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897U -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897U
KR19980016897U KR2019960030243U KR19960030243U KR19980016897U KR 19980016897 U KR19980016897 U KR 19980016897U KR 2019960030243 U KR2019960030243 U KR 2019960030243U KR 19960030243 U KR19960030243 U KR 19960030243U KR 19980016897 U KR19980016897 U KR 199800168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mat
trunk mat
fixing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0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897U/ko
Publication of KR19980016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89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트렁크 메트를 견고하게 록킹시켜 트렁크 메트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 중앙을 트렁크 패널(4)과 스크류(14)에 의하여 체결된 홀더(8)의 고정부(10)와 체결부(12)사이에 끼워서 고정되는 트렁크 메트(6)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메트(6)의 타측에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트렁크 메트(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렁크 메트(6)를 견고하게 록킹시켜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수단(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트렁크 메트를 견고하게 록킹시켜 트렁크 메트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에는 자동차의 정비를 위한 정비 부품이나 기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일정크기의 트렁크가 구비되며, 상기 트렁크의 내부 바닥면에는 차체와 구분시켜주기 위한 트렁크 패널이 구성되고, 상기 패티션 패널의 상단에는 트렁크 메트가 결합된다.
상기 트렁크 메트가 트렁크 패널과 결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도4와 같이 트렁크 메트(100)의 일측 중앙은 홀더(102)의 고정부(104)와 체결부(106)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홀드(102)의 고정부(104)는 트렁크 패널(108)의 일측과 스크류(110)에 의하여 체결되고, 상기 트렁크 메트(100)의 타측 하단은 트렁크 패널(108)의 상단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트렁크 메트가 그 일측은 트렁크 패널과 체결되고 타측은 그대로 트렁크 패널의 상단에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가 노면 상태가 고르지 못한 도로를 주행하게 되면 노면 상태에 따른 차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트렁크 메트도 홀더를 중심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즉, 트렁크 메트는 트렁크 패널과 체결된 홀더 부위를 중심으로 덜렁 덜렁되면서 트렁크 패널의 상단을 치거나 트렁크 메트 자체가 심하게 떨리게 되므로 심한 노이즈를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렁크 메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트렁크 메트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렁크 메트의 일측을 록킹시켜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트렁크 메트는 일측이 홀더에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차체가 진동하더라도 트렁크 메트가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메트의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메트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메트의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트렁크 패널6 : 트렁크 메트
8 : 홀더10 : 고정부
12, 24 : 체결부14 : 스크류
16 : 고정수단18, 20 : 요입부
22 : 노브26 : 고정메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트렁크(2)의 하부에는 차체와 구분되기 위한 트렁크 패널(4)이 구비되고, 상기 트렁크 패널(4)의 상단에는 트렁크 메트(6)가 고정된다.
상기 트렁크 메트(6)의 고정구조를 살펴보면 도2와 같이 트렁크 메트(6)의 일측 중앙은 홀더(8)의 고정부(10)와 체결부(12)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홀더(8)의 고정부(10)는 트렁크 패널(4)의 일측과 스크류(14)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상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트렁크 메트(6)의 타측에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트렁크 메트(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렁크 메트(6)를 견고하게 록킹시켜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수단(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16)은 트렁크 패널(4)을 요입 형성한 요입부(18)에 삽입되며 또한 트렁크 메트(6)를 보다 견고하게 록킹시켜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트렁크 메트(6)의 중앙쪽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16)은 트렁크 메트(6)의 타측을 요입하여 형성한 요입부(20)에 삽입되어 트렁크 메트(6)를 록킹시켜주기 위한 노브(22)와; 상기 노브(2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트렁크 메트(6)와 체결시켜주기 위한 체결부(24)와; 상기 노브의 상단에 구비되어 노브를 지지하기 위하여 트렁크 패널(4)에 고정된 고정메트(26)로 구성된다.
상기 노브(22)는 소정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한 몸체(28)와; 상기 몸체의 하단 일측을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부(30)와; 상기 연장부의 양측에 체결부(24)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형성된 체결홈(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브(22)의 몸체 하단 일측에는 이를 잡기 용이하도록 요철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4)는 체결홈(32)에 삽입되는 지지편(36)과; 상기 지지편(36)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노브(22)의 몸체 하단에 탄지됨과 아울러 타측은 트렁크 메트(6)에 탄지되는 스프링(38)과; 상기 트렁크 메트(6)의 상단에 고정되어 스프링(38)이 탄지되기 위한 고정편(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6)의 체결부(24)의 지지편(36)에 스프링(38)을 삽입하고, 상기 지지편(36)을 연장부(30)의 양측 체결홈(32)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38)의 일단을 트렁크 메트(6)에 고정된 고정편(40)에 탄지시켜주며 또한 타단을 노브(22)의 몸체(28) 하단에 탄지시켜주고, 상기 노브(22)를 고정메트(26)의 하부로 삽입시켜준다.
그러면 노브(22)의 몸체(28)는 그 일단이 고정메트(26)의 하단에 지지되면서 트렁크 메트(6)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지지편(36)을 중심으로 노브(22)의 몸체(2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프링(38)의 탄성력이 노브(22)의 몸체(28)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되고, 상기 노브(22)의 몸체(28) 일단이 고정메트(26)를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서 트렁크 메트(6)가 록킹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편(36)은 스프링(38)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38)은 노브(22)의 몸체(28)와 트렁크 메트(6)를 견고하게 탄지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16)으로 트렁크 메트(6)를 록킹시킨 상태로 사용하다가 트렁크 메트(6)를 트렁크(2)로부터 들어내야 할때는 노브(22)의 몸체(28) 상단 우측을 하방으로 밀어서 몸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준후 노브(22)의 요철부(34)를 잡고서 상기 고정수단(16)이 트렁크 메트(6)에 록킹되는 순서의 역순으로 록킹을 해제하여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렁크 메트를 보다 견고하게 록킹시켜 고정시켜주므로 트렁크 메트의 떨림이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이즈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일측 중앙을 트렁크 패널(4)과 스크류(14)에 의하여 체결된 홀더(8)의 고정부(10)와 체결부(12) 사이에 끼워서 고정되는 트렁크 메트(6)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메트(6)의 타측에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트렁크 메트(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렁크 메트(6)를 견고하게 록킹시켜 고정시켜주기 위한 고정수단(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6)은 트렁크 메트(6)의 타측을 요입하여 형성한 요입부(20)에 삽입되어 트렁크 메트(6)를 록킹시켜주기 위한 노브(22)와; 상기 노브(2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트렁크 메트(6)와 체결시켜주기 위한 체결부(24)와; 상기 노브의 상단에 구비되어 노브를 지지하기 위하여 트렁크 패널(4)에 고정된 고정메트(2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브(22)는 소정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한 몸체(28)와; 상기 몸체(28)의 하단 일측을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부(30)와; 상기 연장부(30)의 양측에 체결부(24)가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형성된 체결홈(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4)는 체결홈(32)에 삽입되는 지지편(36)과; 상기 지지편(3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노브(22)의 몸체(28) 하단에 탄지됨과 아울러 타측은 트렁크 메트(6)에 탄지되는 스프링(36)과; 상기 트렁크메트(6)의 상단에 고정되어 스프링(38)이 탄지되기 위한 고정편(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KR2019960030243U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KR199800168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43U KR19980016897U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43U KR19980016897U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897U true KR19980016897U (ko) 1998-06-25

Family

ID=5397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243U KR19980016897U (ko) 1996-09-20 1996-09-20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89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3466A (en) Ski carrier
JPH0424261B2 (ko)
KR19980016897U (ko)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JP3965035B2 (ja) シート構造
JP6722139B2 (ja) 自動車用ルーフキャリヤ
JPS6328043Y2 (ko)
JP3820857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支持構造
EP0597251A1 (en) Ski carrier
KR19980050871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JPH0132407Y2 (ko)
KR0126216Y1 (ko) 연장도어가 구비된 리어시트용 암레스트 도어
KR950006464Y1 (ko) 승합차량의 시이트 백 설치용 드링크 홀더
KR100191773B1 (ko) 차량의 트림 장착용 클립
KR200234923Y1 (ko) 차량용 번호판의 체결볼트.
KR0138516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결합구조
KR200195830Y1 (ko) 자동차의 러기지 매트 고정장치
KR0131614Y1 (ko) 리어 패키지 트레이 고정클립
KR850000346Y1 (ko) 자동차용 창문 잠금장치
KR100229362B1 (ko) 차량의 트렁크 보드 고정용 클립
JPH0713257Y2 (ja) 車載用電装部品の保持構造
KR0130459Y1 (ko) 자동차의 화물 고정용 네트 후크
KR19980022113A (ko) 자동차의 트렁크 메트 고정장치
KR200206477Y1 (ko) 자동차의보조용매트고정장치
KR100443963B1 (ko) 자동차용 파티션 네트
KR0151327B1 (ko) 스키 슬리브 리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