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079U - 자동차용 그로밋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079U
KR19990025079U KR2019970037581U KR19970037581U KR19990025079U KR 19990025079 U KR19990025079 U KR 19990025079U KR 2019970037581 U KR2019970037581 U KR 2019970037581U KR 19970037581 U KR19970037581 U KR 19970037581U KR 19990025079 U KR19990025079 U KR 199900250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grommet
head
hol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37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079U/ko
Publication of KR19990025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079U/ko

Links

Landscapes

  • Dowe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이 용이하고 착탈로 인한 차량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그로밋(Grommet)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장탈착이 용이하면서 고정성은 유지하고, 장탈시 차량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그로밋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자동차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에는 체결품이 삽입되면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단에 텐션턱을 형성한 텐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자동차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그로밋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이 용이하고 착탈로 인한 차량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그로밋(Grommet)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그로밋은 스크류 등의 체결품을 이용하여 부재와 부재, 혹은 부재와 장착 부품을 결합할 때, 체결품과 부재 사이에 생기는 미세한 틈을 막아 방진, 방음, 방수의 효과를 얻는 중간부품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 있어서의 그로밋(10)은 도어와 같은 차량 부재(20)에 도어트림 등을 결합할 때 이용되며, 외부로부터 먼지, 수분 및 소음 등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0)은 중앙에 체결홀(12)을 형성하고 사각형을 이룬 헤드(11)와, 상기 헤드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한 사각기둥 모양의 바디(14)와, 상기 헤드의 하면에 부착된 패드(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디(14)의 양쪽 측면에는 측면턱(15)이 돌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로밋(11)을 차량 부재(2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그로밋의 바디(14) 단부를 차량 부재에 장착하고자 하는 구멍에 밀어 넣는다. 이때, 소정의 깊이만큼 바디(14)가 삽입되면 차량 부재의 구멍 내측면에 눌려 있던 바디의 측면턱(15)이 다시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그로밋(10)은 패드(13)의 밑면이 차량 부재(20)의 상면에 밀착하고, 상기 바디의 측면턱(15)에 의해 바깥쪽으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헤드(11)의 체결홀을 통해 체결품(스크류나 클립 등)을 삽입함으로써 그로밋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그로밋은 일정 시간 사용후 차량 부재의 유동 등에 의해 마모되므로 새 것으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그로밋은 교환을 위해 차량 부재로부터 장탈하려고 할 때, 차량 부재에 밀착된 패드의 접착력과 차량 부재의 밑면에 걸려 있는 측면턱의 반발력에 의해 장탈이 용이하지 않고, 무리하게 그로밋을 장탈하려다 보면 차량 부재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장탈착이 용이하면서 고정성은 유지하고, 장탈시 차량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그로밋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중앙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사각형을 이룬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하고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기둥 모양의 바디와, 상기 헤드의 하면에 부착된 패드와, 상기 바디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체결홀과 관통하도록 내측으로 파인 텐션홀과, 상기 양쪽 텐션홀에는 바디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는 상면이 곡면을 이루고 바깥단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텐션턱을 형성하고, 상기 텐션부는 텐션홀 안에서 바디의 내측 중앙으로 각각 휘어져 형성하여, 상기 체결홀에 스크류를 삽입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그로밋의 측면도,
도 6은 그로밋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그로밋(Grommet) 11 : 헤드
12 : 체결홀 13 : 패드
14 : 바디 30 : 텐션부
32 : 텐션턱 34 : 텐션홈
60 : 스크류용 그로밋 70 : 클립용 그로밋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탈이 용이하고 착탈로 인한 차량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그로밋(Grommet)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용 그로밋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스크류용 그로밋의 측면도이며, 도 6은 스크류용 그로밋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스크류용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크류용 그로밋(60)은 중앙에 체결홀(12)을 형성하고 사각형을 이룬 헤드(11)와, 상기 헤드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하고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기둥 모양의 바디(14)와, 상기 헤드의 하면에 부착된 패드(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디(14)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체결홀(12)과 관통하도록 내측으로 파인 텐션홀(34)과, 상기 양쪽 텐션홀에는 바디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텐션부(30)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는 상면이 곡면을 이루고 바깥단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텐션턱(32)을 형성한다. 상기 텐션부(30)는 텐션홀(12) 안에서 바디의 내측 중앙으로 각각 휘어져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스크류용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탈착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크류용 그로밋(60)을 차량 부재(20)에 장착하기 위해 차량 부재의 구멍에 삽입하면, 바디의 텐션부(30)가 텐션홀(34) 내측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아무 걸림이 없이 차량 부재의 구멍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헤드(11)의 밑면에 형성한 패드(13)가 차량 부재(20) 상면에 밀착된다.
이어, 상기 헤드에 형성한 체결홀(12)을 통해 스크류(40)를 삽입하면, 상기 스크류가 삽입되면서 텐션부(30)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 형성한 텐션턱(32)이 차량 부재(20)의 밑면에 걸리게 되므로써 상기 스크류용 그로밋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스크류용 그로밋을 차량 부재로부터 장탈하기 위해서는, 먼저 헤드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있는 스크류(40)를 장탈한다. 그러면, 상기 텐션부(30)가 원래대로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차량 부재에 걸려 있던 텐션턱(32)도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텐션턱의 걸림이 빠진 스크류용 그로밋(60)이 차량 부재(20)로부터 손쉽게 장탈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용 그로밋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용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클립용 그로밋(70)은 중앙에 체결홀(12)을 형성하고 사각형을 이룬 헤드(11)와, 상기 헤드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하고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기둥 모양의 바디(14)와, 상기 헤드의 하면에 부착된 패드(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디(14)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체결홀(12)과 관통하도록 내측으로 파인 텐션홀(34)과, 상기 양쪽 텐션홀에는 바디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텐션부(30)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는 상면이 곡면을 이루고 바깥단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텐션턱(32)과, 상기 텐션부의 내측 후면에는 각각 결합돌기(36)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텐션부(30)는 텐션홀 안에서 바디의 내측 중앙으로 각각 휘어져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클립용 그로밋이 차량 부재에 장탈착되는 과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립용 그로밋(70)을 차량 부재(20)에 장착하기 위해 차량 부재의 구멍에 삽입하면, 바디의 텐션부(30)가 텐션홀(12) 내측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아무 걸림이 없이 차량 부재의 구멍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헤드(11)의 밑면에 형성한 패드(13)가 차량 부재(20) 상면에 밀착된다.
이어, 상기 헤드에 형성한 체결홀(12)을 통해 단부 양쪽에 클립홈(52)을 형성한 클립(50)을 삽입하면, 상기 클립이 삽입되면서 텐션부(30)를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 형성한 텐션턱(32)이 차량 부재(20)의 밑면에 걸리게 되고, 상기 클립의 클립홈(52)에 텐션부의 결합돌기(36)가 삽입되므로써 상기 클립용 그로밋(70)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클립용 그로밋(70)을 차량 부재(20)로부터 장탈하기 위해서는, 먼저 헤드의 체결홀(12)에 삽입되어 있는 클립(50)을 장탈한다. 그러면, 상기 텐션부(30)가 원래대로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차량 부재에 걸려 있던 텐션턱(32)도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텐션턱의 걸림이 빠진 클립용 그로밋(70)이 차량 부재(20)로부터 손쉽게 장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그로밋은 본래의 고정성은 유지하면서도 장탈착이 용이하고, 장탈착시 차량 부재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중앙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사각형을 이룬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하고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기둥 모양의 바디와, 상기 헤드의 하면에 부착된 패드와, 상기 바디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체결홀과 관통하도록 내측으로 파인 텐션홀과,
    상기 양쪽 텐션홀에는 바디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는 상면이 곡면을 이루고 바깥단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텐션턱을 형성하고, 상기 텐션부는 텐션홀 안에서 바디의 내측 중앙으로 각각 휘어져 형성하여, 상기 체결홀에 스크류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용 그로밋.
  2. 자동차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그로밋은 중앙에 체결홀을 형성하고 사각형을 이룬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하고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기둥 모양의 바디와, 상기 헤드의 하면에 부착된 패드와, 상기 바디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체결홀과 관통하도록 내측으로 파인 텐션홀과,
    상기 양쪽 텐션홀에는 바디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한 텐션부와, 상기 텐션부의 상단에는 상면이 곡면을 이루고 바깥단부가 외측으로 돌출한 텐션턱과, 상기 텐션부의 내측 후면에는 각각 결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텐션부는 텐션홀 안에서 바디의 내측 중앙으로 각각 휘어져 형성하여, 상기 체결홀에 단부에 클립홈을 형성한 클립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용 그로밋.
KR2019970037581U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그로밋 KR199900250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581U KR1999002507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그로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581U KR1999002507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그로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79U true KR19990025079U (ko) 1999-07-05

Family

ID=6967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581U KR1999002507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용 그로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0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84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JP4839365B2 (ja) 車両用のルーフラックおよびその固定方法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19990025079U (ko) 자동차용 그로밋
KR20010060321A (ko)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KR100186702B1 (ko) 케이블 소켓의 고정구조
KR10032163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KR200146786Y1 (ko) 도어트림 장착용 클립의 브라켓 구조
KR101275024B1 (ko)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KR20020055333A (ko) 자동차의 트림 장착구조
KR100394950B1 (ko) 자동차의 트림 고정구조
KR19980050871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0128952Y1 (ko) 콘솔박스 내부안착물의 쿠션클립
KR100235664B1 (ko) 탈거가 용이한 클립 구조
KR0133591Y1 (ko) 자동차용 클립
KR20200106612A (ko) 자동차용 그로밋
KR100320964B1 (ko) 자동차의 가니쉬 장착용 클립
KR19990031899U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구조물
KR200143103Y1 (ko) 자동차 호스용 클립의 체결구조
KR100233607B1 (ko) 센터 패시아 패널 탈장착구조
KR100191773B1 (ko) 차량의 트림 장착용 클립
KR200143942Y1 (ko) 컨솔 마운팅 클럽
KR0131165Y1 (ko) 티켓홀더
KR200141376Y1 (ko) 자동차 앞유리 고정용 클립설치구조
KR19990021482U (ko) 트림 고정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