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740A - 디지탈/아날로그(d/a)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아날로그(d/a)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740A
KR19980020740A KR1019960039336A KR19960039336A KR19980020740A KR 19980020740 A KR19980020740 A KR 19980020740A KR 1019960039336 A KR1019960039336 A KR 1019960039336A KR 19960039336 A KR19960039336 A KR 19960039336A KR 19980020740 A KR19980020740 A KR 19980020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verter
quantized
quantization nois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9155B1 (ko
Inventor
허정권
이태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155B1/ko
Priority to JP09247312A priority patent/JP3115264B2/ja
Priority to MYPI97004216A priority patent/MY121616A/en
Priority to US08/927,533 priority patent/US5854599A/en
Priority to GB9719221A priority patent/GB2317286B/en
Priority to CN97120626A priority patent/CN1107380C/zh
Publication of KR1998002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7/3004Digital delta-sigma modulation
    • H03M7/3006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of,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7/3004Digital delta-sigma modulation
    • H03M7/3015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 H03M7/302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 H03M7/3024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having one quantiser only
    • H03M7/3028Structural details of digi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having one quantiser only the quantiser being a single bit 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D/A)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일정비트로 입력되는 양자화된 디지탈신호를 보간하여 일정배수의 오버샘플링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간기와, 입력되는 오버샘플링데이타와 소정의 궤환 입력되는 데이타간의 차분데이타를 구하는 차분기와, 차분데이타에 소정치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하는 곱셈기와, 차분데이타를 일정한 대역폭으로 필터링하여 주파수를 제한시키는 필터기와, 크기조절된 데이타와 대역제한된 데이타를 합하는 가산기와, 가산기의 출력데이타를 양자화하여 출력하는 양자화부와, 양자화된 데이타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변환기, 및 양자화된 데이타를 일정시간만큼 지연하여 차분기로 궤환 입력시키는 지연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역제한된 차분데이타를 양자화하는 종래에 비해 크기조절된 차분데이타를 대역제한된 차분데이타에 합하여 양자화하므로써 고주파영역에 대해 양자화잡음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양자화잡음의 증가율을 감소시켜 양자화잡음에 영향을 덜 받는 아날로그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 통과대역을 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어 차세대 오디오기기에 적합한 성능의 D/A변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탈/아날로그(D/A)변환장치
도 1은 종래 D/A변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 장치의 주파수에 따른 양자화잡음 특성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A변환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는 도 3 장치의 필터기가 로우패스필터인 경우의 주파수에 따른 양자화잡음 특성곡선이고, 도 4b는 도 3 장치의 필터기가 하이패스필터인 경우의 주파수에 따른 양자화잡음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보간기 32 : 차분기
33,37 : 곱셈기 34 : 필터기
35 : 가산기 36 : 양자화부
38 : 혼합기 39 : D/A변환기
40 : 지연기
[발명의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 발생하는 양자화잡음 구조를 바꾸어 주파수에 따른 양자화잡음(quantization noise)을 감소시켜 디지탈/아날로그(Digital-to-Analog; D/A)변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D/A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본 발명은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에 따른 양자화잡음을 감소시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D/A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아날로그와 디지탈 통신시스템에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화하거나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화하는 많은 A/D 및 D/A변환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 오디오신호 대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 오버샘플링(Oversampling)을 이용하는 델타시그마(ΔΣ)방식이다. 델타시그마(ΔΣ)방식은 입력신호를 일정한 대역폭을 갖는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LPF)로 그 주파수를 제한하고, 대역제한된 신호를 나이퀴스트(Nyquist)주파수 이상의 샘플링주파수로 샘플링하는 오버샘플링기법을 사용한다. 그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D/A변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장치는 입력되는 16비트 양자화된 디지탈신호를 보간하여 원하는 배수만큼 오버샘플링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간기(Interpolator)(11)와, 오버샘플링된 데이타와 소정의 궤환 입력되는 데이타간의 차분를 구하는 차분기(12), 및 그 차분데이타를 일정한 대역폭으로 필터링하여 그 주파수를 제한하는 로우패스필터(13)를 구비하고 있다. 로우패스필터(13)에는 대역제한된 데이타를 1비트 양자화하는 양자화부(14)가 연결된다. 양자화부(14)는 대역제한된 데이타에 소정치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하는 곱셈기(15)와, 크기 조절된 데이타를 소정의 샘플링주파수로 샘플링하여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혼합기(16)를 구비하고 있다. 양자화부(14)에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출력하는 D/A변환기(17)가 연결된다. 양자화부(14)에는 또한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를 일정시간 지연하여 차분기(12)로 궤환 입력하는 지연기(18)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D/A변환장치에서, 보간기(11)는 입력되는 16비트 양자화된 디지탈신호를 보간하여 원하는 배수만큼 오버샘플링된 데이타를 차분기(12)로 출력한다. 차분기(12)는 입력되는 16비트 오버샘플링된 데이타(x)와 지연기(18)로부터 궤환 입력되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간의 차분을 구하고, 이 차분데이타를 로우패스필터(13)로 출력한다. 로우패스필터(13)는 입력되는 16비트 차분데이타(x-y)를 H(f)의 전달함수로 표현되는 대역폭으로 로우패스필터링하여 양자화부(14)로 출력한다. 양자화부(14)에서 곱셈기(15)는 필터링된 데이타[(x-y)H(f)]에 일정한 계수(g)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하고, 혼합기(16)는 크기 조절된 데이타[(x-y)H(f)g]를 샘플링주파수(Fs)에 따라 샘플링한다. 혼합기(16)는 샘플링된 데이타를 샘플당 1비트만을 사용하여 그 극성만을 나타내는 양자화된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때, 양자화된 데이타에는 양자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잡음(q)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샘플링주파수(Fs)는 나이퀴스트주파수보다 휠씬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오버샘플링기법을 적용하여 1비트 양자화에서 오는 양자화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D/A변환기(17)는 입력되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출력한다. 지연기(18)는 입력되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를 일정시간 지연하여 차분기(12)로 궤환 입력한다. 이와 같은 D/A변환장치에서 양자화부(14)의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는 다음의 수학식 1로 정의된다.
[수학식 1]
위의 수학식 1을 y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2로 정의된다.
[수학식2]
여기서, H(f)는 로우패스필터(13)의 전달함수로, H(f)g가 '1'보다 충분히 크게 되면 양자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양자화잡음은 다음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3]
위의 수학식 3에서, 양자화잡음은 도 2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가 고역으로 갈수록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즉, 로우패스필터(13)는 입력되는 신호의 대역이 고주파로 갈수록 통과신호가 작아지고, 양자화잡음에 대해 그 전달함수 H(f)가 반비례하므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양자화잡음이 커진다. 또한, 곱셈기(15)의 계수(g)가 일정한 경우 양자화잡음은 로우패스필터(13)의 전달함수 H(f)에 의해서 결정되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H(f)의 크기가 줄어들어 양자화잡음이 커진다. 반면에, H(f)가 '1'인 경우 양자화잡음은 최소가 되고, 다음의 수학식 4가 된다.
[수학식4]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하지만, 위와 같은 델타시그마(ΔΣ)방식의 D/A변환장치에서는 고주파영역으로 갈수록 양자화잡음의 크기가 커지고, 신호의 크기는 작아지므로 양자화잡음에 고주파신호가 묻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대역이 좁아지게 된다. 이는 현재보다 높은 샘플링주파수 예를 들어, 최대 대역폭을 약 100㎑까지로 정하고 있는 슈퍼오디오(Super Audio)개념의 차세대 오디오기기에서는 현재보다 더 높은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양자화잡음이 더욱 커지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역으로 갈수록 양자화잡음이 커지는 종래 D/A변환장치의 구조를 바꾸어 절대적인 양자화잠음의 감소를 꾀할 수 있는 새로운 D/A변환장치를 제시한다.
[발명의구성및작용]
따라서, 본 발명의 D/A변환장치는 입력되는 일정비트 양자화된 디지탈신호를 보간하여 오버샘플링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간기와, 입력되는 오버샘플링된 데이타와 소정의 궤환 입력되는 양자화된 데이타간의 차분을 구하는 차분기와, 그 차분데이타를 로우패스필터링하는 로우패스필터와, 필터링된 데이타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와, 그 양자화된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 및 양자화된 데이타를 지연하여 차분기로 궤환 입력하는 지연기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분데이타를 입력받아 소정의 계수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하는 곱셈기와, 상기 차분데이타를 입력받아 일정한 대역폭으로 필터링하여 그 주파수를 제한시키고, 대역제한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필터기와, 상기 크기 조절된 데이타와 대역제한된 데이타를 합하여 출력하는 가산기,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데이타를 양자화하고, 그 양자화된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D/A변환기로 출력하는 양자화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A변환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종래 도 1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단지 도 1 장치의 로우패스필터(13) 대신에 차분기(32)를 통해 입력되는 차분데이타에 소정치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하는 곱셈기(33)와, 그 차분데이타를 일정한 대역폭으로 필터링시켜 주파수를 제한시키는 필터기(34)를 포함한다. 또한, 곱셈기(33)와 필터기(34)의 출력데이타를 합하여 양자화부(36)로 출력하는 가산기(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D/A변환장치에 대한 동작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도 3 장치의 필터기(34)가 로우패스필터(LPF)인 경우의 주파수에 따른 양자화잡음 특성곡선이고, 도 4b는 도 3 장치의 필터기(34)가 하이패스필터(High Pass Filter; HPF)인 경우의 주파수에 따른 양자화잡음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보간기(31)는 입력되는 16비트 양자화된 디지탈신호를 보간하여 원하는 배수만큼 오버샘플링된 데이타를 구하고, 그 오버샘플링된 데이타를 차분기(32)로 출력한다. 차분기(32)는 입력되는 오버샘플링된 데이타(x)와 지연기(40)로부터 궤환 입력되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간의 차분을 구하고, 그 차분데이타를 곱셈기(33)와 필터기(34)로 출력한다. 곱셈기(33)는 입력되는 차분데이타(x-y)에 일정계수(g′)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한 후 가산기(35)로 출력한다. 한편, 필터기(34)는 입력되는 차분데이타(x-y)를 H(f)의 전달함수로 표현되는 일정한 대역폭을 갖는 로우패스필터(LPF) 또는 하이패스필터(HPF)를 통해 필터링하여 그 주파수를 제한시켜 가산기(35)로 출력한다. 가산기(35)는 크기 조절된 데이타[(x-y)g′]와 대역 제한된 데이타[(x-y)H(f)]를 서로 합하여 양자화부(36)로 출력한다. 양자화부(36)의 곱셈기(37)는 가산기(35)의 출력데이타[(x-y)g′+(x-y)H(f)]에 일정계수(g)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한 후 혼합기(38)로 출력한다. 혼합기(38)는 크기 조절된 데이타[((x-y)g′+(x-y)H(f))g]를 샘플링주파수(Fs)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타를 샘플당 그 극성만을 나타내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로 출력한다. 이때, 양자화된 데이타에는 양자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잡음(q)이 포함된다. 여기서, 양자화부(36)는 나이퀴스트주파수보다 匿씬 높은 주파수를 샘플링주파수(Fs)로 사용하는 오버샘플링기법을 적용하여 1비트 양자화에서 오는 양자화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D/A변환기(39)는 입력되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최종 출력한다. 지연기(40)는 입력되는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를 일정시간만큼 지연하여 차분기(32)로 궤환 입력한다. 이와 같은 D/A변환장치에서 양자화부(36)의 1비트 양자화된 데이타(y)는 다음의 수학식 5로 정의된다.
[수학식5]
위의 수학식 5을 y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6으로 정의된다.
[수학식6]
여기서, H(f)는 필터기(34)의 전달함수로, (1+H(f))g가 '1'보다 충분히 크면 양자화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양자화잡음은 다음의 수학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7]
위의 수학식 6에서, 필터기(34)가 로우패스필터(LPF)인 경우 양자화잡음은 도 4a 그래프의 빗금친부분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즉, 로우패스矩터(LPF)는 입력되는 신호의 대역이 고주파로 갈수록 통과신호가 작아지고, 양자화잡음에 대해 그 전달함수 H(f)가 반비례하므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양자화잡음이 커진다. 또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곱셈기(33,37)의 계수(g′,g)가 일정한 경우 양자화잡음은 로우패스필터(LPF)의 전달함수 H(f)에 의해서 결정되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H(f)의 크기가 줄어들어 양자화잡음이 커진다. 한편, H(f)와 곱셈기(33)의 계수(g′)가 '1'인 경우 수학식 6의 양자화잡음은 최소가 되고, 이는 다음의 수학식 7로 정의된다.
[수학식8]
이는 도 1의 종래 델타시그마(ΔΣ)방식의 D/A변환장치에서 동일한 전달함수를 갖는 로우패스필터(LPF)를 사용하는 경우의 양자화잡음(수학식 4 참조)보다 더 작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도 4a 참조). 그리고, 곱셈기(33)의 계수(g′)가 '1'보다 커지게 되더라도 양자화잡음이 훨씬 작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양자화잡음의 증가율도 종래에 비해 낮은 특성을 보여 양자화잡음이 적은 통과대역(Passband)을 종래보다 더 넓게 정할 수 있다.
한편, 필터기(34)가 하이패스필터(HPF)인 경우 양자화잡음은 도 4b 그래프의 빗금친부분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즉, 하이패스필터(HPF)는 입력되는 신호의 대역이 고주파로 갈수록 통과신호가 많아져 그 전달함수 H(f)가 증가하므로 양자화잡음이 적어진다. 또한, 곱셈기(33,37)의 계수(g′,g)가 일정한 경우 양자화잡음은 하이패스필터(HPF)의 전달함수 H(f)에 의해서 결정되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H(f)의 크기가 커져 양자화잡음이 줄어든다. 반면에, H(f)가 최소치 '0'이고 곱셈기(33)의 계수(g′)가 '1'인 경우 양자화잡음은 최대가 되고, 이는 수학식 4로 나타나며 종래 D/A변환장치에서의 양자화잡음 최소와 같게 된다. 즉, 하이패스필터(HPF)를 사용하는 경우 도 4b 그래프에서 보듯이 전 주파수영역에서 종래보다 양자화잡음이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곱셈기(33)의 계수(g′)가 '1'보다 더 커지게 되면 양자화잡음은 다음의 수학식 8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작아지게 된다.
[수학식9]
[발명의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A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디지탈신호의 주파수영역이 고역으로 갈수록 양자화잡음이 커지는 종래 델타시그마(ΔΣ)방식의 D/A변환장치에 비해서 인접한 두 오버샘플링된 데이타의 차분데이타를 로우패스필터 또는 하이패스필터로 필터링하며, 이 차분데이타의 크기를 조절하여 크기조절된 데이타와 필터링된 데이타를 합한 데이타로 양자화한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므로써 전 주파수영역에 대해 양자화잡음을 줄일 수 있어 대역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로우패스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 D/A변환장치의 하드웨어적 구성에 큰 변형이 없어 같은 가격 및 공정으로 훨씬 좋은 성능의 D/A변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입력되는 일정비트 양자화된 디지탈신호를 보간하여 오버샘플링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보간기와, 입력되는 오버샘플링된 데이타와 소정의 궤환 입력되는 양자화된 데이타간의 차분을 구하는 차분기와, 그 차분데이타를 로우패스필터링하는 로우패스필터와, 필터링된 데이타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와, 그 양자화된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 및 양자화된 데이타를 지연하여 차분기로 궤환 입력하는 지연기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분데이타를 입력받아 소정의 계수를 곱하여 크기를 조절하는 곱셈기;
    상기 차분데이타를 입력받아 일정한 대역폭으로 필터링하여 그 주파수를 제한시키고, 대역제한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필터기;
    상기 크기 조절된 데이타와 대역제한된 데이타를 합하여 출력하는 가산기; 및
    상기 가산기의 출력데이타를 양자화하고, 그 양자화된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D/A변환기로 출력하는 양자화부를 포함하는 D/A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부의 양자화된 데이타는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변환장치.
    이고, 이를 y로 정리하면
    여기서, y는 양자화된 데이타, x는 오버샘플링된 데이타, g′과 g는 크기 조절을 위한 계수, H(f)는 필터기의 전달함수이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으로 정의되는 양자화된 데이타에서 (1+H(f))g가 '1'보다 충분히 크면 양자화잡음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변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기는 로우패스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변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으로 정의되는 양자화잡음은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영역과 상기 곱셈기의 계수(g′)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로우패스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데이타를 양자화하는 경우에 비해 양자화잡음의 최소값이 작아지고, 주파수의 증가에 따른 양자화잡음의 증가율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변환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기는 하이패스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변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으로 정의되는 양자화잡음은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영역과 상기 곱셈기의 계수(g′)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로우패스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데이타를 양자화하는 경우의 양자화잡음의 최소값이 최대값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A변환장치.
KR1019960039336A 1996-09-11 1996-09-1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장치 KR10021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336A KR100219155B1 (ko) 1996-09-11 1996-09-1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장치
JP09247312A JP3115264B2 (ja) 1996-09-11 1997-09-11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装置
MYPI97004216A MY121616A (en) 1996-09-11 1997-09-11 Digital-to-analog conversion apparatus
US08/927,533 US5854599A (en) 1996-09-11 1997-09-11 Digital-to-analog conversion with reduced quantization noise
GB9719221A GB2317286B (en) 1996-09-11 1997-09-11 Digital-to-analog conversion apparatus
CN97120626A CN1107380C (zh) 1996-09-11 1997-09-11 数/模转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336A KR100219155B1 (ko) 1996-09-11 1996-09-1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40A true KR19980020740A (ko) 1998-06-25
KR100219155B1 KR100219155B1 (ko) 1999-09-01

Family

ID=1947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336A KR100219155B1 (ko) 1996-09-11 1996-09-11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54599A (ko)
JP (1) JP3115264B2 (ko)
KR (1) KR100219155B1 (ko)
CN (1) CN1107380C (ko)
GB (1) GB2317286B (ko)
MY (1) MY121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702B1 (ko) * 2000-03-22 2006-07-11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수신데이터의 수신감도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D20168A (id) * 1996-11-07 1998-10-15 Philips Electronics Nv Pengolahan data pada suatu sinyal aliran bit
US6816100B1 (en) 1999-03-12 2004-11-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alog-to-digital converters with common-mode rejection dynamic element matching, including as used in delta-sigma modulators
US6518801B1 (en) * 1999-08-05 2003-02-11 Agere Systems Inc. Alias suppression method for 1-bit precision direct digital synthesizer
JP4454109B2 (ja) * 2000-06-14 2010-04-21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パルス密度変調信号(pdm)の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処理におけるsn比改善の方法および装置
GB0018490D0 (en) 2000-07-27 2000-09-13 Element 14 Inc Digital/analogue communication system
US7230996B2 (en) * 2002-06-13 2007-06-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tting circuit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DE10331572B4 (de) * 2003-07-11 2005-06-09 Infineon Technologies Ag Sigma-Delta-Wandleranordnung
US7706495B2 (en) * 2004-03-12 2010-04-27 Panasonic Corporation Two-point frequency modulation apparatus
CN101610086B (zh) * 2008-06-20 2014-11-26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可控制输出速率的积分三角调制器及其相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251A (en) * 1984-03-21 1987-07-21 Victor Company Of Japan, Ltd.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noise reduction circuit
NL8600815A (nl) * 1986-03-28 1987-10-16 At & T & Philips Telecomm Inrichting voor het kompenseren van niet-lineaire vervorming in een te digitaliseren ingangssignaal en een echokompensatiestelsel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JP2574515B2 (ja) * 1990-05-16 1997-0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Yc分離回路
US5323157A (en) * 1993-01-15 1994-06-21 Motorola, Inc. Sigma-delta digital-to-analog converter with reduced noise
GB2298096B (en) * 1995-02-10 1998-09-02 Motorola Inc Noise cancelling circuit and arrangement
US5663771A (en) * 1996-06-13 1997-09-02 Raytheon Company Adaptive video comb filter with legalized output signals
US5757300A (en) * 1996-10-22 1998-05-26 General Electric Company Feed-forward bandpass delta-sigma converter with tunable center frequenc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702B1 (ko) * 2000-03-22 2006-07-11 넥스원퓨처 주식회사 수신데이터의 수신감도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380C (zh) 2003-04-30
GB2317286A (en) 1998-03-18
US5854599A (en) 1998-12-29
GB9719221D0 (en) 1997-11-12
GB2317286B (en) 1998-07-29
CN1180962A (zh) 1998-05-06
JPH10107638A (ja) 1998-04-24
JP3115264B2 (ja) 2000-12-04
KR100219155B1 (ko) 1999-09-01
MY121616A (en)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wart et al. Oversampling and sigma-delta strategies for data conversion
US6317468B1 (en) IF exciter for radio transmitter
US4772871A (en) Delta sigma modulator circuit for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JP4261585B2 (ja) デルタシグマ・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US6894632B1 (en) Programmable analog-to-digital converter
US6922161B2 (en) Delta-Sigma modulator for reducing quantization noise and oversampling ratio (OSR)
EP1488525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sigma-delta modulation
US74533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 conversion
JP3593805B2 (ja) 特殊効果処理装置
CN101919163A (zh) 在反馈路径中比特数减少的多比特西格玛-德尔塔调制器
KR19980020740A (ko) 디지탈/아날로그(d/a)변환장치
JPH08321781A (ja) オーバサンプリング変調器
US9954514B2 (en) Output range for interpolation architectures employing a cascaded integrator-comb (CIC) filter with a multiplier
JP3115265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装置
US6172628B1 (en) Tone modulation with square wave
EP1678832B1 (en) Delta sigma modulator with integral decimation
JP3040546B2 (ja) ノイズシェーピングa−d変換器
US104250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solutions of analog-to-digital converters
Abeysekera et al. A comparison of various low-pass filter architectures for Sigma-Delta demodulators
JPH0376318A (ja)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または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器におけるデルタシグマ変調回路
CN109756193B (zh) 使用扩谱调制进行pwm波调制的d类数字音频功放系统
JP2002510455A (ja) 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EP1855384B1 (en) Accumulator for adaptive sigma-delta modulation
Nagahara et al. Design of Oversampling Δ Σ DA Converters Via H∞ Optimization
WO2020175581A1 (ja) デルタシグマ変調装置及び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