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96U -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96U
KR19980018996U KR2019960032423U KR19960032423U KR19980018996U KR 19980018996 U KR19980018996 U KR 19980018996U KR 2019960032423 U KR2019960032423 U KR 2019960032423U KR 19960032423 U KR19960032423 U KR 19960032423U KR 19980018996 U KR19980018996 U KR 199800189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joint pipe
synthetic resin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4638Y1 (ko
Inventor
이준식
Original Assignee
이준식
정종득
주식회사 벽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식, 정종득, 주식회사 벽산 filed Critical 이준식
Priority to KR2019960032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638Y1/ko
Publication of KR19980018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러 형태로 된 이음관체의 각 접속부에 전열선이 매입된 접합부재를 분할배치되게 구성하여 그 접속부에 피이음관을 끼운 다음 전열선 가열로 접합부재를 용융시켜 이음관체와 피이음관을 일체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10) 각 접속부(12)에 접합부재(13)를 각각 부설하여 접합부재(13) 일측에 2개의 전원접속단자(15)를 설치하고 그 접속단자(15)에 연결된 전열선(14)을 접합부재(13)에 2열로 배치하여 전열선(14)를 각각 가열할 수 있게 하여서 된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러 형태로 된 이음관체의 각 접속부에 전열선이 매입된 접합부재를 분할배치되게 구성하여 그 접속부에 피이음관을 끼운 다음 전열선 접합부재를 용융시켜 이음관체와 피이음관을 일체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에서 접합부재를 전열선으로 용융시켜 이음관체와 피이음관을 일체로 접속시키는 구성은 접합부재에 전열선이 코일스프링 형태로 매입되어 접합부재 양단에서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접합부재를 용융시키도록 한 것이었기 때문에 직관으로 된 이음관체에서는 양단 접속부를 피이음관을 끼워 일체로 용융접속할 수 있었으나 이음관체의 접속방향이 다른 엘보우, T형, +자형 등의 이음관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였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음관체의 접속부에 부설되는 접합부재 일측에 2개의 전원접속단자를 설치하고 그 접속단자에 각각 연결된 전열선이 접합부재에 2열로 배치되어 전열선을 가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속부가 다른 여러 형태의 이음관체에 피이음관을 일체로 용융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관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접합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관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관체 접속부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관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음관체11 : 받침턱
12,12',12 : 접속부13 : 접합부재
14 : 전열선15,15'15 : 접속단자
20,20',20 : 피이음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10) 각 접속부(12)에 접합부재(13)를 각각 부설하여 접합부재(13) 일측에 2개의 전원접속단자(15)를 설치하고 그 접속단자(15)에 연결된 전열선(14)을 접합부재(13)에 2열로 배치하여 끝부분이 맞닿게 한 다음 2개의 접속단자(15)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열선(14)를 각각 가열시켜 접합부재(13)를 용융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이음관체 내부의 받침턱, 20은 합성수지제 피이음관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직관으로된 이음관체(10)에서는 양단접속부(12)(12')에 접합부재(13)가 분할 배치되고 2개의 전원접속단자(15)(15')가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양단접속부(12)(12')의 내측에 받침턱(11) 부분은 용융될 우려가 없고 이음관체(10)의 접속부(12)에 일측 피이음관(20)을 먼저 용융접속한 다음 또다른 접속부(12')에 피이음관(20')을 용융접속시켜 일체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5에서와 같이 T형의 이음관체(10)에서는 세방향의 접속부(12)(12')(12)에 각각 접합부재(13)가 분할배치되어 전원접속단자(15)(15')(15)로 각각 접합부재(13)를 용융시켜 이음관체(10)와 피이음관(20)(20')(20)를 일체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이음관체(10) 외에도 접속부가 다른 엘보우, +자형 등 여러 형태의 이음관체에서도 본 고안의 접합부재를 적용하여 피이음관을 용융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이음관체는 각 접속부에 전열선이 매입된 접합부재를 분할배치되게 구성하여 그 접속부에 피이음관을 끼운 다음 전열선 가열로 접합부재를 용융시켜 이음관체와 피이음관을 일체로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접속부가 여러 형태로 된 이음관체에 피이음관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일체로 용융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10) 각 접속부(12)에 접합부재(13)를 각각 부설하여 접합부재(13) 일측에 2개의 전원접속단자(15)를 설치하고 그 접속단자(15)에 연결된 전열선(14)을 접합부재(13)에 2열로 배치하여 전열선(14)를 각각 가열할 수 있게 하여서 된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KR2019960032423U 1996-09-25 1996-09-25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KR200174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423U KR200174638Y1 (ko) 1996-09-25 1996-09-25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423U KR200174638Y1 (ko) 1996-09-25 1996-09-25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96U true KR19980018996U (ko) 1998-07-06
KR200174638Y1 KR200174638Y1 (ko) 2000-04-01

Family

ID=1946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423U KR200174638Y1 (ko) 1996-09-25 1996-09-25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6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773A (ko) * 2001-11-23 2003-06-02 이정현 신축성 파이프를 이용한 수지관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및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773A (ko) * 2001-11-23 2003-06-02 이정현 신축성 파이프를 이용한 수지관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및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638Y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07592T1 (de) Verbindungsformteil für abzweiganschlüsse bei einer rohrleitung
JPS61124796A (ja) プラスチツク管を連結する管継手とそのような継手の製造方法
EP0480053A1 (en) Electrically fusion-bonded joint
JPH0330931A (ja) 低抗溶接用線状部材および電気抵抗を利用して管状部材を溶接する方法
KR19980018996U (ko) 합성수지관의 이음관체
JPH05164286A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
JPS63195493A (ja) 管継手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174640Y1 (ko) 합성수지재관 이음관(A joint member of synthetic resin tube)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JP2566816Y2 (ja) 分岐配管用ヘッダー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42532Y1 (ko) 수지관융착용접합수지발열부싱
JP2590406Y2 (ja) 電気融着用管継手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50794Y1 (ko) 수지관연결소켓
KR200265641Y1 (ko) 수지관 융착용 발열부싱 일체형 연결구
JPH0426797Y2 (ko)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JP2564770Y2 (ja) 管継手
JP3762554B2 (ja) エレクトロフュージョン継手
JP3561600B2 (ja) 電気融着継手
KR200245186Y1 (ko) 폴리에틸렌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20096173A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H0648237Y2 (ja) 溶着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