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36A - 스티어링휠 - Google Patents

스티어링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36A
KR19980025036A KR1019970049096A KR19970049096A KR19980025036A KR 19980025036 A KR19980025036 A KR 19980025036A KR 1019970049096 A KR1019970049096 A KR 1019970049096A KR 19970049096 A KR19970049096 A KR 19970049096A KR 19980025036 A KR19980025036 A KR 1998002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guide
horn plate
plate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525B1 (ko
Inventor
도모카즈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히로세 마코토
니혼프라스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 마코토, 니혼프라스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 마코토
Publication of KR1998002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256Steering and controls assemblies
    • Y10T74/20293Steering and controls assemblies with horn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83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한쌍의 가이드수용부(21)는 보스플레이트(9)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혼플레이트(31)는 프레임형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혼플레이트에는 상측의 양쪽에서 돌출하는 형태인 한쌍의 가이드부(37)가 일체로 형성된다. 각 가이드부(37)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절연 상부스페이서(32)를 통하여 각 가이드수용부(21)와 결합한다. 혼플레이트(31)의 하측부는 절연 하부스페이서(33)를 관통하여 스텝볼트(35)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휠
본 발명은 혼스위치를 갖춘 스티어릴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스트어릴휠은 예로서, 일본실용신안공보 5-11748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휠에는 사용자에 인접한 스티어링휠 본체의 측부에 혼스위치장치가 설치되며, 이 혼스위치장치를 통해 에어백장치를 지지한다. 또한, 혼스위치장치는 스티어링본체에 인접한 측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촉자와, 고정접촉자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접촉자를 가진 한쌍의 혼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각 혼플레이트는 한쌍의 볼트 또는 스크류 및 스프링체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전,후이동되도록 스티어링휠 본체에 장착된다. 스티어링휠은 혼스위치가 닫히도록 에어백장치를 가압할때,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와 접촉되게 구성되어 혼을 울리도록되어 있다.
그러나 관련기술의 구조에서, 혼스위치장치는 복수의 혼플레이트와, 이들 혼플에이트등을 장착하기 위한 많은 수의 볼트를 포함하고 있어, 부품수가 많고 복잡한 조립공정이 요구되어, 제조가를 낮추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예로서, 일본특허출원공개 제 8-207780 호에 기술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스티어링휠 본체의 스포크(spoke)부의 코어메탈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브릿지가 설치된다. 이 브릿지는, 패드를 지지하기 위하여 브라켓을 가압하며, 브릿지에서 돌출되어있고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되어 브라켓의 위치를 정해주는 핀을 갖는다.
그러나, 후자에 공개된 기술 구조에서, 스포크의 코어금속들을 브릿지 위치에서 돌출하는 핀으로써 상호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가, 패드본체를 확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브라켓, 그리고 예로서, 에어백장치인 패드본체를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브릿지를 구성하는 부재의 강도를 높혀 주어야 하므로 제조가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에서 공개된 기술의 구조에서 혼스위치 장치는 복수의 혼플레이트와, 이들 혼플레이트등을 설치하기 위한 많은 수의 볼트가 필요하여 부품수가 증가되고 복잡한 조립공정이 요구되어 제조가를 낮추기가 어려웠다. 또한, 후자에서 공개된 구조에서, 스포크의 코어금속들을 브릿지 위치에서 돌출하는 핀으로써 상호 연결하기 위한 브릿지가 패드본체를 확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브라켓 그리고, 예로써, 에어백장치인 패드본체를 지지해야 하기때문에 브릿지를 구성하는 부재의 강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어, 제조가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를 줄일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갖춘 스티어링휠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티어링휠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스티어링휠을 Ⅲ - Ⅲ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스티어링휠을 Ⅳ - Ⅳ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스티어링휠을 Ⅴ - Ⅴ 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스티어링휠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스티어링휠을 도 2의 Ⅲ - Ⅲ 선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잘라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스티어링휠을 도 2의 Ⅳ - Ⅳ 선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잘라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릴휠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림부 7 : 후방스포크부
9 : 보스플레이트 10 : 외층부
11 : 후커버 14 : 베이스판
21 : 가이드수용부 22, 23 : 상, 하부스프링수용부
24, 25 : 상, 하부고정접촉자 31 : 혼플레이트
32, 33 : 상, 하부스페이서 35 : 스텝볼트
36 : 본체부 37 : 가이드부
55 : 측가동접촉자 58 : 하절연부
65, 66 : 상,하부 절연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의하면, 스티어링휠 본체; 스티어링휠 본체에 마련된 고정접촉자; 고정접촉자와 결합 및 해제하는 가동접촉자를 갖는 본체부가 마련된 혼플레이트;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와 떨어져있는 제 1 방향으로 혼플레이트를 편심시키는 편심부재; 혼플레이트와 결합하여 혼플레이트가 제 1 방향에서 전후로 이동토록 안내하고 또 혼플레이트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티어링휠 본체에 마련되는 가이드수용부; 그리고, 혼플레이트와 결합하여 혼플레이트가 제 1 방향에서 전후로 이동토록 가이드하고 또한 혼플레이트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며, 스티어링휠 본체에 취부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휠을 제공한다.
이 구조에서 혼플레이트를 누르는 것에 의한 편심부재의 발생력에 대항하여 혼플레이트가 이동함으로써, 혼플레이트에 설치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와 접촉할 때, 스위치가 닫혀 혼을 울린다. 혼플레이트는 전,후이동토록 안내되고 또한, 스티어링휠 본체와, 스티어링휠 본체에 인접한 쪽에 설치된 부착부재에 인접한 쪽에 설치한 가이드수용부에 의해 가동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단지 부착부재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부품수를 줄일수 있고 또 제조 공정을 단순히 하여 제조단가를 쉽게 줄일수 있고, 또한, 혼플레이트는 부착부재가 사용되지 않는 구조와 비교할 때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앞선 특징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의하면, 가이드수용부는 혼플레이트의 한 단부를 지지하고, 그리고 부착부재는 혼플레이트의 다른 단부를 지지한다.
이 구조에서 혼플레이트는 용이하게 또한 견고히 양단부가 지지되어 전,후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다른 단부 즉, 한 단부는 가이드수용부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부착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조립작업이 원활한 연속작동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제 1 및 제 2 특징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 3 의 특징에 의하면, 가이드 수용부에는 혼플레이트부 하측에 대향하는 대향부위가 마련된다.
이 구조에서, 부하는 스티어링휠의 하측에 적용되어 스티어링휠본체가 변형될 때, 부하는, 혼플레이트와 그 대향부를 지나 스티어링휠 본체의 다른 부분에 전달될수 있어, 스티어링휠본체의 다른 부분들이 연속적으로 변형될수 있는바, 충격흡수 특성을 용이하게 개선할수 있다.
제 1,2,3 의 특징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의하면 스티어링휠본체는 코어메탈과; 그리고 코어메탈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수용부를 갖는다.
이 구조에서, 많은 부품수와 제조 단가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혼플레이트 설치의 정밀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특징의 어느 하나에 따른 본 발명의 다섯번째 특징에 의하면, 혼플레이트에는, 가이드수용부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하는 부분과 부착부재와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하는 부위에서 절연부재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구조에서는, 부품수 및 제조 단가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절연을 확실히 달성할수 있다.
제 1 내지 제 5 특징의 어느 하나에 따른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의하면, 혼플레이트에는 가이드수용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며, 제 1 방향에 수직한 직각의 제 2 방향으로 가이드수용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이 구조에서, 가이드수용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와 또한, 가이드수용부에 용이하게 또한 견고히 지지되어 전후이동토록하는 혼플레이트를 설치하여, 한단부를 가이드수용부로 삽입하여 결합 및 지지되도록 한후에 다른 단부를 부착부재에 의하여 지지토록하여 조립공정이 원활하고 연속적인 동작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6 특징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의하면, 혼플레이트는 본체부와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구조에서, 많은 부품수 및 제조가를 줄일수 있고, 또한 혼플레이트의 강도를 늘리고 스위치의 작동감을 향상시킬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 및 또 다른 목적과 신규한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술한다.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나타낸다.
도 1내지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1 은 자동차의 스티어링휠(핸들)을 나타낸다. 스티어링휠(1)은 스티어릴휠본체(2), 스티어릴휠본체(2)의 사용자에 인접한 부분에 해당하는 전방부에 설치되어 가압부등과 같은 역할을 하는 에어백장치(에어백모듈)(4)를 포함한다. 스티어링휠(1)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티어링샤프트(미도시)에 설치된다. 이하, 사용자측과 그의 반대측, 전면측을 이루는 사용자측을 면하고 있는 에어백장치(4)의 측부, 후방쪽을 이루는 사용자에 대향하는 스티어링샤프트를 면하는 측부를 고려하여, 또한, 상호 대향하고 사용자측에 수직한 두면, 즉 상면을 형성하는 전면 바람막이로 향하는 한면과, 하측으로 차량의 배면쪽으로 향하는 다른면을 감안하여 설명한다.
스티어링휠본체(2)는 원형의 링형상을 하는 림부(링부)(5)와, 림부(5)의 안쪽에 위치하는 보스부(6)와, 림부(5)와 보스부(6)를 연결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스포크부(7)를 포함한다. 또한, 보스부(6)의 차량측에 상응하는 후방부에는 스티어링샤프트에 고정된 금속을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보스(8)가 형성되고, 코어메탈을 이루는 보스플레이트(9)는 알루미늄 다이케스팅등에 의하여 보스(8)에 일체로 취부된다. 스포크부(7)의 코어메탈(7a)은 보스플레이트(9)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거나 또는 용접등에 의하여 보스플레이트에 취부된다. 또한 림부(5)의 코어메탈(5a)은 용접등에 의하여 스포크부(7)의 코어메탈(7a)에 취부된다. 또한, 연질의 발포 폴리우레탄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층부(10)는 림부(5)의 코어메탈(5a)의 외주부상에 그리고 스포크부(7)의 코어메탈(7a)의 림부측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레진후커버(11)는 보스부(6)에 설치되어 보스부(6)의 뒤쪽을 커버한다. 스티어링샤프트는 후커버(11) 속으로 삽입되고, 차량측과 스티어링휠(1)측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테엽스프링등과 같은 전기적 연결기구가 설치되는 중심개구부(11a)가 형성된다. 하개구부(11b)는 후커버(11)의 하측부에 형성되고 측개구부(11c, 11c)들은 후커버(11)의 양측부에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11b,11c,11c)들은 각각 커버부재(12b,12c,12c)에 의하여 개폐가능토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실린더형 장착용보스(11d)들은 후커버(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향해 일체로 신장된다.
또한 혼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휠본체(2)에 형성되고, 에어백 장치는 혼스위치장치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에어백장치(4)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 등을 포함하는 베이스판(14)이 마련되고, 백 모양의 에어백(미도시)과 수지커버부재(17)는 베이스판(14)의 전면으로부터 설치되고, 반대로 가스 등을 분사하는 팽창기(18)는 베이스판(14)의 뒷측으로부터 설치되게 구성한다. 또한, 너트 등을 갖는 한쌍의 설치부(미도시)는 베이스판(14)의 양측에 형성된다.
자동차가 충돌될 때, 질소가스와 같은 불활성가스는 팽창기(18)에서 에어백의 내부로 급격히 분사되어 접혀져 갖혀 있던 에어백이 신속하게 팽창된다. 그러면, 커버부재(17)는 에어백의 팽창압에 의해 파손되어, 에어백 돌출을 위한 소정 형상을 갖는 출구부를 형성하고, 에어백은 출구부에서 돌출하여 사용자의 전방으로 팽창 및 신장하여 사용자를 보호한다.
또한 혼스위치장치는 스티어링휠본체(2) 쪽에 마련된 부재와, 에어백장치의 측부에 마련된 부재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본체(2)의 측부에 설치되는 부재는 한쌍의 가이드수용부((21,21)와, 한쌍의 상부스프링 수용부((22,22), 한쌍의 하부스프링수용부(23,23), 고정접촉 역할을 하는 한쌍의 상부고정접촉자(24,24),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접촉 역할을 하는 한쌍의 하부 고정접촉자(25,25), 그리고 고정부(26)를 포함한다.
각 가이드수용부(21)는 예컨데, 알루미늄 다이케스팅과 같은 도전금속으로써 케스팅하여 보스판(9)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측판부(21a,21a)와 측판부(21a,21a)의 전방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전판부(21b)을 포함하는 역 C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구를 갖도록 한다.
또한, 각 상부스프링수용부(22)는 보스판(9)에 일체로 형성되고, 역으로, 각 하부스프링수용부(23)는 각 후방스포크부(7)의 코어메탈(7a)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스프링수용부(22)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스프링수용부(23)는 중간부에 계단부를 가지고 전방부에는 축소된 직경을 갖는 실린더형으로 이루어지고, 각 상부스프링수용부(22) 및 하부스프링수용부((23)에는 편심부재역할을 하는 탄성체인 코일스프링(27)의 후방 측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고정접촉자(24)는 각 가이드수용부(21)에 인접하여 놓이고, 하부고정접촉자(25)는 각 하부스프링수용부((23)에 인접하여 놓이며, 이들 각각은 도전부재의 삽입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보스플레이트(9)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26)는 보스플레이트(9)의 하부에서 돌출식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스크류구멍(26a) 이 형성된다.
또한, 혼장치의 에어백장치(4) 일측에 형성되는 부재는, 역시 가동접촉자 역할을하는 혼플레이트(31), 절연부재 역할을하는 상부스페이서(32), 절연부재 역할을 하는 하부스페이서(33), 부착부재 역할을 하는 스텝볼트(2단 등)(35)를 포함한다.
혼플레이트(31)는 금속판을 관통 또는 굽힘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혼플레이트(31)에는, 거의 직사각형의 프레임 평면을 갖는 평판부(31a)와, 평판부(31a)의 외주 모서리부를 따라 상방으로(전면으로) 돌출하는 실린더형플렌지부(31b), 그리고 본체부(36) 양측에 위치하는 플렌지부(31b)의 중간부분에서 상방으로(전면쪽으로) 돌출하는 장착용부재부((31c,31c)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본체부(36)의 한 측부로서 일단측에 해당하는 상측부에서 돌출하는 형태로 그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부(37,37)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36)의 다른측으로서 다른 단부에 해당하는 하측부에는 그 중앙부에 원형설치공(31d)을 형성하고, 또 설치공(31d)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유지공((31e)을 형성한다. 또한, 본체부(36)의 한 측부에는 스크류공(31f)이 형성되어, 혼코드(39)의 가압연결터미널(39a)이 스크류공(31f)과 결합하는 스크류(38)에 의하여 전기 및 기계적으로 혼플레이트(31)에 연결된다.
상부스페이서(32)는 절연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가이드부(37)를 커버하고 전방부에서부터 체결되는 한쌍의 가이드절연부(32a,32a)와 혼플레이트(31)의 후면과 접촉하는 후방절연부(32b)는 얇은 판을 굽혀서 이루어지는 힌지부(32c)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후방절연부(32b)에는, 그 양측 각각에 코일스프링(27)의 전방부가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스프링 수용홈부(32d)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 스페이서(33)는 절연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양측 방향을 갖는 개략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판(33a)을 포함한다. 관통공(33b)과 같은 원형공은 베이스판(33a)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부에서부터 혼플레이트(31)의 설치공(31d)에 끼워지는 실린더형의 실린더부(33c)는 돌출하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하방으로 개방하는 하부스프링 수용홈부(33d)를 갖는 실린더부(33e)는, 혼플레이트(31)의 고정공(31E)에 끼워지도록 하방으로 각각 돌출 구성되고 베이스판(33a)의 양단부에 인접한 각 후면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27)의 전면부를 하부스프링 수용홈부(33d)에 설치할수 있다.
또한, 스텝볼트(35)는, 고정부(26)의 스크류구멍(26a)과 결합하는 스크류부(35a)와, 스크류부(35a)의 전방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스크류부(35a)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실린더중간부(35b)와, 중간부(35b)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중간부(35b)의 전방부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헤드부(35c)를 포함한다.
혼스위치장치를 조립함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7)을 상부 및 하부스프링수용부(22,23)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전방부) 및 하부스페이서(32,33)를 혼플레이트(31)에 설치한 상태에서 먼저, 상부스페이서(32)의 가이드절연부(32a)로 덮혀 있는 각각의 가이드부(37,37)를 보스판(9)의 각각의 가이드수용부(21,21) 안의 상측으로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되어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스텝볼트(35)를 하부스페이서(33)의 실린더부(33c)로 삽입하여, 상부에서 혼플레이트(31)의 설치공(31d)에 끼워 중간부(35b)가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되도록 끼우고, 스크류부(35a)를 고정부(26)의 스크류구멍(26a)에 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혼플레이트(31)는 보스플레이트(9)와 절연상태에 있게 되고, 가이드수용부(21,21)와 스텝볼트(35)의 3 지점에서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전후 이동토록 지지된다.
또한, 에어백장치(4)의 베이스판(14) 설치부는 볼트(미도시)에 의하여 혼플레이트(31)의 설치부재부(31c,31c)에 고정되어, 에어백장치(4)가 혼플레이트(31)에 고정될수 있다. 또한, 후커버(11)는 설치보스(11d)와 결합하는 스크류(42)에 의하여 보스플레이트(9)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스티어링휠(1)에서 에어백장치(4)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백장치(4)를 지지하는 혼플레이트(31)는, 코일스프링(27)의 발생힘에 의하여 혼플레이트(31)가 스텝볼트(35)의 헤드부(35c) 및 가이드수용부(21)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들어 올려져, 혼플레이트(31)는 고정접촉자(24,25)에서 이격되는 상태로 지지된다.
한편, 혼플레이트(31)가 고정접촉자(24,25)의 어느 것과 접촉토록 눌려 내려져 에어백장치(24)가 압축이동된 상태로 될 때, 혼스위치장치의 회로는, 스티어링샤프트, 보스(8), 보스플레이트(9), 고정접촉자(24,25), 혼플레이트(31)의 평판부(31a), 혼코드(39), 연결장치, 그리고 차량측의 혼장치의 열에서 닫혀져서, 혼이 울려질수 있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1)에 의하면 혼플레이트(31)의 전방 단부측에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는 가이드부(37,37)는 보스판(9)에 개략 역 C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수용부((21,21)에 지지 및 결합되고, 혼플레이트(31)의 하단측은 나사진 스텝볼트(35)에 지지되고 또 보스플레이트(9)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전후 이동시 떨림없이 안정되게 가이드 될 수 있고 또한 혼플레이트(31)의 상방 가동범위가 제한될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혼플레이트가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는 구조와 비교할 때, 볼트 스크류와 같은 많은 부품을 줄일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수 있어, 제조가를 낮출수 있다. 한편, 혼플레이트가 단지 결합에 의하여만 지지되는 구조와 비교할 때, 혼플레이트는 더욱 용이하고 견고히 지지될수 있어, 에어백장치(4)등에 적합한 혼스위치장치를 구성할수 있다.
또한, 가이드수용부(21,21)는 다이케스팅에 의하여 코어메탈을 구성하는 보스플레이트(9)에 일체로 형성되어 혼플레이트(31)를 저렴하게하고 또 설치상으로도 정밀한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혼플레이트(31)는 프레임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많은 부품수를 줄이고 혼플레이트(31)의 강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수 있고, 또 치수의 정확성이 향상되어 스위치의 작동감을 향상시킬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비록 혼플레이트(31)의 가이드부(37)가 본체부(36)의 상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구성되고, 또 휠본체(2)측의 가이드수용부(21)가 상하가 개방된 역 C 형상으로 이루어 졌지만, 이들 가이드부 및 가이드 수용부는, 가이드수용부가 프레임형 본체부와 결합하고 돌출가이드부가 형성되지 않는 등과 같은 여러 변형 형태로 이루어 질수도 있다. 또한, 절연부재로 작용하는 상부(전방) 및 하부스페이서(32,33)를 여러 종류의 형태로 구성할수 있고, 스페이서들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혼플레이트(31)에 설치되도록 또는 몰딩등에 의해 혼플레이트(31)에 일체로 형성할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혼플레이트(51)는 금속판을 관통 및 절곡으로 형성하여, 프레임형 본체부(52)와, 본체부(52)의 한 단부로서 상측부에서 양측으로 돌출하는 식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부(결합부)(54,5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체부(52)는, 프레임형 평판부(52a)와, 평판부(52a)의 외주 모서리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실린더형플렌지부(52b), 그리고 양측에 위치하는 플렌지부(52b)의 중간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장착용부재부(52c,52c)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52)의 타단으로서의 하부는 다른 부분보다 낮은 단으로 이루어지는 중심부를 가지며, 또한 설치공(52d)의 원형구멍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하부에는 설치공(52d) 근처의 스크류공(52f)이 형성되고 혼코드(39)의 가압연결터미널(39a)은 스크류공(52f)과 결합하는 스크류(38)에 의하여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혼플레이트(51)에 연결된다. 또한, 본체부(52)의 네 모서리 근처엔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접촉자(55)를 삽입 및 압입하는방법으로 고정하고 그리고, 하나의 구멍 또는 복수의 관통공을 가동접촉자(55) 근처에 각각 형성시킨다.
또한, 절연부재로서, 상,하부스페이서 대신 상부절연부(57), 하부절연부(58), 그리고 중앙절연부(59)를 일체로 형성하여 혼플레이트(51)를 덮도록 한다. 이들 절연부(57,58,59) 역시 절연용 절연체로서, 절연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혼플레이트(51)에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소위 외삽(outsert) 성형에 의하여 형성한다. 상부절연부(57)는 본체부(52)의 플렌지부(52b)의 상부와, 가이드부(54,54)의 양측과, 상부측 가동접촉자(55)를 둘러싸는 부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측가동접촉자(55)를 둘러싸는 부위는, 혼플레이트(51)의 관통공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상부 및 후부와, 코일스프링(27)의 전방측부가 절연상태로 취부되는 스프링수용홈부가 형성되는 후측부를 갖는다. 하절연부(58)는 도 8등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측 가동접촉자(55)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이루어져 그 전후부는 혼플레이트(51)의 관통공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그 후측부에는 코일스프링(27)의 전방측부가 절연상태로 취부되는 스프링수용홈(58a)을 형성시킨다. 또한, 중앙의 절연부(59)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공(52d)의 모서리부를 커버하고, 설치공(52d)근처의 상면 및 후면을 환형으로 덮으며 또한 전면 측부에 신장부(59a)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가이드수용부(결합부)(61,61)는 코어메탈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다이케스팅 보스플레이트(9)의 상부 양측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전판부(61a), 전판부(61a)의 외측에 연속 연결되는 수직 측판부(61b), 그리고 전판부(61a)의 하측에 연속 연결되는 대향부에 상응하는 수직하판부(61c)를 포함하여, 내측면과 상쪽이 개방되는 상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27)이 스티어링휠 본체(2) 측의 상,하스프링수용부(22,23)에 취부된 상태에서, 혼플레이트(51)의 가이드부(54)는 상측에서 하측(후측)으로 슬라이드되어 가이드수용부(61)와 결합되고, 스텝볼트(35)는 설치공(52d)을 덮는 중앙절연부(59)로 삽입되어 스티어링휠 본체(2)의 스크류구멍(26a)에 결합 및 취부되어 혼플레이트(51)가 스티어링휠 본체(2)에 설치될수 있다.
그리하여,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혼플레이트(51)를 스티어링휠 본체(2)에 쉽게 설치할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흔들림이 없이 전후로 원활히 이동할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효과 외에 각각의 절연부(57,58)는 혼플레이트(5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많은 부품수를 줄일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히 하여 제조비를 줄일수 있다. 또한 더욱이, 부하가 스티어링휠(1)의 가까운 쪽에 가해질 때, 스티어링휠 본체(2)는 파손시 변형되어 혼플레이트(51)의 하측(후측)이 변형되고, 상측도 이동된다. 그러나, 가이드부(54)는 상측에서부터 가이드수용부(61)와 결합하고 가이드부(54)의 하측부는 하판부(61c)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부하는 혼플레이트(51)를 경유하여 스티어링휠 본체(2)의 다른 부위에 전달될수 있고, 그리고 하판부(61c)와 스티어링휠본체(2)의 다른 부분은 탄성적으로 변형될수 있어 충격흡수 특성을 용이하게 개선할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절연부(57,58,59)는 제 2 실시예에서 외삽성형에 의하여 혼플레이트(51)에 일체로 형성되지만, 도 10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에서 보듯이, 절연 부재 역할을 하는 별개의 상부 절연체(65,65) 및 하부 절연체(66)는 혼플레이트(51)에 설치될수도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부 절연체(65,65)는, 상호 대칭형으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부(54)에 고정 및 취부되는 설치부(65a)와, 설치부(65a)에서 코일스프링(27)의 전방측부가 절연상태로 설치되는, 혼플레이트(51)의 본체부(52)의 후면측으로 신장하는 스프링수용홈부(65b)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 절연체(66)는 중앙 굽힘라인(66a)을 따라 굽혀져 혼플레이트(51)의 본체부를 그 사이에 있도록 하며, 스텝볼트(35)가 삽입되는 설치공(66b)과, 또한 코일스프링(27)의 전방측부가 절연상태로 취부되는 스프링수용홈부(66c)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비록 가이드부가 혼플레이트의 프레임형 본체부 외측에 형성되지만 가이드수용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는 프레임형 본체부의 내측에 형성될수도 있다. 예로써, 도 11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71)은 각각 혼플레이트(51)의 본체부(52)의 상하측 코너에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휠 본체(2)측의 가이드수용부(72,72)에는, 수평전판부(72a), 전판부(72a)의 내측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수직측판부(72b), 그리고, 전판부(72a)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대향하는 판인 수직하판부(72c)가 형성되며, 개방식의 외측면과 상측면을 형성하여 가이드수용부(72,72)의 상측에서부터 이들을 삽입하여 가이드부(71,71)와 결합한다. 가이드부(71,71)를 덮기 위한 절연부재는 삽입성형 또는 독립된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할수 있다.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수용부(21)는 보스플레이트(9)에서 일체로 형성되나 이들은 수지 등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개별 형성될수도 있다.
또한, 혼플레이트(31)를 지지하는 편심부재는 코일스프링(27)이 아닌 판형 스프링 또는 탄성의 수지에 의하여 형성될수도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는 보스플레이트(9) 및 혼플레이트(31)에 일체로 또는 개별로 각각 형성될수도 있다.
또한, 비록 에어백 장치(4)는 상기한 실시예의 각각에서 혼스위치 장치를 위한 가압부를 형성하지만, 내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를 갖는 패드부재를 가압부에 사용될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특정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에서 또는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여러 변형 및 변경을 가할수 있다.

Claims (9)

  1. 스티어링휠 본체;
    스티어링휠 본체에 형성하는 고정접촉자;
    고정접촉자와 결합 및 해제하는 가동접촉자를 갖는 본체부가 마련된 혼플레이트;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와 떨어져있는 제 1 방향으로 혼플레이트를 편심시키는 편심부재;
    스티어링휠 본체에 형성되어, 혼플레이트와 결합하여 혼플레이트가 제 1 방향에서 전후 이동토록 가이드하고 또한 혼플레이트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 수용부; 그리고,
    스티어링휠 본체에 부착되며, 혼플레이트와 결합하여 혼플레이트를 제 1 방향에서 전후 이동토록 가이드하고 또한 혼플레이트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스티어링휠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수용부는 혼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며; 그리고,
    부착부재는 혼플레이트의 다른측을 지지하는 스티어링휠.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수용부에는 혼플레이트의 한 부분의 하측에 대향하는 대향부에 형성하는 스티어링휠.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어링휠 본체는 코어메탈을 가지며; 그리고,
    가이드 수용부는 코어메탈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티어링휠.
  5. 제 1 항에 있어서, 혼플레이트에는 가이드수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접촉하는 부분과 부착부재와 미끄럼가능하게 접촉하는 부분에서 절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티어링휠.
  6. 제 1 항에 있어서, 혼플레이트에는 가이드수용부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제 1 방향으로 안내되어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가이드수용부에 삽입되는 스티어링휠.
  7. 제 6 항에 있어서, 혼플레이트는 본체부 및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티어링휠
  8. 제 2 항에 있어서, 혼플레이트에는 가이드수용부와 미끄럼가능하게 접촉하는 부분과 부착부재와 미끄럼가능하게 접촉하는 부분에서 절연부재가 일체로 형성한 스티어링휠.
  9. 제 2 항에 있어서, 혼플레이트에는 가이드수용부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제 1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제 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으로 가이드수용부에 삽입되는 스티어링휠.
KR1019970049096A 1996-09-27 1997-09-26 스티어링휠 KR100296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670596 1996-09-27
JP8-256705 1996-09-27
JP07380297A JP3276581B2 (ja) 1996-09-27 1997-03-26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9-073802 1997-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36A true KR19980025036A (ko) 1998-07-06
KR100296525B1 KR100296525B1 (ko) 2001-08-07

Family

ID=2641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096A KR100296525B1 (ko) 1996-09-27 1997-09-26 스티어링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50494A (ko)
JP (1) JP3276581B2 (ko)
KR (1) KR100296525B1 (ko)
DE (1) DE19742587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79B1 (ko) * 2006-04-05 2007-06-20 주식회사 엠앤에스 자동차핸들에 설치되는 컨텍트링의 결합구조
KR100731183B1 (ko) * 2006-04-05 2007-06-20 주식회사 엠앤에스 자동차 핸들의 하부커버 결합구조
KR100731177B1 (ko) * 2006-04-05 2007-06-20 주식회사 엠앤에스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20079U1 (de) * 1997-11-12 1998-07-02 Trw Repa Gmbh Fahrzeuglenkrad mit integriertem Gassack-Modul
US6250666B1 (en) * 1998-03-23 2001-06-2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bag housing with horn mechanism
DE29819044U1 (de) 1998-10-15 1999-01-14 Petri Ag Lenkrad mit Kontaktbrücke
DE29906374U1 (de) * 1999-04-09 1999-06-2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rad mit Airbagmodul und Hupkontakt
JP4538956B2 (ja) * 2000-03-17 2010-09-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789284B2 (ja) * 2000-04-28 2006-06-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両のハンドル用スイッチユニット
JP3942338B2 (ja) * 2000-05-12 2007-07-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
DE20017527U1 (de) * 2000-10-12 2001-02-22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DE20106693U1 (de) * 2001-04-18 2001-08-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DE20112719U1 (de) 2001-08-01 2001-12-1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rad mit beweglichem Gassackmodul
DE20315868U1 (de) * 2003-10-15 2004-02-26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Lenkradhupenkontakteinheit und Baugruppe
US7708309B2 (en) * 2005-10-20 2010-05-04 Delphi Korea Corporation Driver's airbag module assembl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8695A (en) * 1953-02-06 1955-05-17 George E Gibbs Steering wheel operated horn switch
JPS56135349A (en) * 1980-03-25 1981-10-22 Nissan Motor Co Ltd Switch device on steering wheel
JPS63181216A (ja) * 1987-01-21 1988-07-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ホ−ンスイツチ
JPH0511748Y2 (ko) * 1987-10-19 1993-03-24
US5239147A (en) * 1992-08-03 1993-08-24 Morton International, Inc. Floating, serviceable horn switch, air bag modules
US5597177A (en) * 1992-11-13 1997-01-28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teering wheel pad structure
US5410114A (en) * 1992-12-25 1995-04-25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horn switch mechanism
US5508482A (en) * 1994-10-11 1996-04-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rn activation and steering wheel assembly
EP0744329B1 (en) * 1994-12-07 2002-04-03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Horn switch for steering wheels and pad mounting structure therefor
JP3075688B2 (ja) * 1994-12-07 2000-08-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用パッド取付構造
DE19503816B4 (de) * 1995-02-06 2007-03-22 Volkswagen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aus einem Gehäuseboden und einem Gehäusedeckel bestehenden Gehäuses im Lenkra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79B1 (ko) * 2006-04-05 2007-06-20 주식회사 엠앤에스 자동차핸들에 설치되는 컨텍트링의 결합구조
KR100731183B1 (ko) * 2006-04-05 2007-06-20 주식회사 엠앤에스 자동차 핸들의 하부커버 결합구조
KR100731177B1 (ko) * 2006-04-05 2007-06-20 주식회사 엠앤에스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42587C2 (de) 2003-06-05
JPH10152056A (ja) 1998-06-09
JP3276581B2 (ja) 2002-04-22
KR100296525B1 (ko) 2001-08-07
US5950494A (en) 1999-09-14
DE19742587A1 (de) 199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525B1 (ko) 스티어링휠
US6688637B2 (en) Airbag apparatus
US5371333A (en) Steering wheel pad with improved horn switch assembly
US7173202B2 (en) Horn switch device, airbag system, and steering wheel
KR100519231B1 (ko) 차량의 혼 스위치 어셈블리
EP1074435B1 (en) Air bag apparatus and steering wheel
JPH0930425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43689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619141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8318806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H1031006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46814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0158788B1 (ko) 스티어링 휘일
JP401884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044907A (ja)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29945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920769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024494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011978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21428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661485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276508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054259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JP305267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部構造
JP3822712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