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113A -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113A
KR19980016113A KR1019960035629A KR19960035629A KR19980016113A KR 19980016113 A KR19980016113 A KR 19980016113A KR 1019960035629 A KR1019960035629 A KR 1019960035629A KR 19960035629 A KR19960035629 A KR 19960035629A KR 19980016113 A KR19980016113 A KR 1998001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tored
leve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연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113A/ko
Publication of KR1998001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113A/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유 혹은 경유등과 같은 연료를 저장하여 캬브레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캬브레타로 공급되도록 연료를 펌핑하는 펌프로 이루어진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저장하여 자동차가 급선회, 가속, 정차하더라도 연료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도록 연료를 저장하며 고정구와 연료가 유입되는 유통로가 형성된 테이퍼면이 바닥에 형성된 보조탱크와,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높고나 동일할 경우에는 상기 유통로를 폐색시키고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통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고정구에 장착된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펌프가 배설된 보조탱크의 연료 수위가 연료탱크의 연료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개폐수단이 유통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보조탱크로 유입되므로써 펌프는 항상 연료를 펌핑하여서 연료를 안정적으로 캬브레타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보조탱크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연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주요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연료탱크11:펌프
12:필터20:보조탱크
21:테이퍼면22:고정구
23:유통로30:개폐수단
32:개폐부32:고정부
33:걸림돌기
본 발명은 휘발유 혹은 경유등과 같은 연료를 저장하여 캬브레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연료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안정적으로 캬브레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를 저장하며 캬브레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시키는 연료탱크(1)와, 상기 연료탱크(1)의 내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연료탱크(1)에 저장된 연료를 캬브레타로 공급하도록 연료를 펌핑시키는 펌프(6)와, 상기 펌프(6)로 연료가 펌핑되도록 상기 연료탱크(1)의 내부에 배설된 보조탱크(2)와, 상기 보조탱크(2)에 저장된 연료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시키도록 상기 펌프(6)의 하단에 장착된 필터(7)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보조탱크(2)에는 상기 연료탱크(1)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료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2)의 내부에는 자동차가 급선회, 가속, 정지되어서 상기 보조탱크(2)에 저장된 연료가 어느 한편으로 쏠릴 경우 연료의 부족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유입구(5)가 형성된 격벽(4)이 용접되어 있다.
즉, 종래의 연료공급장치는 급선회, 가속, 정지시에 상기 보조탱크(2)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 어느 한편으로 쏠리더라도 상기 펌프(6)에 의해 연료가 캬브레타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조탱크(2)의 내부에는 상기 격벽(4)에 의해 유로(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료공급장치는, 상기 보조탱크(2)의 내부에 상기 격벽(4)에 의해서 연료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유로(8)가 형성되어 있으나, 장기간 급선회, 가속, 정지경우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보조탱크(2)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1)로 유출되므로써 상기 펌프(6)로 연료를 펌핑시키지 못해 연료 공급의 중단으로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펌프에 의해 펌핑될 수 있는 연료가 보조탱크의 내부에 유출됨이 없이 저장되도록 하여 연료를 캬브레타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캬브레타로 공급되도록 상기 연료를 펌핑하는 펌프로 이루어진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저장하여 자동차가 급선회, 가속, 정차하더라도 연료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도록 연료를 저장하며 고정구와 연료가 유입되는 유통로가 형성된 테이퍼면이 바닥에 형성된 보조탱크와,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높거나 동일할 경우에는 상기 유통로를 폐색시키고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통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고정구에 장착된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장치에 의하면, 펌프가 배설된 보조탱크의 연료 수위가 연료탱크의 연료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개폐수단이 유통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보조탱크로 유입되므로써 펌프는 항상 연료를 펌핑할 수 있으므로 연료를 안정적으로 캬브레타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10)은 휘발유 혹은 경유등과 같은 자동차의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이고, (20)은 자동차가 급선회, 가속, 정차등과 같은 상황에서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가 어느 한편으로 쏠리더라도 후술하는 펌프에 의해 연료가 펌핑되어 캬브레타로 연료가 공급되도록 연료를 저장하는 보조탱크이다.
또, 상기 보조탱크(2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개폐수단이 장착되도록 고정구(22)와, 이 고정구(22)의 주위에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수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20)로 유입되도록 연료가 유입되는 유통로(23)가 형성된 테이퍼면(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20)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가 캬브레타로 공급되도록 연료를 펌핑시키는 펌프(11)가 배설되고, 이 펌프(11)의 하부에는 상기 펌프(11)에 의해 펌핑되는 연료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시키는 필터(12)가 고착되어 있다.
한편, (30)은,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10)의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유통로(23)를 개방시켜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20)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10)의 저장된 수위와 동일하거나 혹은 높을 경우 상기 유통로(23)를 폐색시켜 상기 보조탱크(20)의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1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수단으로써, 상기 연료탱크(10)의 고정구(22)에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유통로(23)를 개폐시키는 개폐부(31)와, 상기 개폐부(31)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유통로(23)의 주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구(22)에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부(23)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32)와, 상기 고정구(22)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구(22)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32)에 돌설된 고정돌기(33)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구(22)에 장착되어서 상기 유통로(23)를 개폐시킨다.
또,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유통로(23)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료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내유성 및 고인장도를 갖는 불소 실리콘 러버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수위와 동일하거나 혹은 높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탱크(20)의 연료의 압 및 대기압에 의해서 상기 개폐수단(30)의 개폐부(31)가 상기 유통로(23)를 폐색시키게 된다.
또, 상기 연료탱크(10)의 유통로(23)가 상기 개폐수단(30)의 개폐부(31)에 의해 폐색되어서 상기 펌프(11)에 의해 펌핑되는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20)에 충분하게 저장되므로써 상기 펌프(11)에 의해 연료가 펌핑되어서 연료를 안정적으로 캬브레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급선회, 가속, 정차등의 상태로 인해서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낮아질 경우에는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의 압 및 대기압등에 의해서 상기 개폐수단(30)의 개폐부(31)가 상기 보조탱크(20)에 형성된 상기 유통로(23)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 상기 보조탱크(23)의 유통로(23)가 상기 개폐수단(30)에 의해 개방되면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유통로(23)를 통해서 상기 보조탱크(2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20)로 상기 연료탱크(10)의 연료가 유입되어서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와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가 동일해지면 상기 보조탱크(20)의 연료의 압과 대기압에 의해 상기 개폐수단(30)의 개폐부(31)가 상기 연료탱크(10)에 형성된 상기 유통로(23)를 폐색시키게 된다.
즉, 상기 보조탱크(2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연료탱크(10)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20)로 유입되므로써 상기 보조탱크(20)에 배설된 상기 펌프(11)를 원활하게 연료를 펌핑하여서 안정적으로 연료를 캬브레타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료공급장치에 의하면, 펌프가 배설된 보조탱크의 연료 수위가 연료탱크의 연료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개폐수단이 유통로를 개방시켜 연료탱크가 저장된 연료가 보조탱크로 유입되므로써 펌프는 항상 연료를 펌핑하여서 연료를 안정적으로 캬브레타로 공급하여 연료의 공급 중단으로 인한 엔진의 정지를 방지하여 자동차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캬브레타로 공급되도록 연료를 펌핑하는 펌프로 이루어진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저장하여 자동차가 급선회, 가속, 정차하더라도 연료가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도록 연료를 저장하며 고정구와 연료가 유입되는 유통로가 형성된 테이퍼면이 바닥에 형성된 보조탱크와,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높거나 동일할 경우에는 상기 유통로를 폐색시키고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의 수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수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통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고정구에 장착된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유통로의 주위에 형성된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부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에 돌설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통로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료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내유성 및 고인장도를 갖는 불소 실리콘 러버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KR1019960035629A 1996-08-27 1996-08-27 연료공급장치 KR19980016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629A KR19980016113A (ko) 1996-08-27 1996-08-27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629A KR19980016113A (ko) 1996-08-27 1996-08-27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13A true KR19980016113A (ko) 1998-05-25

Family

ID=6625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629A KR19980016113A (ko) 1996-08-27 1996-08-27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1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249B1 (ko) 연료탱크로부터자동차의내연기관에연료를공급하기위한장치
US4309155A (en) Vehicle fuel tank having vented internal fuel pump
KR20020012311A (ko) 연료 탱크
US4212600A (en) Vehicle fuel tank having vented internal fuel pump
US5823169A (en) Aggregate for feeding fuel from supply tank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0179422A (ja) 二輪車用燃料噴射装置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KR19980016113A (ko) 연료공급장치
JPH09226389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KR100245876B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KR960005905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흡,배기장치
KR0137527Y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200174839Y1 (ko) 상용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 흐름 제어장치
KR0113981Y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크리닝부재
KR100357571B1 (ko) 연료 셧 오프 밸브
KR10039852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구조
KR200221354Y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 구조
KR100957276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JPH01313667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H07304341A (ja) 燃料タンクの旋回槽構造
KR100192462B1 (ko) 프로트 벤트밸브장치
KR0120244Y1 (ko) 자동차용 연료장치의 연료탱크
KR0130993Y1 (ko)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KR0115364Y1 (ko) 기화기식 내연기관의 연료흐름 제어장치
KR100251212B1 (ko)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설치 구조
KR0135611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흐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