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214B1 -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214B1
KR100245214B1 KR1019960053725A KR19960053725A KR100245214B1 KR 100245214 B1 KR100245214 B1 KR 100245214B1 KR 1019960053725 A KR1019960053725 A KR 1019960053725A KR 19960053725 A KR19960053725 A KR 19960053725A KR 100245214 B1 KR100245214 B1 KR 100245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mper
vehicle
decelera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386A (ko
Inventor
박경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2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도 감응형 에어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가 주행하다가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 에어범퍼의 공기압을 서서히 저하시켜 충돌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자동차의 감속감응형 에어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에어범퍼의 공기압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상의 안전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본 발명은 감속감지형 에어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가 주행하다가 미리 설정해둔 속도 및 시간보다 속도가 저하될 때 에어범퍼의 공기압을 증가시켜 만약의 경우 발생할 지도 모르는 접촉사고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의 감속감지형 에어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상태 및 노면의 변화에 따라 쇽 업소버의 감쇠력을 조절하여 승차감과 조향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전자식 장치로서 전자제어 현가장치(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System ; ECS System)가 장착 사용되고, 노멀 모드, 소프트 모드, 오토모드로 작동된다.
상기 노멀(Normal) 모드에서는 감쇠력을 낮게 고정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상기 소프트(soft) 모드에서는 감쇠력을 높게 고정하여 조향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오토(auto) 모드는 통상주행시 감쇠력을 낮게 고정하고, 급제동시 감쇠력을 높게 고정시킨다.
그러나, 기존의 ECS 시스템에 의한 충격흡수장치는 노면의 상태에 따른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어서 차량 사이의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을 유지하는 측면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가 주행하다가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 에어범퍼의 공기압을 천천히 감쇠시켜 충돌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범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자동차의 감속도에 비례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제어장치11 : 공기탱크
12 : 공기관13 : 제1 에어 펌프
14 : 에어범퍼15 :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
16 : 제2 에어 펌프S1 : 감속도 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감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속도센서와 ; 공기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공기탱크와 ; 전자제어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공기탱크의 공기를 가스관을 통하여 에어범퍼로 공급하여 공기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1 펌프와 ;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에어범퍼의 공기를 서서히 개방시키기 위한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와 ; 상기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나온 공기를 가스관에서 상기 공기탱크로 공급하여 상기 에어범퍼의 공기압을 감쇠시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2 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범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감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속도센서(S1)가 설치되고, 그 출력단에는 제1 펌프(13) 및 제2 펌프(16), 그리고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15)가 각각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탱크(11)와 에어범퍼(14)는 공기관(12)으로 연통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제1 펌프(13)가 설치되어 전자제어장치(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에어범퍼(14)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압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에어범퍼(14)의 타측과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15), 제2 펌프(16)가 공기탱크(11)의 타측과 공기관(12)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도센서(S1)를 통하여 자동차의 감속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은 전자제어장치(10)는 주행속도가 일정기준 이상으로 떨어질 경우 차량 충돌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제2 펌프(16)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15)를 천천히 개방하여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토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감속도가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게 되어 상기 에어범퍼(14)를 필요이상으로 감쇠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상기 제1 펌프(13)를 동작시켜 에어범퍼(14)로 공기를 충분히 공급하여 공기압을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에어범퍼의 공기압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상의 안전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감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속도센서(S1)와 ; 공기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공기탱크(11)와 ; 전자제어장치(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공기탱크(11)의 공기를 공기관(12)을 통하여 에어범퍼(14)로 공급하여 공기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1 펌프(13)와 ;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에어범퍼(14)의 공기를 서서히 개방시키기 위한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15)와 ; 상기 상기 전자제어장치(10)의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감압 솔레노이드 밸브(15)를 통하여 나온 공기를 공기관(12)에서 상기 공기탱크(11)로 공급하여 상기 에어범퍼(14)의 공기압을 감쇠시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2 펌프(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 감지형 에어 범퍼.
KR1019960053725A 1996-11-13 1996-11-13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KR100245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725A KR100245214B1 (ko) 1996-11-13 1996-11-13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725A KR100245214B1 (ko) 1996-11-13 1996-11-13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86A KR19980035386A (ko) 1998-08-05
KR100245214B1 true KR100245214B1 (ko) 2000-03-02

Family

ID=1948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725A KR100245214B1 (ko) 1996-11-13 1996-11-13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594B1 (ko) * 2000-04-22 2002-08-07 주식회사 테크노.티 차량의 보조 에어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86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745B2 (en) Process and device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KR100245214B1 (ko)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KR100362709B1 (ko) 전자제어현가장치의ecu고장시제어방법
KR012347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충격흡수장치
JPS6325118A (ja) 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4379405B2 (ja) 車両制御装置
KR100197501B1 (ko) 속도 감응식 현가장치
KR0183125B1 (ko) 주행상태에 따른 차체 높이 조절 장치
KR0126602B1 (ko) 자동차용 충격제어장치
KR19990057517A (ko) 차량용 전자제어 현가장치
KR100264579B1 (ko) 차고 조정 시스템
KR100189014B1 (ko) 자동차용 에어 범퍼
KR100203835B1 (ko) 자동차 수평 조절장치
KR19980032791U (ko) 자동차용 에어스프링의 현가기능 향상장치
KR970034318A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 장치
KR19990026194U (ko) 자동차의 다이브 방지장치
KR0174419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자동 현가장치
KR100290384B1 (ko) 자동차용현가장치
KR0138772Y1 (ko) 전자제어식 차량충격흡수 시스템
KR940006028Y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80016641U (ko) 에어 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장치
CN117685328A (zh) 一种重卡自适应驾驶室悬置控制系统及方法
KR970069430A (ko) 자동차의 자동레벨링 조정장치
KR19990059422A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20020074860A (ko) 자동차의 에어 스프링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