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103A - 차량용 재떨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103A
KR19980024103A KR1019970034455A KR19970034455A KR19980024103A KR 19980024103 A KR19980024103 A KR 19980024103A KR 1019970034455 A KR1019970034455 A KR 1019970034455A KR 19970034455 A KR19970034455 A KR 19970034455A KR 19980024103 A KR19980024103 A KR 19980024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tray
drawer
open position
vehic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3627B1 (ko
Inventor
지글러 크리스티안
데팅 로란드
솅크 번트
나인하우스 울리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피셔
피셔 베르케 아루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피셔, 피셔 베르케 아루투르 피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피셔
Publication of KR1998002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8Ash-trays with slidably mounted fals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75Smoking-related fittings, e.g. cigarette lighters or 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재떨이는 차량에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과 하우징에 안내된 재떨이 드로워를 가지며, 상기 드로워는 폐쇄된 기본 위치로부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개방위치로 로크된다. 정지부재는 재떨이 드로워가 절반 개방위치에 남아 있고 그리고 저항을 극복한 후에만 개방 단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양쪽 위치에서 재떨이용 드로워를 조명하기 위하여, 이중 광선 안내부가 하우징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재떨이용 드로워는 플랩 후방에 배치된 코인 홀더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재떨이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용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재떨이는 DE30 40 203A1 및 DE33 10 658A1으로부터 공지 되어 있다. 상기 양 공보의 재떨이는 하우징으로부터 비우기 위해 제거되는 드로워를 가지는 횡방향으로 설치된 차량용 재떨이 이다. DE30 40 203A1에 따른 재떨이는 재떨이는 재떨이를 부분적으로 뽑아낼때에도 계기판의 보호와 동시에 재떨이의 양호한 접근 가능성을 성취하도록 설계 되었다. DE33 10 658A1에 따른 재떨이는 특히 핸들, 코트 후크(coat hook), 음료용 컵 홀더 등의 형태의 추가적인 부속품을 가지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후방벽을 위한 재떨이 이다.
특히, 계기판의 영역에 재떨이를 설치할때 재떨이를 위한 이용 가능한 공간이 작으며 재떨이를 당길때 동일한 작업을 위한 재떨이 하부에 있는 유니트에 대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방 위치에 있어도 재떨이 하부에 배치된 조종장치에 대한접근을 허용하며 공지된 차량용 재떨이와 비교한 작동의 모드를 향상시킨 차량용 재떨이에 문제점이 근거한다.
상기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항의 특징을 가지는 차량용 재떨이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그 특징적 구성은 종속항으로부터 명백 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차량용 재떨이는 정지 부재를 구비하므로 재떨이 드로워는 절방 개방 위치에 잔존하며 저항을 극복한 후에만 개방 단부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이는 절반 개방 위치에서 재떨이 하부에 배치된 차량의 조종장치가 여전히 접근가능 하기 때문에 재떨이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저항을 극복한후 개방 단부 위치로의 이동은 재떨이 드로워에 배치된 재 리셉터클(receptacle)을 비우기 위해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적합한 구성에 따라서 정지 부재는 평행하게 배치된 두 스프링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그 각각은 재떨이 드로워에 설치되며 스프링 요소간에 이동 가능한 정지 돌출부를 위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각이진 정지면을 가진다. 절반 개방 위치로부터 재떨이의 연속된 이동시에 스프링 요소는 정지 돌출부에 의해 외향으로 가압되며 그리하여 그방법은 재떨이 드로워를 위해 깨끗하게 된다. 장점으로 정지 돌출부는 하우징의 리세스에 연속되며, 스프링 요소는 일체로 프레임에 결합되며 프레임은 정지 돌출부의 통로를 허용하는 두 개의 대향 배치된 아치형 굽힘부를 가진다.
이 구성으로 정지 돌출부는 절반 개방 및 완전 개방 위치에서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안내 및 로크된다. 또한 저항 극복에 의한 해제는 양호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다른 적합한 구성에 따라서, 재떨이 드로워 예를들면 재떨이 삽입체내의 재 수집 영역은 절반 개방 위치와 개방 위치에서 빛난다. 상기 조명은 광 가이드에 의해 수행되며 편의상 또 다른 구성으로 하우징에 고정 연결된 이중 광 가이드가 제공되며, 이는 절반 개방 위치와 개방 위치에서 재떨이 드로워를 조명하기 위하여 재떨이 드로워가 두 다른 위치에서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끝난다. 재떨이 드로워의 양쪽 개방 위치에서 고장을 일으키지 않는 조명이 수행된다. 소정의 작은 공간량에 근거하여 또 다른 드로워를 이용하기 위하여, 또다른 적합한 구성에 따라서 플랩이 재떨이 드로워의 단부면에 위치되며 그 후방에는 코인 홀더가 배치된다.
하우징 내에 재떨이 드로워의 전체적인 구성 및 배치는 작동적으로 신뢰성이 있으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재떨이 형태의 직사각형 재 리셉터클은 종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재떨이 드로워에 배치된다. 재떨이 드로워의 이동은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난 재떨이 드로워의 이동 또한 공간을 절약할수 있으며 작동적으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은 코인 홀더의 용이성과 결합하여 실용적이며 경제적인 차량용 재떨이를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저장 구간과 관련하여 재떨이 폐쇄된 차량용 재떨이의 사시도.
도 2는 폐쇄된 위치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의 차량용 재떨이의 측 단면도.
도 3은 차량용 재떨이의 하부도.
도 4는 개방된 코인 홀더를 가지는 차량용 재떨이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하우징3:재떨이 드로워
4:플랩5:코일 스프링
6,7,8,25:광 가이드10:코인 홀더
17:정지 부재18:스프링 요소
21:아치형 돌출부27:측벽
도1에 도시된 차량용 재떨이(1)의 경우에 내부에 이동가능한 재떨이 드로워(3)를 가지는 하우징(2)을 볼수 있다. 재떨이 드로워(3)의 플랩(4)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서 재떨이 드로워는 빌트인 푸쉬-푸쉬(built-in push-push)기구와 폐쇄위치로부터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이동된다. 하우징(2)에 평행하게 하우징에 고정 연결된 이중 광 가이드(6)가 배치되며, 하우징은 상대적으로 짧은 각이진 광 가이드(7)와 상대적으로 긴 각이진 광 가이드(8)로 구성된다. 광 가이드(7,8)는 하우징에 배치된 슬롯(9)을 거쳐 재떨이 드로워(3)에 도달하며 짧은 광 가이드(7)는 절반 개방위치에서 재떨이 드로워를 조정하며, 긴 광 가이드는 개방 위치에서 재떨이 드로워를 조명한다.
도2는 재떨이 드로워를 단면으로 나타내 것으로, 기본 위치에서 실선으로 개방 위치에서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코인 홀더(10)가 그 후방에 배치된 폐쇄 플랩(4)을 나타내었다. 드로워에 제거 가능한 재 리셉터클(11)이 있으며 리셉터클은 보조 개방 상태에서만 비우기 위해 제거 가능하다. 절반 개방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재 리셉터클(11)의 각 측상에는 재 리셉터클(11)을 먼저 꺼내는데 그리고 재 드로워(3)를 당기기 위해 사용되는 오목부(12)가 있다. 도2는 또한 보호 하우징(13)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5)을 나타내고 있다. 댐핑을 위하여 랙(28)에 결합하는 회전 댐퍼(14)가 재떨이 드로워(3)상에 장착된다.
재떨이 드로워 하부에 보이는 것은 하우징(2)상의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정지 에지(16)에 대해 충돌하는 정지 돌출부(15)이다. 또한 절반 개방 위치를 위한 정지 부재(17)는 하우징(2)의 하측에 위치된다. 정지 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각이진 정지면(19)을 가지는 두 개의 평행한 스프링 요소(18)로 구성된다. 스프링 요소(18)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그 통로상의 정지 돌출부(15)의 통로를 위한 두 개의 아치형 굽힘 돌출부(21)를 가지는 금속 프레임(20)과 일체로 결합된다.
도2로부터 재 리셉터클(11)의 후방벽에 배치된 윈도우(22)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윈도우를 통햐 광 가이드에 의해 공급된 광은 광 가이드(25)를 통해 재 챔버(23)에 도달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의 차량용 재떨이(1)는 도2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반 개방 위치를 위한 정지 부재(1)를 재차 나타내고 있다. 정지 돌출부(15)는 하우징(2)의 신장 리세스(24)로 그리고 스프링 요소(18)의 정지면(19)까지 제1굽힘부(21)를 통하여 이동한다. 재떨이 드로워상의 당김 이동으로 인해 그 형성된 저항이 회복되자마다 스프링 요소(18)는 별개로 전개된다. 따라서 재떨이 드로워는 코일 스프링(5)의 영향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것이 발생할 때 정지 돌출부(15)는 제2아치형 굽힘부(21) 하부로 이동하며 리세스(24)에서 정지 에지(16)까지 연속된다. 도3은 아치형 굽힘부(21)의 측벽(27)에 의해 스프링 요소(18)와 일체로 결합된 프레임(20)을 또한 나타내고 있다.
재떨이 드로워(3)에 배치된 광 가이드(25)를 거쳐서(도2 참조) 윈도우(22)와 광 가이드(7,8)간의 접속은 절반 개방 위치와 개방 위치에서 각각 수행된다.
도4는 플랩(4)이 개방된 재떨이 드로워(3)와 그 후방에 배치된 코인 홀더(10)의 사시도이다. 재떨이 드로워(3)에는 상술한 오목부(12)를 가지는 제거 가능한 재 리셉터클(11)이 있다. 재 리셉터클(11)의 후방벽에 배치된 윈도우(22)는 광 가이드(25)에 연결된다. 보호 하우징(13)은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2)에 접속된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상술한 회전 댐퍼(14)와 공지된 푸시-푸시 기구를 위한 하트형 캠(26)은 재떨이 드로워(3)상에 공지된 자체로 배치된다.
재떨이 드로워(3)와 하우징(2)은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다.
내용없음

Claims (9)

  1. 차량에 체결하기 위한 하우징을 가지며 폐쇄된 기본 위치로부터 로크된 개방 위치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이동가능한 재떨이 드로워를 하우징에 안내하는 차량용 재떨이에 있어서,
    절단 개방 위치에 재떨이 드로워(3)가 잔존하고 저항을 극복한 후에만 개방 단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정지 부재(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부재(17)는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스프링 요소(18)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의 각각은 재떨이 드로워(3)상에 설치되며 스프링 요소(18)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정지 돌출부(15)를 위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각이진 경사면(1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는 하우징(2)의 리세스(24)에 연속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18)는 정지 돌출부(15)의 통로를 허용하는 대향 배치된 두 개의 아치형 굽힘부(21)를 가지는 프레임(20)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20)안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요소(18)는 굽힘부(21)의 측벽(27)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떨이 드로워(3)내의 재 리셉터클(11)은 절반 개방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 조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광 가이드(7,8,25)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 연결된 이중 광 가이드(6)는 재떨이 드로워(3)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절반 개방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 재떨이 드로워를 조명하기 위하여 두 다른 위치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7. 제1항에 있어서, 재떨이 드로워(3)의 전방 단부 상에는 플랩(4)이 배치되며 플랩후방에는 코인 홀더(1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 안으로 종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직사각형 재 리셉터클(1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떨이 드로워(3)는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재떨이.
KR1019970034455A 1996-09-09 1997-07-23 차량용 재떨이 KR100243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6528A DE19636528A1 (de) 1996-09-09 1996-09-09 Fahrzeugascher
DE19636528.7 1996-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03A true KR19980024103A (ko) 1998-07-06
KR100243627B1 KR100243627B1 (ko) 2000-03-02

Family

ID=780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455A KR100243627B1 (ko) 1996-09-09 1997-07-23 차량용 재떨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87596A (ko)
EP (1) EP0841213B1 (ko)
JP (1) JP3100928B2 (ko)
KR (1) KR100243627B1 (ko)
CN (1) CN1076960C (ko)
DE (2) DE19636528A1 (ko)
ES (1) ES2168548T3 (ko)
HK (1) HK1008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2436B4 (de) * 2000-05-09 2004-09-09 Daimlerchrysler Ag Dämpfungseinrichtung
DE10155798A1 (de) * 2001-11-14 2003-05-22 Fischer Automotive Sys Gmbh Einbaukombination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US6682117B2 (en) * 2002-01-13 2004-01-27 Mark C. Sloan Exterior vehicle ashtray system
US20050028831A1 (en) * 2002-01-13 2005-02-10 Sloan Mark C. Exterior vehicle ashtray system
JP4020755B2 (ja) * 2002-10-31 2007-12-12 株式会社ニフコ 自動車の小物入れ兼用カップホルダ装置
TWI247707B (en) * 2004-01-20 2006-01-21 Honda Motor Co Ltd Lock release operator layout structure in vehicle
JP2006015881A (ja) * 2004-07-02 2006-01-19 Calsonic Kansei Corp 移動式灰皿係止部構造
DE102005012305B4 (de) * 2005-03-17 2007-01-25 Daimlerchrysler Ag Führung
JP4801581B2 (ja) * 2006-12-27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装備される物入れ
US20090244917A1 (en) * 2008-03-27 2009-10-01 Intertec Systems, Llc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 combining light and movement
FR3042454B1 (fr) * 2015-10-15 2019-05-03 Renault S.A.S. Dispositif de rangement a tiroir coulissant, notam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043A (en) * 1946-01-31 1952-03-18 Raymond R Rundell Telescopic ash receiver
DE1988401U (de) * 1968-03-12 1968-06-27 Adolf Sidler & Co G M B H Meta Aschenbehaelter fuer fahrzeuge.
DE2105032C3 (de) * 1971-02-03 1974-01-17 Max 4300 Essen Czarski Blendungsfrei leuchtender Sicherheitsaschenbecher, beispielsweise für Fahrzeuge aller Art
JPS603824B2 (ja) 1979-10-25 1985-0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灰皿
DE3310658A1 (de) 1983-03-24 1984-09-27 Gebr. Happich Gmbh, 5600 Wuppertal Ascher, insbesondere fuer fahrzeuge
DE3614804A1 (de) * 1986-05-02 1987-11-12 Happich Gmbh Gebr Ascher, insbesondere fuer fahrzeuge
GB2209656B (en) * 1987-09-15 1991-04-24 Ford Motor Co Ashtray for a motor vehicle.
DE3939498B4 (de) * 1989-11-30 2004-03-18 Sidler Gmbh & Co Einbau-Aschenbecher für Kraftfahrzeuge
DE4038324A1 (de) * 1990-11-30 1992-06-04 Happich Gmbh Gebr Behaeltnis, wie ascher, ablagefach o. dgl. insbesondere fuer fahrzeuge
CN2095812U (zh) * 1991-06-21 1992-02-12 西安铁路分局宝鸡车辆段劳动服务公司 新型铁路客车烟灰盒
CN2182532Y (zh) * 1993-11-13 1994-11-16 魏红斌 一推即锁再推即开的屉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705656D1 (de) 2002-01-17
CN1076960C (zh) 2002-01-02
HK1008198A1 (en) 1999-05-07
DE19636528A1 (de) 1998-03-19
EP0841213A3 (de) 1999-06-09
EP0841213A2 (de) 1998-05-13
JPH1086731A (ja) 1998-04-07
CN1176196A (zh) 1998-03-18
US5887596A (en) 1999-03-30
JP3100928B2 (ja) 2000-10-23
EP0841213B1 (de) 2001-12-05
KR100243627B1 (ko) 2000-03-02
ES2168548T3 (es) 200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204B2 (en) Receptacle cover
US6719367B2 (en) Sliding arm-rest console assembly
KR100243627B1 (ko) 차량용 재떨이
US4596416A (en) Glove compartment for motor vehicle
KR0161567B1 (ko) 자동차내의 설치물에 적합한 장치
US7341297B2 (en) Automotive storage apparatus
US4902061A (en) Glove box with convenience tray
US6702241B2 (en) Cup holder
JPH04314640A (ja) 自動車用の灰皿、保管ボックス又はこれと類似の容器
KR20100113987A (ko) 인출장치
US6837408B2 (en) Drinks holder
US4720131A (en) Ashtray,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KR19980063600A (ko) 자동차용 붙박이식 애쉬트레이
KR100326508B1 (ko) 음료수용기유지장치
KR200411701Y1 (ko) 자동차 도어의 서랍식 맵포켓
US7302953B2 (en) Built-in ashtray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63116B2 (en) Ash receiver or similar receptacle
KR100748752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의 슬라이드 구조
KR0119411Y1 (ko) 자동차용 컵홀더의 보호덮개 장착구조
KR015319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0135661Y1 (ko)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한 컵 홀더
KR100380384B1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KR0123043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920003786Y1 (ko) 자동차용 휴지박스고정대
KR20050008112A (ko) 자동차용 재떨이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