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322B1 -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322B1
KR101713322B1 KR1020090129198A KR20090129198A KR101713322B1 KR 101713322 B1 KR101713322 B1 KR 101713322B1 KR 1020090129198 A KR1020090129198 A KR 1020090129198A KR 20090129198 A KR20090129198 A KR 20090129198A KR 101713322 B1 KR101713322 B1 KR 10171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refrigerant
discharge
muffl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321A (ko
Inventor
문재영
김보성
석종명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2Multi-stage pumps of stepped pist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에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사판실(116)이 형성되며,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통로(118,118')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블럭(110,110')의 외면에는 상기 토출통로(118,118')와 연통되게 머플러(200)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에는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와 상기 사판실(116)을 연결하는 안내유로(119)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통로(118,118')에는 일측이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와 연통되고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머플러(200)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02)이 형성되는 오일분리관(30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가 오일분리관(300)으로부터 관통공(302)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오일은 머플러(200)의 내부에 머무르게 되고, 머무르던 오일은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의 안내유로(119)를 따라 사판실(116)로 이동하게 되므로, 오일이 다시 압축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윤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판, 압축기, 냉매, 오일, 회전, 분리

Description

사판식 압축기{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블럭의 내부에 오일이 내부에 머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1)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0a)를 구비하는 전방실린더블럭(10) 및 후방실린더블럭(10')과, 상기 전방실린더블럭(10)의 전방에 결합되어 토출실(31a)을 형성하기 위한 프론트헤드(30), 그리고 후방실린더블럭(10')의 후방에 결합되어 토출실(51a)을 형성하기 위한 리어헤드(50)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상기 프론트헤드(30), 전방실린더블럭(10), 후방실린더블럭(10') 및 리어헤드(50)의 순서로 배열되어 결합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0a)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0a)는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실린더블럭(10,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보어(10a) 의 내부에는 피스톤(12)이 각각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2)은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실린더보어(10a)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전방 빛 후방실린더블럭(10,10')을 관통하여서는 축지지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공(14)에는 회전축(20)이 관통한다. 상기 축지지공(14)의 내경은 회전축(250)의 외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0a)와 상기 축지지공(14)은 각각 흡입통로(16)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흡입통로(16)는 회전축(20)의 내부를 통해 전달된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0a)로 각각 전달되게 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사판실(1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리더블럭(10,1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사판실(18)의 내부에는 회전축(20)에 설치된 사판(26)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에는 각각 상기 프론트헤드(30) 및 리어헤드(50)의 토출실(31a,51a)과 연통되게 토출통로(19)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통로(19)는 상기 실린더보어(10a)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실린더블럭(10)의 일측면, 즉 전방에는 프론트헤드(30)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헤드(30)의 내부에는 토출실(31a)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31a)은 상기 실린더보어(10a)의 내부로 냉매가 공급된 후,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부분이 다. 상기 토출실(31a)은 대략 링 형상의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31a)로 나온 냉매는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공조를 위하여 열교환기로 공급된다.
상기 후방실린더블럭(10')의 타측면, 즉, 후방에는 리어헤드(5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헤드(50)는 전면이 열린 상태이고, 상기 후방실린더블럭(10')과 결합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0a)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51a)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과 프론트헤드(30) 및 리어헤드(50) 사이에는, 토출실(31a,51a)을 형성하면서, 상기 실린더보어(10a)와 토출실(31a,51a) 사이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55)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토출통로(19)와 연통되게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의 외면에는 머플러(60)가 형성된다. 상기 머플러(60)는 냉매의 맥동과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머플러(60)에는 압축기(1)의 외부(응축기)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포트(62)가 형성된다. 참고로 압축기(1)의 사판실(18) 내부로 냉매를 전달하는 흡입구(미도시)는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보어(10a)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1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피스톤(12)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다. 엔진에서의 구동력이 회전축(20)으로 전달되어, 회전축(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프론트헤드(30)의 축공(O)을 관통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의 중심에 형성된 축지지공(14)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 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초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2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22)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22)는 상기 회전축(20)의 내부에 회전축(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0)의 외면에는 입구(24a)와 출구(24b)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24a)는 상기 사판실(18)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상기 회전축(20)의 유로(21)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출구(24b)는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의 흡입통로(16)와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0a)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0)에는 피스톤(12)을 직선왕복운동 시키기 위한 사판(26)이 설치된다. 상기 사판(26)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0)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피스톤(12)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사판(26)의 연결을 위한 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0)을 향하여 일부가 열려있는 상기 안착부(12')에는 한 쌍의 반구형상 슈(27)가 구비된다.
상기 사판(26)의 가장자리부분은 상기 안착부(12')의 슈(27) 사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있는 사판(26)이 회전하면서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슈(27)를 지나게 되면, 사판(26)의 경사에 의하여 슈(27)를 구비하고 있는 피스톤(12)이 실린더보어(10a)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20) 내부의 유로(22) 가 상기 출구(24b)와 흡입통로(16)를 통해 상기 실린더보어(10a)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유로(22)와 실린더보어(10a)의 연결은 상기 사판실(18) 내로 흡입된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0a)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0a)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는 밸브어셈블리(55)를 통하여 토출실(31a,51a)로 배출된다. 상기 토출실(31a,51a)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토출통로(19)를 거쳐 상기 머플러(60)로 전달되고, 상기 머플러(60)에서 토출포트(62)를 통해 응축기쪽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복수개의 실린더보어(10a)를 통한 냉매의 흡입 및 압축이 일어나게 되어, 자동차의 공조장치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토출실(31a,51a)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토출통로(19)를 통해 빠르게 빠져 나가는데, 이때, 상기 냉매에 섞인 오일(Oil) 또한 상기 냉매와 함께 상기 머플러(60) 측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0,10')의 내부에 오일이 머무르는 양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 내부의 부품들, 예를 들어, 슈(27)와 사판(26) 사이와 같은 곳에 오일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게 되어 윤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냉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냉매에 섞인 오일이 상기 토출포트(62)를 통해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연결된 다른 기관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면,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된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내부에 오일이 충분히 머무르면서 윤활 및 냉각성능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만을 순환시켜 압축기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실린더보어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요입되어 사판실이 형성되며,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통로가 형성되는 실린더블럭과; 상기 실린더블럭의 외면에 상기 토출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머플러;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토출통로로 안내하는 토출실을 형성하는 프론트헤드 및 리어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에는 상기 머플러의 내부와 상기 사판실을 연결하는 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통로와 개방된 양단이 연통되도록 지지되고,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머플러의 내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머플러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오일분리관이 설치된다.
상기 오일분리관에는 관통공과 연통하는 토출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오일분리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분리관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토출관이, 냉매의 토출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관이 회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통로에는 부시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오일분리관은 상기 부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형성된 안내홈을 통하여 상기 사판실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에는 실린더보어 내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토출통로에는 일측이 머플러와 연통되는 오일분리관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되면, 토출된 냉매가 상기 오일분리관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오일은 냉매로부터 분리되어 머플러의 내측면에 부딪쳐 내부에 머무르게 되고,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머무르던 오일은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에 형성된 안내유로를 따라 사판실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오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으므로, 윤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방 및 후방실리더블럭에 형성된 토출통로에는 냉매와 섞인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분리관이 설치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외부로 오일이 섞인 냉매가 다른 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 되므로, 압축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부분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100)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1)를 구비하는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실린더블럭(110)의 전방에는 토출실(131a)을 형성하기 위한 프론트헤드(130)이 결합되고, 상기 후방실린더블럭(110')의 후방에는 토출실(151a)을 형성하기 위한 리어헤드(150)가 결합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실린더보어(111)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11)는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11)는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보어(111)의 내부에는 피스톤(112)이 각각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12)은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실린더보어(111)는 이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이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을 관통하여서는 축지지공(113)이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공(113)에는 회전축(250)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의 실린더보어(111)와 상기 축지지공(113)은 흡입통로(11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흡입통로(115)는 회전축(250)의 내부를 통해 전달된 냉매가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의 실린더보어(111)로 각각 전달되게 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사판실(11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리더블럭(110,11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사판실(116)의 내부에는 회전축(250)에 설치된 사판(270)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에는 각각 상기 프론트헤드(130) 및 리어헤드(150)의 토출실(131a,151a)과 연통되게 토출통로(118,1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출통로(118,118')는 상기 실린더보어(111)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에는 안내유로(119)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유로(119)는 머플러(200)의 내부와 상기 사판실(116)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머플러(200)의 내부에 머무르는 오일은 상기 안내유 로(119)를 따라 상기 사판실(116)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품의 냉각 및 윤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과 프론트헤드(130) 및 리어헤드(150) 사이에는, 토출실(131a,151a)을 형성하면서, 상기 실린더보어(111)와 토출실(131a,151a) 사이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16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통로(118,118')와 연통되게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의 외면에는 머플러(200)가 형성된다. 상기 머플러(200)는 냉매의 맥동과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머플러(200)에는 압축기(100)의 외부(응축기)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포트(20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헤드(130)와 전방실린더블럭(110) 및 후방실린더블럭(110')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회전축(2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50)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251)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251)는 상기 회전축(401)의 내부에 회전축(40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01)의 외면에는 입구(252a)와 출구(252b)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252a)는 상기 사판실(116)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상기 회전축(250)의 유로(251)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출구(252b)는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의 흡입통로(115)와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50)에는 안내홈(25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253)은 상기 안내유로(119)와 사판실(116)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253)은 상기 안내유로(119)를 따라 유입되는 냉매를 상기 사판실(116)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253)은 상기 회전축(250)이 회전에 의해 상기 안내유로(119)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상기 토출통로(118,118')에는 각각 부시(B)가 설치된다. 상기 부시(B)는 오일분리관(300)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시(B)는 대략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시(B)는 상기 토출통로(118,118')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토출통로(118,118')에는 오일분리관(300)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분리관(300)의 내부는 상기 토출통로(118,118')와 연통된다. 상기 오일분리관(300)의 개방된 양단은 상기 부시(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앙부분은 상기 머플러(200)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분리관(300)에는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머플러(200)의 내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0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02)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머플러(200)의 토출포트(204)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오일은 상기 머플러(200)의 내측면에 부딪힌 후 그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상기 오일분리관(300)에는 토출관(304)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관(304)은 상기 오일분리관(300)이 토출되는 냉매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출관(304)은 상기 오일분리관(300)의 관통공(302)과 연통되게 형성된 다. 상기 토출관(304)은 상기 오일분리관(300)에 냉매의 토출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관(300)이 회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관(304)은 상기 오일분리관(300)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45°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오일분리관(300)의 외주면을 따라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관(300)이 상기 토출관(304)으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냉매는 상기 토출관(304)을 통과하여 상기 머플러(200)의 토출포트(204)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오일은 상기 토출관(304)을 통과하여 상기 머플러(200)의 내측면에 부딪힌 후 그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오일분리관(300)에 구비되는 토출관(304)은 상기 오일분리관(300)이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에 의해 회전가능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토출관(304)은 오일분리관(30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일분리관(30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통로(118,118')에는 부시(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부시(B)에는 개방된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오일안내관(300)이 설치된다. 상기 오일안내관(30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08)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08)은 상기 오일안내관(300)의 내부와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308)은 상기 오일안내관(300)에 머무르는 오일이 빠져나가기 위해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때, 오일이 상기 관통공(308)을 빠져나 가면서 오일이 분리된 냉매는 상기 머플러(200)의 토출포트(204)를 통해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오일은 상기 머플러(200)의 내측면에 부딪친 후 그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오일안내관(300)은 토출통로(118'118')에 설치된 부시(B)에 지지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오일안내관(300)은 상기 토출통로(118,118')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외부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2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사판(270)이 회전축(250)과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2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250) 내부의 유로(251)가 상기 출구(252b)와 흡입통로를 통해 상기 각각의 실린더보어(111)와 순차적으로 연통된다.
이와 같은 유로(251)와 실린더보어(111)의 연통은 압축기(100) 외부에서 전달된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11)로 전달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실린더보어(111)로 냉매가 흡입되는 것은 상기 피스톤(12)이 해당하는 실린더보어(111)의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할 때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축(250)의 유로(251)의 입구(252a)로 사판실(116)로부터 냉매가 전달되고, 유로(251)의 냉매는 다시 상기 실린더보어(111)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보어(111)에 냉매가 전달되고, 해당되는 실린더보어(111)의 피스톤(112)이 밸브어셈블리(160) 방향으로 이동하면 냉매의 압축이 일어난다. 냉 매가 상기 실린더보어(111) 내에서 압축되면, 상기 실린더보어(111)의 내부 압력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상기 토출실(131a,151a)내부로 냉매가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실(131a,151a)은 상기 실린더보어(111) 내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토출통로(118,118')로 안내한다.
상기 토출실(131a,151a)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토출통로(118,118')에 설치된 오일분리관(30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분리관(300)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토출관(300)으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매와 섞인 오일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므로, 상기 토출관(304)을 통해 상기 머플러(200)의 내측면에 부딪힌 후 그 내부에 머무르게 되고, 오일이 분리된 냉매는 상기 토출관(304)을 통해 상기 토출포트(20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에 머무르는 오일은 상기 안내유로(119)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250)의 안내홈(253)과 상기 안내유로(119)가 연통되면, 상기 안내홈(253)으로 이동되어 사판실(116)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사판실(116) 내부로 다시 유입된 오일은 회전축(250)의 입구(252a)를 통해 다시 압축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오일이 상기 압축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오일이 상기 압축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충분히 머무를 수 있으므로, 압축기(100)의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 사이로 오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어 윤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0)와 연결된 응축기와 같은 공조장치 시스템으로의 오 일 순환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열교환 기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일분리관(300)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머플러(200)로 전달되고, 상기 머플러(200)에서 토출포트(204)를 통해 응축기쪽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복수개의 실린더보어(111)를 통한 냉매의 흡입 및 압축이 일어나게 되어, 자동차의 공조장치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압축기 110,110':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
111: 실린더보어 116: 사판실
118: 토출통로 119: 안내유로
130: 프론트헤드 150: 리어헤드
200: 머플러 250: 회전축
251: 유로 253: 안내홈
252a: 입구 252b: 출구
204: 토출포트 300: 오일분리관
304: 오일안내관 B: 부시

Claims (6)

  1.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1)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이 요입되어 사판실(116)이 형성되며,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통로(118,118')가 형성되는 실린더블럭(110,110')과;
    상기 실린더블럭(110,110')의 외면에 상기 토출통로(118,118')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머플러(200);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110,1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보어(111)내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토출통로로 안내하는 토출실(131a,151a)을 형성하는 프론트헤드(130) 및 리어헤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에는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와 상기 사판실(116)을 연결하는 안내유로(119)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통로(118,118')와 개방된 양단이 연통되도록 지지되고,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머플러(200)의 내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머플러(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02)이 형성되는 오일분리관(300)이 설치되고,
    상기 오일분리관(300)에는 상기 관통공(302)과 연통하는 토출관(304)이, 냉매의 토출에 의해 상기 오일분리관(300)이 회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관(30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0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통로(118,118')에는 부시(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오일분리관(300)은 상기 부시(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6. 제 1항, 제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119)는, 상기 전방 및 후방실린더블럭(110,11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50)에 형성된 안내홈(253)을 통하여 상기 사판실(116)과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KR1020090129198A 2009-12-22 2009-12-22 사판식 압축기 KR10171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98A KR101713322B1 (ko) 2009-12-22 2009-12-22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198A KR101713322B1 (ko) 2009-12-22 2009-12-22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21A KR20110072321A (ko) 2011-06-29
KR101713322B1 true KR101713322B1 (ko) 2017-03-07

Family

ID=4440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198A KR101713322B1 (ko) 2009-12-22 2009-12-22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873B1 (ko) * 2015-09-22 2020-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 분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053B1 (ko) * 1996-09-30 2000-06-01 이시카와 타다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0312780B1 (ko) * 1999-12-30 2001-11-03 신영주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053B1 (ko) * 1996-09-30 2000-06-01 이시카와 타다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0312780B1 (ko) * 1999-12-30 2001-11-03 신영주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21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4662B1 (en) Compressor
JP2004332637A (ja) 冷媒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KR101611080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6329621A (ja) 油分離器−マフラ構造体
US7997880B2 (en) Compressor
JP2007182773A (ja) 圧縮機
JP4042554B2 (ja) 圧縮機および圧縮機の潤滑方法
US8007250B2 (en) Compressor
JP5140402B2 (ja) 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3855949B2 (ja)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KR101713322B1 (ko) 사판식 압축기
EP1865274A1 (en) Vapor-compression refrigeration circuit and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refrigeration circuit
US20070256553A1 (en) Compressor
JP2007198250A (ja) 往復動型流体機械
KR101041948B1 (ko) 압축기
KR101741840B1 (ko) 압축기
JPH10141229A (ja) 圧縮機
KR101099110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170071048A (ko) 오일 분리기를 구비하는 사판식 압축기
KR20080029032A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KR101065978B1 (ko) 압축기
JP2009156139A (ja) 斜板式圧縮機
KR101047693B1 (ko) 압축기
KR101041949B1 (ko) 압축기
KR101032196B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