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177B1 -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177B1
KR100731177B1 KR1020060030887A KR20060030887A KR100731177B1 KR 100731177 B1 KR100731177 B1 KR 100731177B1 KR 1020060030887 A KR1020060030887 A KR 1020060030887A KR 20060030887 A KR20060030887 A KR 20060030887A KR 100731177 B1 KR100731177 B1 KR 10073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rn plate
plate
handle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에스
Priority to KR102006003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핸들(2)의 스포크(33) 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몸체(1a)의 하측에 구비된 양측 설치대(11)를 각각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에 밀착되게 위치시켜 핸들(2)의 하부커버(101) 양측부를 통해 유입되는 결합나사(6)가 상기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을 경유하여 몸체(1a)의 설치대(11)에 구성된 결합너트(11')에 나사결합되게 하는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2)의 스포크(33)와 림(22)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다수개의 설치부(4) 일측면으로 양 측면걸림판(51)과 전면걸림판(52)의 형성으로 인해 그 내부에 끼움홈(53)이 형성되어 지는 걸림부재(5)를 일체로 마련하고;
상기 혼플레이트(1)는 그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마련된 결합부(12)를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끝단으로 끼움편(12')을 하향절곡시킴과 동시에 끼움편(12') 양측부로 결합편(12")을 돌출구성하여, 상기 핸들(2)의 설치부(4) 일측면에 구성된 각각의 걸림부재(5) 상부로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마련된 결합부(12)를 위치시켜 그 각각의 결합부(12) 끝단에 마련된 끼움편(12')을 상기 설치부(4)에 마련된 걸림부재(5)의 끼움홈(53)에 끼움되게 하고, 또 상기 끼움편(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편(12") 내측으로 걸림부재(5)의 양 측면걸림판(51)이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혼플레이트의 몸체 양측부와 후방부에 구성된 각각의 결합부 끝단과; 핸들의 스코프와 림의 연결부위에 구성된 설치부로 각기 끼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혼플레이트를 핸들 내부에 설치시, 그 끼움수단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혼플레이트의 초기위치설정이 편리하도록 도모하여 주고 나아가 혼플레이트의 결합후 장기간 사용에도 혼플레이트가 유동되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하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자동차, 핸들, 혼플레이트, 혼어셈블리, 결합나사

Description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JOIN STRUCTURE OF HORN PLATE FOR STEERING WHEEL}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2는 핸들의 부분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예시도,
도 4는 "가"부의 측단면도,
도 5는 "가"부의 측단면 부분확대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혼플레이트 1a : 몸체
11 : 설치대 11' : 결합너트
12 : 결합부 12' : 끼움편
12" : 결합편 13 : 연결공
101 : 하부커버 101' : 끼움부
102 : 상부커버 102' : 연결대
103 : 혼어셈블리 2 : 핸들
21 : 손잡이 22 : 림
3 : 보스 31 : 결합부재
32 : 결합공 33 : 스포크
4 : 설치부 5 : 걸림부재
51 : 측면 걸림판 52 : 전면걸림판
53 : 끼움홈 6 : 결합나사
본 발명은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핸들의 스포크 사이로 혼플레이트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결합력이 종래에 비해 배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줌에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핸들에 설치되는 혼 플레이트는 자동차 핸들의 내부에 설치되어 혼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도록 도모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차 핸들의 간략한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자동차 핸들(2)은 하부커버(101)를 가진 보 스(3) 외주로 다수개의 스포크(33)가 일체 구성되고, 상기 스포크(33) 그 외주로 림(22)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지는데, 이때 림(22)의 외주와 림(22)과 스포크(33)가 연결되는 부위로 핸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더불어 촉감이나 핸들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손잡이부(21)와 설치부(4)를 도톰하게 합성수지로 성형제작하게 된다.
즉, 상기 림(22)의 외주에는 손잡이부(21)를 형성하고, 림(22)과 스포크(33)가 연결되는 부위로는 상,하부 커버(102)(101)의 설치를 위한 설치부(4)가 마련되어 지는것이다.
또 상기 설치부(4)의 일측면으로는 상,하부 커버(102)(101)의 끼움부(101')가 걸림 될 수 있는 단턱(도면의 미 표시)이 마련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2) 내부에 혼플레이트(1)를 설치시 상기 핸들(2)의 다수개 스포크(33)사이로는 상부로 혼어셈블리(103)가 설치된 혼플레이트(1)를 위치시킨 다음 혼플레이트(1) 하부에 구성된 설치대(11)를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하부커버(101)를 통해 유입되는 결합나사(6)를 혼플레이트(1)의 설치대(11)에 마련된 결합너트(11')에 체결케 하여 고정설치토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종래의 혼플레이트(1)는 통상 몸체(1a) 양측부 및 후방부로 결 합부(12)가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그 결합부(12) 표면으로 상부커버(102)의 연결대(102')가 끼움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공(13)이 각기 형성되어 지고,
상기 몸체(1a)의 하측부로는 결합너트(11')를 가지는 한쌍의 설치대(11)가 일체,구성 되어진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혼플레이트(1)를 핸들(2) 내부에 설치시,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핸들(2)의 스포크(33) 사이에 위치시켜 몸체(1a) 하측의 설치대(11)가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으로 밀착되게 한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나사(6)로 혼플레이트(1)의 설치대(11)를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혼플레이트를 종래의 방법으로 핸들내부에 결합시킬 경우 혼의 장기간 사용이나 상부커버로 강한 충격이 가해질시, 혼 플레이트에 그 충격이 전달되어 설치상태의 변형을 유발함은 물론 혼플레이트가 뜻하지 않게 유동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즉, 종래의 혼플레이트는 핸들의 내부에 설치시 혼플레이트의 몸체 하측에 구성된 설치대를 보스의 양측 결합부재에 결합나사로 결합고정토록 하는 단순 결합구조만을 가지고 있어, 혼플레이트의 고정상태가 매우 약하므로 작은 충격에도 설치대가 보스의 양측 결합부재에서 파손 내지는 그 초기결합위치가 변형되는 문제점 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이유에 의하여 혼플레이트의 초기결합위치가 변형될 경우 핸들의 상부커버는 물론 혼어셈블리가 혼플레이트와 함께 심하게 유동될 수 있음은 물론 혼어셈블리의 작동을 불가능케 까지 한다.
또한 종래의 혼플레이트는 그 설치시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혼플레이트의 설치판에 마련된 결합너트가 보스의 결합부재에 마련된 결합공과 그 중심이 일직선상이 되도록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결합나사를 결합토록 하고 있어, 혼플레이트의 설치작업이 매우 오래 걸림은 물론 그 작업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더욱이 작업자가 일일이 혼플레이트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그 초기위치를 잡아주어야 하므로 결합의 견고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가지게 되었던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혼플레이트의 몸체 양측부와 후방부에 구성된 각각의 결합부 끝단과;
핸들의 스코프와 림의 연결부위에 구성된 설치부로 각기 끼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혼플레이트를 핸들 내부에 설치시, 그 끼움수단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혼플레이트의 초기위치설정이 편리하도록 도모하여 주고 나아가 혼플레이트의 결합후 장기간 사용에도 혼플레이트가 유동되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핸들(2)의 스포크(33) 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몸체(1a)의 하측에 구비된 양측 설치대(11)를 각각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에 밀착되게 위치시켜 핸들(2)의 하부커버(101) 양측부를 통해 유입되는 결합나사(6)가 상기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을 경유하여 몸체(1a)의 설치대(11)에 구성된 결합너트(11')에 나사결합되게 하는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2)의 스포크(33)와 림(22)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다수개의 설치부(4) 일측면으로 양 측면걸림판(51)과 전면걸림판(52)의 형성으로 인해 그 내부에 끼움홈(53)이 형성되어 지는 걸림부재(5)를 일체로 마련하고;
상기 혼플레이트(1)는 그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마련된 결합부(12)를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끝단으로 끼움편(12')을 하향절곡시킴과 동시에 끼움편(12') 양측부로 결합편(12")을 돌출구성하여,
상기 핸들(2)의 설치부(4) 일측면에 구성된 각각의 걸림부재(5) 상부로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마련된 결합부(12)를 위치시켜 그 각각의 결합부(12) 끝단에 마련된 끼움편(12')을 상기 설치부(4)에 마련된 걸림부재(5)의 끼움홈(53)에 끼움되게 하고, 또 상기 끼움편(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 합편(12") 내측으로 걸림부재(5)의 양 측면걸림판(51)이 삽입되도록 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우선 첨부된 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핸들(2) 내부로 혼플레이트(1)를 설치할 경우, 통상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핸들(2)의 스포크(33) 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몸체(1a)의 하측에 구비된 양측 설치대(11)를 각각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에 밀착되게 위치시켜 설치대(11) 하측부에 마련된 결합너트(11')와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의 중심부가 일직선상이 되도록 하여 준다.
그러면 핸들(2)의 하부커버(101) 양측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나사(6)가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을 통해 설치대(11)의 결합너트(11')와 나사결합되어져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는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하측부는 결합나사(6)에 의해 설치대(11)가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결합고정되어 그 결합력이 우수하여 지므로 유동 내지는 훼손의 우려가 없으나,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상측부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쉽게 유동 될 수 있음은 물론 작은 충격에도 그 초기결합위치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코자 핸들(2) 내부로 혼플레이트(1)를 종래와 동일하게 설치하되,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2)의 스포크(33)와 림(22)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다수개의 설치부(4) 일측면으로 각각 걸림부재(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5)는 양 측면걸림판(51)사이로 전면걸림판(52)을 일체 형성하여 상기 측면걸림판(51)과 전면걸림판(52)내부에 끼움홈(53)이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혼플레이트(1)는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마련된 결합부(12)를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결합부(12)의 끝단으로 상기 핸들(2)의 스포크(33)와 림(22)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설치부(4)의 걸림부재(5)에 결합 될 수 있는 끼움편(12')을 하향절곡시켜 마련함과 동시에 끼움편(12') 양측부로 결합편(12")을 돌출구성토록 한다.
따라서, 핸들(2)의 내부로 혼플레이트(1)를 설치시, 도 3 에 처럼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핸들(2)의 스포크(33) 사이에 위치시켜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구성된 결합부(12)를 그와 대응하는 스포크(33)와 림(22)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설치부(4)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구성된 결합부(12)는 그 끝단에 마련된 끼움편(12')이 상기 설치부(4)에 마련된 걸림부재(5)의 끼움홈(53)에 끼움 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부(12)의 양측 결합편(12") 내측으로 걸림부재(5)의 양 측면걸림판(51)이 삽입되어져 끼움,고정되게 하므로 혼플레이트(1)의 몸체(1a)가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양측부 및 후방부의 결합부(12) 끝단이 위와 같이 핸들(2)의 설치부(4)에 마련된 걸림부재(5)에 끼움결합되면, 몸체(1a) 하측에 마련된 양측 설치대(11)가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에 위치되면서 설치대(11)에 일체구성된 결합너트(11')가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형성된 결합공(32)과 그 중심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어 진다.
그러므로 핸들(2)의 하부커버(101) 양측부를 경유하여 내측으로 유입되는 결합나사(6)를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을 통해 혼플레이트(1)의 설치대(11)에 마련된 결합너트(11')로 나사결합시켜 혼플레이트(1)가 핸들(2)내부에 결합고정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혼플레이트(1)를 설치함에 있어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하측에 마련된 설치대(11)를 결합나사(6)로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결합 고정토록 함과 동시에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의 결합부(12)를 핸들(2)의 설치부(4)에 마련된 걸림부재(5)에 끼움고정토록 하므로 혼플레이트(1)의 결합을 그 상,하부로 동시 고정토록 하여 그 결합력을 배가시킴은 물론 장기간 사용 내지는 강한 충격에도 혼플레이트(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혼플레이트(1)는 그 결합시 그 하측의 설치대(11)가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대(11)의 결합너트(11')와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의 중심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주어야, 하부커버(101)를 통해 유입되는 결합나사(6)가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을 경유하여 설치대(11)의 결합너트(6)에 용이하게 나사결합되어 지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지 손으로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파지한 상태로 설치대(11)를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정위치로 고정시킨 다음 결합나사(6)를 결합토록 하였으므로 그 작업이 매우 난이할 뿐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 시켰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로 결합부(12)를 마련하여 혼플레이트(1)의 결합을 위한 초기위치고정시, 상기 몸체(1a)의 결합부(12)를 핸들(2)의 설치부(4)에 마련된 걸림부재(5)에 끼움결합시켜 고정되게 하므로 혼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한 초기위치고정이 매우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자가 일일이 혼플레이프를 파지하여 작업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 라 결합나사의 결합이 보다 편리하여 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혼플레이트를 핸들내에 설치시 그 결합력을 종래에 비해 증가시켜 보다 견고히 하여 줌은 물론 핸들의 장기간 사용 내지는 강한 충격에도 혼플레이트 및 혼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혼어셈블리의 유동과 훼손을 예방하여 주고 나아가 혼플레이트의 설치를 보다 편리하게 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하여 준다.

Claims (1)

  1. 혼플레이트(1)의 몸체(1a)를 핸들(2)의 스포크(33) 사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몸체(1a)의 하측에 구비된 양측 설치대(11)를 각각 보스(3)의 양측 결합부재(31) 내측면에 밀착되게 위치시켜 핸들(2)의 하부커버(101) 양측부를 통해 유입되는 결합나사(6)가 상기 보스(3)의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결합공(32)을 경유하여 몸체(1a)의 설치대(11)에 구성된 결합너트(11')에 나사결합되게 하는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2)의 스포크(33)와 림(22)의 연결부위에 마련된 다수개의 설치부(4) 일측면으로 양 측면걸림판(51)과 전면걸림판(52)의 형성으로 인해 그 내부에 끼움홈(53)이 형성되어 지는 걸림부재(5)를 일체로 마련하고;
    상기 혼플레이트(1)는 그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마련된 결합부(12)를 일정길이 연장하여 그 끝단으로 끼움편(12')을 하향절곡시킴과 동시에 끼움편(12') 양측부로 결합편(12")을 돌출구성하여,
    상기 핸들(2)의 설치부(4) 일측면에 구성된 각각의 걸림부재(5) 상부로 상기 혼플레이트(1)의 몸체(1a) 양측부와 후방부에 마련된 결합부(12)를 위치시켜 그 각각의 결합부(12) 끝단에 마련된 끼움편(12')을 상기 설치부(4)에 마련된 걸림부재(5)의 끼움홈(53)에 끼움되게 하고, 또 상기 끼움편(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편(12") 내측으로 걸림부재(5)의 양 측면걸림판(5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20060030887A 2006-04-05 2006-04-05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073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887A KR100731177B1 (ko) 2006-04-05 2006-04-05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887A KR100731177B1 (ko) 2006-04-05 2006-04-05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177B1 true KR100731177B1 (ko) 2007-06-20

Family

ID=3837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887A KR100731177B1 (ko) 2006-04-05 2006-04-05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1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3071A (ja) * 1991-05-29 1992-12-08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9980025036A (ko) * 1996-09-27 1998-07-06 히로세 마코토 스티어링휠
JPH1191589A (ja) 1997-09-18 1999-04-06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ボタン
JP2003237586A (ja) * 2002-02-14 2003-08-27 Toyoda Gosei Co Ltd ホーンスイッチ機構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4322931A (ja) 2003-04-25 2004-11-18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5041442A (ja) 2003-07-25 2005-02-1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3071A (ja) * 1991-05-29 1992-12-08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9980025036A (ko) * 1996-09-27 1998-07-06 히로세 마코토 스티어링휠
JPH1191589A (ja) 1997-09-18 1999-04-06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ボタン
JP2003237586A (ja) * 2002-02-14 2003-08-27 Toyoda Gosei Co Ltd ホーンスイッチ機構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4322931A (ja) 2003-04-25 2004-11-18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5041442A (ja) 2003-07-25 2005-02-1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131B2 (en) Wiper blade adapter device
KR20090062662A (ko) 정크션 박스 마운팅 브라켓
US10442286B2 (en) Integrated bracket for automotive heat exchanger
KR100731177B1 (ko) 자동차핸들의 혼플레이트 결합구조
US10137846B2 (en)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and a vehicle employing the same
KR20080037289A (ko) 클립 체결 구조
JP2019536687A (ja) 自動車のため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925590B2 (ja) バンパーサイドの取付構造
JP5014951B2 (ja) 車両用サイドマッドガード
JP2000103364A (ja) アーチモールの取付構造
KR20090062992A (ko) 공용 스페어 타이어 클램프.
KR100731183B1 (ko) 자동차 핸들의 하부커버 결합구조
JP4906661B2 (ja) スピーカ取付け構造
KR100731176B1 (ko) 자동차핸들용 혼플레이트
JPH04133990U (ja) 車両のアンダカバー取付構造
CN210099888U (zh) 一种扣圈机构过渡连接工装
KR200457519Y1 (ko) 모터 설치용 클램핑수단
JP5354285B2 (ja) バンパホルダの取り付け構造
KR100882494B1 (ko) 루프몰딩 체결구조
KR100424973B1 (ko) 원터치 조립식 트럭 소음 커버 조립 구조
KR100600166B1 (ko) 조립식 레벨링로드
JP2004306922A (ja) オーバーフェンダの取付構造
KR200227481Y1 (ko) 루프몰딩장착용클립구조물
JP4478935B2 (ja) フェンダーライナーの取付け構造
KR200439396Y1 (ko) 자동차의 조향핸들용 보조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