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823U -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 Google Patents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823U
KR19980021823U KR2019960035139U KR19960035139U KR19980021823U KR 19980021823 U KR19980021823 U KR 19980021823U KR 2019960035139 U KR2019960035139 U KR 2019960035139U KR 19960035139 U KR19960035139 U KR 19960035139U KR 19980021823 U KR19980021823 U KR 199800218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herical
coupling
fastening portion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원
Original Assignee
이종호
평화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평화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2019960035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823U/ko
Publication of KR19980021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82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용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관에 연결되는 파이프의 연결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결합부(2)를 가진 구형의 체결부(1)와, 상기 체결부(1)의 중심축과 일정각도(약 120°)로 경사지게 연결관체(3)를 형성하며, 상기 구형의 체결부(1)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의 구체 양단을 절단한 형태의 구형결합구(4)를 결합하되, 상기 구형결합구(4) 중심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결합부(5)를 형성하며, 상기 구형결합부(4)의 외주연 일단부와 파이프결합부(5)의 적정위치에 각각 패킹(6,6')을 개재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제1도(가),(나)는 본 종래의 연결관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연결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체결부2:결합부
3:연결관체4:구형결합구
5:파이프결합부P:파이프
본 고안은 하수용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관에 연결되는 파이프의 연결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관은, 제1도 (가),(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한 각도로 성형된 연결관(10)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여 왔었다.
상기한 종래의 연결관(10)은 정해진 연결각도로 연결가능하므로 파이프의 연결시공전에 정확한 관찰과 사전계획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작업이 불편하였고, 또한, 지정된 연결각 이상 또는 이하의 각도로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시공사의 문제점도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서, 연결관에 연결되는 파이프의 연결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시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관에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일측이 개방되어 결합부(2)를 가진 구형의 체결부(1)와, 상기 체결부(1)의 중심축과 일정각도(약 120°)로 경사지게 연결관체(3)를 형성하며, 상기 구형의 체결부(1)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의 구체 양단을 절단한 형태의 구형결합구(4)를 결합하되, 상기 구형결합부(4) 중심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결합부(5)를 형성하며, 상기 구형결합부(4)의 외주연 일단부와 파이프결합부(5)의 적정위치에 각각 패킹(6,6')를 개재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체결부(1)의 내측에 삽입된 구형결합구(4)의 파이프 결합부(5)와 상기 체결부(1)에서 연장된 연결관체(3)에 각각 파이프(P)를 결합시킨 후, 구형결합구(4)에 결합된 파이프(P)를 회전시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구형의 체결부(1) 내측에 결합된 구형결합구(4)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각각 패킹(6,6')이 결합되어 있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며, 구형의 체결부(1)의 개방된 결합부(2)의 내경 크기에 따라 상기 구형결합구(4)에 결합된 파이프(P)의 연결각이 전,후,좌,우 어느방향으로도 절곡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연결되는 파이프의 연결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면, 다수의 고정된 연결관을 이용하지 않고 원하는 각도로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연결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설계도가 없어도 파이프를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의 편리성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단축효과와 더불어, 적은양의 연결관을 이용하여 배관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측이 개방되어 결합부(2)를 가진 구형의 체결부(1)와, 상기 체결부(1)의 중심축과 일정각도(약 120°)로 경사지게 연결관체(3)를 형성하며, 상기 구형의 체결부(1)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의 구체 양단을 절단한 형태의 구형결합구(4)를 결합하되, 상기 구형결합구(4) 중심부를 관통하는 파이프 결합부(5)를 형성하며, 상기 구형결합부(4)의 외주연 일단부와 파이프결합부(5)의 적정위치에 각각 패킹(6,6')을 개재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각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KR2019960035139U 1996-10-24 1996-10-24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KR199800218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139U KR19980021823U (ko) 1996-10-24 1996-10-24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139U KR19980021823U (ko) 1996-10-24 1996-10-24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823U true KR19980021823U (ko) 1998-07-15

Family

ID=5397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139U KR19980021823U (ko) 1996-10-24 1996-10-24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82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16743A (en) Pipe coupling
WO2004042264A3 (en) Plastic-lined metal-encased tubing segment connector system
IE45368L (en) Sealing member for pipe joint
CA2282039A1 (en) Expansion flexible tube join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9980021823U (ko) 연결각 조절이 자유로운 파이프 연결관
RU2001133091A (ru) Шлан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3619879B2 (ja) 管継手部の構造
JPH04285388A (ja) 自在管継手
JPH04266687A (ja) 自在管継手
JP3167969B2 (ja) 管の継手構造
JPH06323476A (ja) 自在継手
JP3025738U (ja) ポリエチレン管継手
JPS589035Y2 (ja) 自在管継手
ES2123103T3 (es) Acoplamientos de tuberia.
JPH10148286A (ja) 管継手
JPH0210397Y2 (ko)
JPH0654988U (ja) 管継手
JPS5934786Y2 (ja) 可撓継手
JPS589034Y2 (ja) 管の自在継手
JPS597670Y2 (ja) 管継手
JP3024218U (ja) 可撓管継手
EP1028281A3 (en) High tensile strenght coupling
JPH0237020Y2 (ko)
KR970066242A (ko) 관(管)이음부의 커플링의 결착구조
JPS6011350Y2 (ja) ホ−ス中間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