 개구 용적이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측의 토출 통로(45)는 후면측의 토출 통로(46)와 비교하여 개구 면적이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토출실(35, 36)의 용적이 클수록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가 팽창되어, 토출맥동이 크게 감소된다. 한편, 각 토출 통로(45, 46)에 있어서는, 그 개구 면적이 작을수록, 교축 효과가 크게 되어, 맥동이 크게 감소된다. 즉, 양 토출실(35, 36)의 용적 및 양 토출 통로(45, 46)의 개구 면적의 대소 관계에 의해, 전면측과 후면측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토출맥동의 감소율이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5) 도 10에 모델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별도의 예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면측 및 후면측의 토출실(35, 36)의 용적 및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별도의 예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토출 통로(45, 46)의 개구 면적은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같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측의 토출실(35)은 후면측의 토출실(36)과 비교하여 용적이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측의 토출 통로(45)는 후면측의 토출 통로(46)와 비교하여 통로 길이가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토출실(35, 36)의 용적이 클수록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가 팽창되어, 토출맥동이 크게 감소된다. 한편, 각 토출 통로(45, 46)에 있어서는, 그 통로 길이가 길을수록, 교축 효과가 크게 되어 맥동이 크게 감소된다. 즉, 양 토출실(35, 36)의 용적 및 양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의 대소 관계에 의해, 전면측 및 후면측과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토출맥동의 감소율이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6) 도 11에 모델적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별도의 예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면측 및 후면측 토출실(35, 36)의 용적,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이 모두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별도의 예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전면측의 토출실(35)은 후면측의 토출실(36)과 비교하여 용적이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토출실(35, 36)의 용적, 양 토출 통로(45, 46)의 통로 길이 및 개구 면적의 대소 관계 및 각각의 맥동 감소율의 변경 정도에 의해, 전면측과 후면측과의 각 압축실(29)에 유래하는 토출맥동의 감소율이 토탈(total)로 거의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3)항∼(6)항 기재의 별도의 예와 같이 구성하여도, 압축 냉매 가스의 토출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5차 성분이 소실될 수 있다. 특히, (6)항 기재의 별도의 예로서는, 압축기의 다른 구성 요소의 크기 혹은 탑재 스페이스의 제약등에 따라서,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토출실(35, 36) 및 각 토출 통로(45, 46)의 형상을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어, 압축기 전체구성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7)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실린더 블록(21, 22)의 실린더 보어(27)의 수를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 이외의 홀수, 예를 들면 3, 7개 등으로서 해도 된다.
(8) 본 발명을 가변 용량 타입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구체화 해도 된다.
(9) 본 발명을 웨이브 캠 프레이트 타입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구체화해도 된다.
이것들과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 1 항 및 제 3 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양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가 합류된 상태로, 180°위상이 어긋난 전면측과 후면측과의 토출맥동에 있어서의 회전 n/2차 성분이 합성되더라도, 완전히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n/2차 성분이 감소되어,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사이에서의 공진 현상의 가진력이 감소되어, 차 실내의 소음 레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각 실린더 보어를 등간격 각도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양측에서의 압축 냉매 가스가 합류된 상태에 있어서, 토출맥동의 주성분이 회전 n차 성분이 되어, 회전 n/2차 성분은 소실한다. 따라서, 압축기 및 그것에 접속되는 보조기등의 사이에서 공진 현상의 가진력이 크게 감소되어, 차 실내의 소음 레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써의 압축 냉매 가스의 토출맥동의 감소율을 용이하게 거의 같게 할 수 있게 되어,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n/2차 성분의 발생이 억제된다. 특히, 청구항 제 6 항의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의 다른 구성 요소의 크기 혹은 탑재 스페이스의 제약등에 따라서,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의 형상을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어, 압축기 전체 구성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토출 머플러의 형상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 n/2차 성분을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써의 압축 냉매 가스끼리의 충돌에 의해서 회전 n/2차 성분을 한층더 감소할 수 있다.
청구항 제 8 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회수된 윤활유를 압축기내의 접동부에 환류시켜, 그것들의 접동부의 윤활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그것들의 접동부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어, 나아가서는 압축기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우기, 오일 세퍼레이터부내에서 압축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되기 때문에, 회전 n/2차 성분을 또한 감소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의 내부에 구동 샤프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크랭크실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열하며,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피스톤을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피스톤과 대향하는 밸브 플레이트 사이에 압축실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 샤프트에는 캠플레이트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캠플레이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켜, 냉매 가스를 압축하도록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한 쪽의 실린더 블록내에는, 다른 쪽의 실린더 블록의 어느 쪽의 압축실과도 다른 타이밍으로 냉매 가스의 토출을 행하는 압축실을 설치하며, 상기 하우징내에는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실린더 보어에서 토출된 압축 냉매 가스의 맥동을 감소하기 위한 한 쌍의 맥동 감소 수단을 구비하며, 각 맥동 감소(저감) 수단에 의한 맥동의 감소율이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같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린더 블록에는 홀수개의 실린더 보어를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 감소 수단이 하우징내에 형성된 토출실과, 상기 토출실의 압축 냉매 가스를 토출 머플러로 이끄(유도하는)는 토출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의 용적과, 상기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와 상기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을,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같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의 용적, 상기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 및 그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의 어느 것중 1개를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같게 되도록 형성하며, 다른 2개의 크기를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의한 맥동의 감소율이 같게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의 용적과, 상기 토출 통로의 통로 길이와, 상기 토출 통로의 개구 면적을,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으로 상이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3개의 크기를 전면측 및 후면측의 각 맥동 감소 수단에 의한 맥동의 감소율이 같게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의 선단을 상호 근접하고 대향되도록 개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 감소 수단과 연속에 가깝도록 오일 세퍼레이터 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19970049462A 1996-09-30 1997-09-29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0258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8752 1996-09-30
JP8258752A JPH10103228A (ja) 1996-09-30 1996-09-30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90A true KR19980025090A (ko) 1998-07-06
KR100258053B1 KR100258053B1 (ko) 2000-06-01

Family

ID=1732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462A KR100258053B1 (ko) 1996-09-30 1997-09-29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77049A (ko)
JP (1) JPH10103228A (ko)
KR (1) KR100258053B1 (ko)
CN (1) CN1102698C (ko)
TW (1) TW36160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61B1 (ko) * 2001-12-24 2008-03-13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의 축 지지베어링 윤활구조
KR101031813B1 (ko) * 2006-05-01 2011-04-2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456A (ja) * 1999-05-11 2000-11-2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1012343A (ja) * 1999-06-30 2001-01-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1082331A (ja) * 1999-09-14 2001-03-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における脈動抑制構造
JP2001099059A (ja) * 1999-10-04 2001-04-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2021717A (ja) * 2000-07-04 2002-01-23 Toyota Industries Corp 片頭ピストン型圧縮機
US6575708B2 (en) 2001-09-13 2003-06-10 Delphi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ead with improved oil retention
KR100723811B1 (ko) * 2001-10-10 2007-05-31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KR100659570B1 (ko) * 2003-02-18 2006-12-1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EP1612419A4 (en) * 2003-03-28 2007-01-03 Zexel Valeo Climate Contr Corp RECIPROCATING
WO2004092584A1 (ja) * 2003-04-17 2004-10-2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斜板式圧縮機
KR20080011701A (ko) * 2005-06-17 2008-02-05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업세팅 방법 및 업세팅 장치
KR100872478B1 (ko) 2006-06-15 2008-12-0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양방향 사판식 압축기의 냉매 내부 토출구조
KR101058706B1 (ko) * 2007-06-07 2011-08-2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KR101713322B1 (ko) * 2009-12-22 2017-03-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CN108361178A (zh) * 2018-03-26 2018-08-03 合肥达因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油气分离式降噪旋转斜盘式压缩机
KR102447345B1 (ko) * 2021-01-22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779A (ja) * 1983-10-17 1985-05-14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摺動接点装置
JPS60152077U (ja) * 1984-03-21 1985-10-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JP2797494B2 (ja) * 1989-08-07 1998-09-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US5139392A (en) * 1991-04-15 1992-08-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ulti-cylinder swash plate compressor discharge gas flow arran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61B1 (ko) * 2001-12-24 2008-03-13 한라공조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의 축 지지베어링 윤활구조
KR101031813B1 (ko) * 2006-05-01 2011-04-2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698C (zh) 2003-03-05
JPH10103228A (ja) 1998-04-21
KR100258053B1 (ko) 2000-06-01
US6077049A (en) 2000-06-20
CN1187584A (zh) 1998-07-15
TW361601U (en) 199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053B1 (ko)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0269951B1 (ko)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JP4946340B2 (ja)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KR970004813B1 (ko) 왕복운동형 압축기
US6296457B1 (en) Discharge pulsation damping apparatus for compressor
KR101978616B1 (ko) 유체기계,열교환 장치 및 유체기계의 작동방법
JP3697782B2 (ja) 圧縮機のマフラ構造
KR100363405B1 (ko)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US6390786B1 (en) Structure for damping pressure pulsations of compressor
US20090087321A1 (en) Two-stage compression rotary compressor
KR20180039676A (ko) 유체 기계,열교환 장치 및 유체 기계의 작동방법
JPH0261630B2 (ko)
KR100202790B1 (ko) 피스톤형 압축기
JPH0581758B2 (ko)
JP3899203B2 (ja) 往復動型圧縮機
KR101104283B1 (ko) 압축기
US6793471B2 (en) Fluid machine
CN115038874A (zh) 压缩机
KR100230724B1 (ko) 왕복 운동형 압축기
JPH01193095A (ja) 回転圧縮機
JP3489339B2 (ja) 圧縮機のマフラ構造
JP2001248549A (ja) 往復動型圧縮機
KR200148387Y1 (ko)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조립체
JP2004278361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20110137566A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