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113A -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113A
KR19980022113A KR1019960041173A KR19960041173A KR19980022113A KR 19980022113 A KR19980022113 A KR 19980022113A KR 1019960041173 A KR1019960041173 A KR 1019960041173A KR 19960041173 A KR19960041173 A KR 19960041173A KR 19980022113 A KR19980022113 A KR 19980022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fixing
piece
fasten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113A/ko
Publication of KR1998002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113A/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트렁크 메트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 중앙을 트렁크 패널(4)과 스크류(14)에 의하여 체결된 홀더(8)의 고정부(10)와 체결부(12)사이에 끼워서 고정되는 트렁크 메트(6)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메트(6)의 타측에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트렁크 메트(6)의 유동 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렁크 패널(4)과 견고하게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장치(16)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트렁크 메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트렁크 메트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에는 자동차의 정비를 위한 정비 부품이나 기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일정크기의 트렁크가 구비되며, 상기 트렁크의 내부 바닥면에는 차체와 구분시켜주기 위한 트렁크 패널이 구성되고, 상기 트렁크 패널의 상단에는 트렁크 메트가 결합된다.
상기 트렁크 메트가 트렁크 패널과 결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트렁크 메트(100)의 일측 중앙은 홀더(102)의 고정부(104)와 체결부(106)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홀드(102)의 고정부(104)는 트렁크 패널(108)의 일측과 스크류(110)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트렁크 메트(100)의 타측 하단은 트렁크 패널 (108)의 상단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트렁크 메트가 그 일측은 파티션 패널과 체결되고 타측은 그대로 트렁크 패널의 상단에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가 노면 상태가 고르지 못한 도로를 주행하게 되면 노면 상태에 따른 차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트렁크 메트도 홀더를 중심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즉, 트렁크 메트는 트렁크 패널과 체결된 홀더 부위를 중심으로 덜렁 덜렁되면서 트렁크 패널의 상판을 치거나 트렁크 메트 자체가 심하게 떨리게 되므로 심한 노이즈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 메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트렁크 메트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렁크 메트의 일측을 트렁크 패널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트렁크 메트는 일측이 홀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차체가 진동하더라도 트렁크 메트가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트렁크 패널 6 : 트렁크 메트
8 : 홀더 10,18 :고정부
12,22 :체결부 14 :스크류
16 :고정장치 20 : 노브
24 :체결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렁크(2)의 하부에는 차체와 구분되기 위한 트렁크 패널 (4)이 구비되고, 상기 트렁크 패널(4)의 상단에는 트렁크 메트(6)가 고정된다.
상기 트렁크 메트(6)의 고정구조를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트렁크 메트(6)의 일측 중앙은 홀더(8)의 고정부(10)와 체결부(12)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홀더(8)의 고정부(10)는 트렁크 패널(4)의 일측과 스크류(14)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상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렁크 메트(6)의 타측에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트렁크 메트(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렁크 패널(4)과 견고하게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장치(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16)는 트렁크 메트(6)를 트렁크 패널(4)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트렁크 메트(6)의 중앙쪽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16)는 트렁크 메트(6)의 타측과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18)와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형성된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하단에는 트렁크 패널(4)과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된 체결부 (22)와 상기 트렁크 패닐(4)의 일측에는 고정부(18) 및 체결부(22)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공(24)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장치(16)의 고정부(18)는 리벳(26)에 의하여 트렁크 메트(6)와 체결되는 고정편(28)과 상기 고정편의 일측을 타측으로 요입하여 형성된 요입부(30)와 상기 고정편(28)의 일단을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의 하단을 연장하여 굴곡지게 형성된 제1체결편(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편(34)은 트렁크 패널(4)의 체결공(24)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탄성을 가지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2)는 노브(20)의 하단을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연결편(36)과 상기 연결편(36)의 하단을 연장하여 끝단에 절곡편(40)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한 제2체결편(3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체결편(38)은 트렁크 패널(4)의 체결공(24)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탄성을 가지면서 제1체결편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16)는 트렁크 메트(6)의 일측 중앙을 트렁크 패널(4)과 스크류(14)에 의하여 체결된 홀더(8)의 고정부(10)와 체결부(12)사이에 끼워서 고정한 상태에서 트렁크 메트(6)의 타측 중앙에 고정시켜주는데, 즉 고정부(18)의 고정편(28)은 트렁크 메트(6)의 타측의 양측과 리벳(26)에 의하여 체결시켜주고, 이 상태에서 노브(20)를 잡고 하방으로 일정의 힘을 가하여 고정부(18)의 제1체결편(34)과 체결부(22)의 제2체결편(38)을 트렁크 패널(4)의 체결공(24)에 눌러서 삽입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제1체결편(34)과 제2체결편(38)의 하단이 체결공(24)의 하부로 위치하게 됨과 아울러 제1체결편(34) 및 제2체결편(38)의 일측과 절곡편(40)이 체결공(24)의 양측에 각각 밀착하게 되면서 고정장치(16)가 트렁크 패널(4)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장치(16)로 트렁크 메트(6)를 고정한 상태로 사용하다가 트렁크 메트(6)를 트렁크(2)로부터 들어내어야 할 때는 노브(20)를 좌측으로 밀어서상기 고정장치(16)와 트렁크 패널(4)의 체결순서의 역순으로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렁크 메트의 양단을 트렁크의 트렁크 패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므로 트렁크 메트의 유동 및 떨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의 발생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일측 중앙을 트렁크 패널(4)과 스크류(14)에 의하여 체결된 홀더(8)의 고정부(10)와 체결부(12)사이에 끼워서 고정되는 트렁크 메트(6)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메트(6)의 타측에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트렁크 메트(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렁크 패널(4)과 견고하게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장치(16)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6)는 트렁크 메트(6)의 타측과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18)와, 상기 고정부(18)의 일측에 형성된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하단에는 트렁크 패널(4)과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된 체결부 (22)와, 상기 트렁크 패널(4)의 일측에는 고정부(18) 및 체결부(22)가 끼워지기 위한체결공(24)으로 구성뇜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8)는 리벳(26)에 의하여 트렁크 메트(6)와 체결되는 고정편 (28)과; 상기 고정편의 일측을 타측으로 요입하여 형성된 요입부(30)와, 상기 고정편(28)의 일단을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지지편(32)과, 상기 지지편(32)의 하단을 연장하여 굴곡지게 형성된 제1체결편(3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2)는 노브(20)의 하단을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연결편(36) 과, 상기 연결편(36)의 하단을 연장하여 끝단에 절곡편(40)을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한 제2체결편(3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 치.
  5. 제 2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편(34)은 트렁크 패널(4)의 체결공(24)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탄성을 가지면서 소정의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6. 제 2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편(38)은 트렁크 패널(4)의 체결공(24)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탄성을 가지면서 제1체결편과 대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KR1019960041173A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KR19980022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173A KR19980022113A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173A KR19980022113A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113A true KR19980022113A (ko) 1998-06-25

Family

ID=6652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173A KR19980022113A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1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1207A (en) Damper means
KR19980022113A (ko)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KR200155016Y1 (ko) 차량용 트림 체결 볼트 커버
KR19980050871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0195830Y1 (ko) 자동차의 러기지 매트 고정장치
KR100207213B1 (ko) 차량 트림류 고정클립
KR100235664B1 (ko) 탈거가 용이한 클립 구조
KR0130445Y1 (ko) 자동차의 카페트 고정용 클립
JP2543860Y2 (ja) 防振装置
KR100191773B1 (ko) 차량의 트림 장착용 클립
KR0123751Y1 (ko) 자동차의 범퍼스테이 체결구조
KR200141664Y1 (ko) 브레이크장치용 오일파이프의 멀티클립
KR0123433Y1 (ko) 자동차용 프로프로드 고정구
KR013320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언더 미러 설치 구조
KR200143942Y1 (ko) 컨솔 마운팅 클럽
KR19980016897U (ko)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KR200145109Y1 (ko) 시트벨트 트림카바
KR200199615Y1 (ko) 차량의도어인너핸들
KR95000468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233073Y1 (ko)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KR0157809B1 (ko) 차량용 트렁크리드 고정구
KR100291092B1 (ko) 차량용트렁크룸보오드착탈장치
KR0116316Y1 (ko) 리어시트 후면 고정구조
KR0118735Y1 (ko) 자동차용 브라켓트 취부구조
KR19990025079U (ko) 자동차용 그로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