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641U -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641U
KR19980016641U KR2019960029964U KR19960029964U KR19980016641U KR 19980016641 U KR19980016641 U KR 19980016641U KR 2019960029964 U KR2019960029964 U KR 2019960029964U KR 19960029964 U KR19960029964 U KR 19960029964U KR 19980016641 U KR19980016641 U KR 19980016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bag
water level
sensor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명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9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641U/ko
Publication of KR19980016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4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프론트 범퍼와 리어 범퍼 및 좌, 우측 사이드 도어의 하부에 에어 백을 장착한 다음, 수위 감지센서와 댐핑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이 물에 잠수되는 경우에는 에어 백을 팽창시켜 차체를 부상시킴으로써, 인명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의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차량의 프론트 범퍼(2)와 리어 범퍼(3) 및 좌, 우측 사이드 도어(4, 5)의 하부에 각기 설치된 에어 백(3235)과, 쇽 업소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댐핑 감지센서(1114)와, 차체의 잠수상태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21)와, 댐핑 감지센서(1114)와 수위 감지센서(21)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에어 백(3235)에 출력신호를 보내 팽창시키는 제어기(ECU)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본 고안은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프론트 범퍼와 리어 범퍼 및 좌, 우측 사이드 도어의 하부에 에어 백을 장착한 다음, 수위 감지센서와 댐핑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이 물에 잠수되는 경우에는 에어 백을 팽창시켜 차체를 부상시킴으로써, 인명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의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자동차의 보급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의 기술적인 성능의 향상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충돌 사고시에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로 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각종 안전장치의 개발이다. 특히, 최근 차량의 고출력화 및 고속화에 추세에 따라 과속에 의한 대형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차량에 장착되는 대표적인 안전장치의 종류를 보면, 미끄러운 노면에서의 제동시에 바퀴의 슬립을 방지하여 조향 휠의 조작을 가능케 하는 앤티 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을 비롯하여, 주행 상황이나 도로 상태에 따라 전·후륜에 장착된 4개의 쇽 업소버와 에어 스프링의 내부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제공하는 전자제어 서스펜션(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및 일정속도 이상에서의 충돌시에 팽창됨으로써, 인명을 구조하는 에어 백 시스템이 있다.
에어 백 시스템은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시 충돌하게 되면, 이를 차량의 각부에 설치된 충돌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제어기로 전달하며, 제어기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뇌관을 점화시킴으로써, 내부의 가스가 폭발되어 에어 백을 순간적으로 팽창시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 백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은 충돌 사고시에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차량 전체가 강물 등에 추락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며, 차체의 무게로 인하여 차량은 물속에 가라앉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차량이 강물 등에 추락한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팽창됨으로써, 물에 잠수되는 것을 막아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프론트 범퍼와 리어 범퍼 및 좌, 우측 사이드 도어의 하부에 각기 설치된 에어 백과, 쇽 업소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댐핑 감지센서와, 차체의 잠수상태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와, 댐핑 감지센서와 수위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에어 백에 출력신호를 보내 팽창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수위 감지센서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프론트, 리어 범퍼4, 5:좌, 우측 사이드 도어
1114:댐핑 감지센서21, 22:수위 감지센서
24:자석26:접속단자
28:케이싱3235:에어 백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수위 감지센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의 회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차량의 전, 후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프론트 범퍼(2) 및 리어 범퍼(3)의 하부에 설치된 전·후방 에어 백(32, 33)과, 승객이 타고 내릴 때에 사용하는 좌, 우측 사이드 도어(4, 5)의 하부에 설치된 좌·우측 에어 백(34, 35)과,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쇽 업소버에 부착되어 그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댐핑 감지센서(1114)와, 차체가 물에 잠긴상태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21) 및 이들 댐핑 감지센서(1114)와 상기 수위 감지센서(21)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에어 백(3235)에 출력신호를 보내는 제어기(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칭함)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어기(ECU)는 댐핑 감지센서(1114)와 수위 감지센서(21)에서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차량이 물속에 잠기는 경우에는 신속히 에어 백(3235)에 신호를 보낸다. 에어 백(3235)은 제어기(ECU)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뇌관을 점화시키게 되는데, 이때, 내부의 가스가 폭발되어 에어 백은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팽창시켜 표면장력을 이기고 차량을 수면 위로 부상시킨다.
또한, 댐핑 감지센서(1114)는 통상의 쇽 업소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제어기(ECU)에 신호를 보낸다. 즉, 쇽 업소버가 압축된 상태에서는 작동되지 않으며, 쇽 업소버가 완전히 팽창되면, 곧 바로 제어기(ECU)에 신호를 보내 차량이 노면과 밀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린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의 수위 감지센서(21)는 차량의 센터 필러(6)에 장착된 케이싱(28)과, 케이싱(28)의 내벽을 따라 수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자속 볼(24)과, 수면이 높아짐에 따라 상승된 자속 볼(24)과의 접촉에 의해 통전상태가 되면서 제어기(ECU)에 신호를 보내는 접속단자(2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속 볼(24)은 비중이 작은 볼의 외부에 자석물질을 부착하여 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케이싱(28)의 내벽을 타고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였다. 상승된 자속 볼(24)은 접속단자(26)와 접속하게 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26)는 통전상태가 되면서 와이어(30)를 통해 제어기(ECU)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에어 백(3235)이 팽창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고로 이러한 구성을 지닌 차량의 부상장치를 이용하여 수면위로 차량을 부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노면에서의 정상 주행 중에는 댐핑 감지센서(S1:1114)와 수위 감지센서(S2:21, 22)로부터 아무런 입력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며, 이때, 제어기(ECU)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에, 차량이 강물에 추락하여 물속에 잠기는 순간, 댐핑 감지센서(1114)와 수위 감지센서(21)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밧데리(8)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기(ECU)는 차량이 물속에 가라앉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어 백(3235)에 전기적인 출력신호를 보낸다. 그에 따라, 에어 백(3235)은 내부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뇌관을 점화시키게 되는데, 이때, 가스가 폭발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됨으로써 물의 표면장력을 이기고 차량을 수면 위로 부상시킨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는 차량이 강물에 추락한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팽창됨으로써, 물에 잠수되는 것을 막아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차량의 프론트 범퍼(2)와 리어 범퍼(3) 및 좌, 우측 사이드 도어(4, 5)의 하부에 각기 설치된 에어 백(3235)과, 쇽 업소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댐핑 감지센서(1114)와, 차체의 잠수상태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센서(21)와, 상기 댐핑 감지센서(1114)와 상기 수위 감지센서(21)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에어 백(3235)에 출력신호를 보내 팽창시키는 제어기(EC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센서(21)는 차량의 센터 필러(6)에 장착된 케이싱(28)과, 케이싱(28)의 내벽을 따라 수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자속 볼(24)과, 수면이 높아짐에 따라 상승된 자속 볼(24)과의 접촉에 의해 통전상태가 되면서 제어기(ECU)에 신호를 보내는 접속단자(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KR2019960029964U 1996-09-18 1996-09-18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KR199800166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964U KR19980016641U (ko) 1996-09-18 1996-09-18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964U KR19980016641U (ko) 1996-09-18 1996-09-18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41U true KR19980016641U (ko) 1998-06-25

Family

ID=5397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964U KR19980016641U (ko) 1996-09-18 1996-09-18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6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5545A (zh) 基于重量判定保护类型的安全气囊控制装置
EP0816187B1 (en) Vehicle collision sensor mounting device
CN102529866B (zh) 汽车侧面保护装置
KR19980016641U (ko)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KR100206749B1 (ko) 자동차의 추락 안전 보호용 고무 튜브
KR100224224B1 (ko) 에어 백의 가스압력 조절장치
KR101210763B1 (ko) 차량용 핸들
KR100245214B1 (ko)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KR200180956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0164346B1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00201548B1 (ko) 에어백 팽창시의 내부압력 감소장치
KR970002542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KR19980046361A (ko)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KR100189014B1 (ko) 자동차용 에어 범퍼
KR19990026194U (ko) 자동차의 다이브 방지장치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CN110979443A (zh) 方向盘、具有该方向盘的安全防护系统及方法
KR19980064605U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KR100501887B1 (ko) 후방 차량 경고 장치
KR100201469B1 (ko) 차량 안전장치의 구속장치 해제방법
KR100337821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기폭 제어장치
KR20050061690A (ko) 차량의 능동형 에어백 장치
JPH04119760U (ja) 自動車のエアバツグ装置
KR20020044324A (ko) 인출식 자동차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