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361A -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361A
KR19980046361A KR1019960064684A KR19960064684A KR19980046361A KR 19980046361 A KR19980046361 A KR 19980046361A KR 1019960064684 A KR1019960064684 A KR 1019960064684A KR 19960064684 A KR19960064684 A KR 19960064684A KR 19980046361 A KR19980046361 A KR 1998004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r
ground
shock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식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6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361A/ko
Publication of KR1998004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361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행중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추락으로 인한 사고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외부에 부설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장치가 전무한 상태이고 자동차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펼쳐지도록 한 에어백을 설치한 것이 대부분으로서 추락과 같은 대형사고로 인한 부상이나 사망에 대하여 대처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대형사고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부상을 줄이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이 운행중 일정한 시간동안 지면을 구르는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져 있을때 이를 감지하여 에어백을 펴도록 하는 감지기를 부착하여 사고차량이 지면에 닿을 때 에어백으로 인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부착한 자동차의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차 2 : 팽창기
2-1 : 팽창점화기3 : 감지센서
4 : 현가장치5 : 밧데리
6 : 키박스7 : 구름장치
10 : 상부에어백10-1 : 하부에어백
8, 8-1 : 타임카운터
본 발명은 지상의 지면에서 운행되는 통상의 자동차에 있어서, 운행중 차량이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사고시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하여 정면충돌이나 후면의 강한 추돌로 인하여 탑승자가 실내에서 충돌의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석과 조수석에 충돌시 펼쳐지는 에어백을 장착하는 수단이 대부분이다.
위와 같은 에어백은 차량의 일정 위치에 충격감지기를 부착하고 이의 감지에 따라 작동하는 확산기를 에어백을 접은 상태에서 내부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감지기가 산호를 얻으면 확산기를 폭발시켜 일순간에 에어백을 펼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장치는 자동차의 실내에 국한하여 사용하나 차량이 운행중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사고 때에는 에어백이 펼쳐지지 아니하는데 이는 그 감지기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이기에 에어백을 펴지 않는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을 설치한 사고차량은 사고지점에서 낙하하여 바닥에 충돌순간 에어백이 펼쳐지게 되는데 이 에어백은 탑승자의 전측면에만 한정하여 충격을 흡수 함으로써 운전자를 보호하지 못하고 특히, 차량이 지면에 무방비하게 충돌함으로써 차량의 파손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저 안출한 것으로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이 직접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완충장치를 차량의 외부에 부착하는데;
차량의 충돌 이외에 높은 곳에서 추락할 때 이를 감지하여 외부에 설치한 완충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완충장치는 에어쿳션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으로서, 차량이 추락할 때 지면을 구르는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진 시간을 카운터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완충장치를 작동하여 접촉되는 지면에 차량보다 먼저 완충장치가 접촉되도록 하여 차량의 파손을 줄이고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도록 한 자동차를 제공하려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에 따르는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자동차(1) 상측의 지붕위에 팽창키(2)를 내장한 상부에어백(10)을 부착하며, 자동차(1)의 바닥을 이루는 하측에도 팽창키(2)를 내장한 하부에어백(10-1)을 설치하였고 상기의 팽창기(2) 내부에는 팽창점화기(2-1)를 부설하고 자동차(1)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구름장치(7) 각각의 현가장치(4)에 감지센서(3)를 설치하고 이 감지센서(3)와 자동차밧데리(5)의 전원극과 상기의 팽창점화기(2-1)의 전에 설치한 타임카운터(8)(8-1)를 통하여 키박스(6)와 직렬로 연결하고 타임카운터(8)(8-1)들은 그 각각에 팽창점화기(2-1)를 연결한 구조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표현한 측면도로서, 자동차(1)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키박스(6)에 키를 꽂아서 자동차(1)을 구동시키면 자동차밧데리(5)의 양극전원이 자동차(1)의 구름장치(7)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현가장치(4)의 상단에 설치하여 그 각각의 현가장치(4)에 하중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감지센서(3)의 일측단자와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부에어백(10)의 내부에 내장된 팽창기(2)를 폭발시키는 팽창점화기(2-1)와 연결한 타임카운터(8)의 단자와 연결하였고;
상기 타임카운터(8)의 타측단자는 키박스(6)의 일측단자와 연결하였고 이의 타단은 또하나의 감지센서(3)의 일측단자를 통하여 하부에어백(10-1)의 팽창점화기(2-1)를 연결한 타임카운터(8-1)에 연결하고 밧데리(5)의 음극에 연결하여 밧데리전원이 하나의 루프를 이루는 직렬연결상태인데 상기의 감지센서(3)들은 현가장치(4)에 하중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 즉, 구름장치(7)가 지면에 닿아서 자동차(1)의 자중을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감지센서(3)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며 반대로 자동차의 운행 과정에서 요철이 심한 곳을 통과하거나 리프트에 의하여 자동차(1)가 지면에서 떨어져 구름장치(7)를 지지하는 현가장치(4)에 하중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만 온(on)되어 전원을 흘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감지센서(3)에 의해 밧데리(5)의 전원이 흐르기 위해서는 각각의 독립현가장치(4)들 모두가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이어야 한다.
위와 같이 감지센서(3)들 모두가 온되어 전원이 타임카운터(8)(8-1)에 인가되면 상기의 타임카운터(8)가 시간을 카운팅하여 그 내부에 설정된 비교 시간내에 감지센서(3)들이 온상태를 유지하는지를 비교하여;
한 예로서 설정된 시간보다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임카운터(8)가 온하여 전원을 팽창점화기(2-1)에 전원을 공급하여 팽창점화기(2-1)를 동작시키면 마치 폭발물을 폭발시키는 노관처럼 작동하여 상기 팽창점화기(2-1)를 내장한 팽창기(2)가 폭발하여 고압의 가스를 발생하면 에어백(10)(10-1)이 부풀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작용하는 에어백(10)(10-1)은 자동차가 사고를 내어 높은 곳에서 추락할 때 팽창한 에어백이 먼저 지면에 접촉되면서 부풀어진 에어백이 완충작용을 하게 되어 차량의 파손을 줄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차량에 승차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사고차량이 강과 같은 수중으로 추락하는 경우에도 구름장치가 강바닥에 닿지 않는한 에어백을 작동함으로써 팽창한 에어백의 부력을 받아 자동차가 수중으로 가라앉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자동차가 추락할때 발생되는 충격을 에어백이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파손을 줄이고 그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의 부상을 보다 줄일 수 있게 함은 물론 사고 차량이 깊은 물에 추락할 경우에는 차량이 수중을 잠기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상의 지면을 따라 운행되도록 현가장치를 구비한 구름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일반적인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외부에 팽창기를 내장한 에어백을 다수 설치하고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름장치의 현가장치 상부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의 감지센서들이 모두 온(on)되었을 때 타임카운터가 내부에 설정한 시간과 감지센서들이 모두 온되어 있는 시간을 비교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KR1019960064684A 1996-12-12 1996-12-12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KR19980046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684A KR19980046361A (ko) 1996-12-12 1996-12-12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684A KR19980046361A (ko) 1996-12-12 1996-12-12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361A true KR19980046361A (ko) 1998-09-15

Family

ID=6652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684A KR19980046361A (ko) 1996-12-12 1996-12-12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3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77B1 (ko) * 2002-11-1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전복 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WO2021172762A1 (ko) * 2020-02-28 2021-09-02 임상진 생명 보호 장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77B1 (ko) * 2002-11-11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전복 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WO2021172762A1 (ko) * 2020-02-28 2021-09-02 임상진 생명 보호 장치 시스템
KR20210110001A (ko) * 2020-02-28 2021-09-07 임상진 생명 보호 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483B2 (en) Bumper airbag and system
EP1358091B1 (en) Bumper airbag and system
EP0590845B1 (en) Side impact air bag
US55669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n occupant during a side impact
AU2002236760A1 (en) Bumper airbag and system
JPH08230610A (ja) 歩行者保護装置
CN108583495B (zh) 一种汽车被动安全系统
SE9603521L (sv) Krockenergiabsorberande anordning för fordon
CN217893106U (zh) 一种设有安全气囊系统的车辆
KR19980046361A (ko) 충격 흡수용 에어백을 외부에 장착한 자동차
CN209833561U (zh) 一种汽车前部的安全气囊装置及汽车
KR19990042566A (ko) 자동차의 차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410838B1 (ko) 차량전복시의 루프충격흡수용 완충장치
KR0167624B1 (ko) 자동차용 탑승자 탈출장치
KR100201548B1 (ko) 에어백 팽창시의 내부압력 감소장치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100301404B1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KR100194440B1 (ko) 자동차의 추락시 제어회로
KR0132775Y1 (ko) 감압밸브가 장착된 자동차용 에어 백 장치
KR19990027130U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KR20010065216A (ko) 차량의 전복 사고시 탑승자의 헤드 보호 장치
KR19990021803A (ko) 충돌시 자동차 엔진의 충격 완화장치
KR19980038243U (ko) 자동차용 승객 보호 구조
KR19980016641U (ko)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