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993Y1 -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993Y1
KR0130993Y1 KR2019960017501U KR19960017501U KR0130993Y1 KR 0130993 Y1 KR0130993 Y1 KR 0130993Y1 KR 2019960017501 U KR2019960017501 U KR 2019960017501U KR 19960017501 U KR19960017501 U KR 19960017501U KR 0130993 Y1 KR0130993 Y1 KR 0130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ter cap
filler door
fuel filt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637U (ko
Inventor
이한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17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993Y1/ko
Publication of KR9800016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6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19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 B60K2015/0422Self-sealing closure caps, e.g. that don't have to be removed manually actuated by the inlet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4Fuel lids, charge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연료 주입구 부분이 연표 필터 캡이 연료 파이프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연료 필터 캡을 잠그지 않고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닫아 상기 연료 필터 캡을 분실하거나 상기 연료 필터 캡을 잠그지 않고 연료 필러 도어를 닫은 다음 운행을 하게 되면 상기 연료 파이프를 통해 연료가 누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 필러 도어에 링크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료 필터 캡의 편심된 위치에 상기 링크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연료 필러 도어와 연료 필터 캡이 링크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연료 필터 캡을 분실하지 않게 될뿐 아니라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연료 필터 캡을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동작이 줄어드는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제1도는 자동차의 연료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연료 주입구가 도시된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a)는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의 평면도.
(b)는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연료 필러 도어 52 : 연료 파이프
53 : 연료 필터 캡 54 : 링크
본 고안은 승용차의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 주입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 필러 도어에 링크를 설치하여 연료 주입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 장치는 엔진이 필요로 하는 적당한 양의 혼합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기관의 성능, 특히 출력이나 경제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연료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와, 연료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료 여과기(2)와, 연료를 혼합기로 만들어 엔진에 공급하는 기화기(3)와, 상기 기화기(3)로 연료를 보내는 연료 펌프(4)와, 상기한 각 장치를 연결하는 연료 파이프(5)로 구성된다.
상기 연료 탱크(1)는 얇은 강판으로 된 본체에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주입구, 상기 본체를 비우기 위한 드레인 플레그, 연료의 양을 알리는 연료계의 송신부 등이 부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주행시 연료가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탱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몇 개의 간막이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면은 녹이 슬지 않도록 도금이 되어 있고, 탱크의 윗면에는 탱크 안의 환기를 위한 브리더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리더 파이프는 연료의 액면이 변화하여 탱크 안이 부압이 되었을 때 연료가 기화기로 공급되지 않거나, 바깥 온도의 상승으로 탱크안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 연료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료 여과기(2)는 분해형과 비분해형이 있으며, 다 같이 연료 엘리먼트를 통하여 연료를 여과한다. 분해형 연료 여과기에서 연료는 상기한 엘리먼트를 통과하기 때문에 여기서 먼지 등의 불순물은 분리되나, 수분의 분리는 엘리먼트를 통과할 때 연료의 흐름 속도가 떨어지므로 엘리먼트 하측의 볼 아래로 침전한다. 엘리먼트는 장기간 사용하면 여과 성능이 떨어지므로 적절한 시기에 교환해야 한다. 이때 분해형은 엘리먼트만 교환하나 비분해형은 케이스와 함께 전체를 교환한다.
상기 연료 펌프(4)는 연료 탱크에서 연료를 빨아 올려 상기 기화기(3)로 압송하는데, 그 송유량이 엔진이 요구하는 양의 약 3~5배가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기화기(3)는 연료를 극히 작은 입자로 만들어서 공기와 혼합하여 기화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적절한 양의 혼합기를 엔진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기화기(3)는 스로틀 바디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부압을 이용하여 연료를 빨아 올려 무화시키고, 상기 스로틀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에 따라 적절한 양의 혼합기를 엔진에 공급한다.
그런데, 승용차에 사용되는 연료 탱크는 차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차체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연료 주입구를 통해 연료가 공급되면 연료 파이프를 통해 상기 연료 탱크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연료 주입구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주입구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러 도어(11)와, 연료 탱크(미 도시) 에 연결되고 상기 연료 필러 도어(11)의 안쪽 부분에 일부가 돌출되는 연료 파이프(12)와, 상기 연료 파이프(12)의 돌출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터캡(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 주입구 부분에 연료를 주입할 때는 상기 연료 필러 도어(11)를 열고, 상기 연료 필터 캡(13)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연료 파이프(12)와 분리한 후, 상기 연료 파이프(12)에 연료 주입 건(미 도시)를 삽입하여 연료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료 필터 캡(13)은 일정 각도, 즉 45°정도만 회전되어도 상기 연료 파이프(12)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료 필터캡(13)을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힘은 극히 작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료 주입구 부분은 상기 연료 필터 캡(13)이 상기 연료 파이프(12)로부터 탈락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 필터 캡(13)을 잠그지 않고 상기 연료 필러 도어(11)를 닫아 상기 연료 필터 캡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터 캡(13)을 잠그지 않고 연료 필러 도어(11)를 닫은 다음 운행을 하게 되면 상기 연료 파이프(12)를 통해 연료가 누출되는 등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 필러 도어와 연료 필터 캡을 링크로 연결하여 연료 필터 캡의 분실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연료 필터 캡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 주입구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러 도어와, 연료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안쪽 부분에 일부가 돌출되는 연료 파이프와, 상기 연료 파이프의 돌출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터 캡으로 구성되는 연료 주입구에 있어서, 상기 연료 필러 도어에 링크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료 필터 캡의 편심된 위치에 상기 링크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연료 필러 캡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하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주입구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러 도어(51)와, 연료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연료 필러 도어(51)의 안쪽 부분에 일부가 돌출되는 연료 파이프(52)와, 상기 연료 파이프(52)의 돌출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터 캡(53)과, 일단이 상기 연료 필러 도어(5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료 필터 캡(53)의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는 링크(5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료 필터 캡(53)은 상기 링크(54)로 인해 상기 연료 필러 도어(51)의 개폐에 따라 동시에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료 필러 도어(51)를 일정 정도 오픈하면 상기 링크(54)가 이동되면서 상기 연료 필터 캡(53)을 오픈시키게 된다. 즉, 상기 링크(54)가 이동되면 상기 연료 필터 캡(53)은 상기 링크(54)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료 필터 캡(53)이 회전되는 각도는 상기 연료 필터 캡(53)이 상기 연료 파이프(52)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정도의 각도이다.
이후, 상기 연료 필터 도어(51)가 더 열리게 되면 상기 연료 필터 캡(53)은 상기 링크(54)에 매달려 있게 되고, 상기 연료 파이프(52)에 연료 주입 건(미 도시)을 삽입하여 연료를 상기 연료 탱크(미 도시)에 주입하게 된다.
연료 주입이 완료된 후 상기 연료 필러 도어(51)를 닫으면, 상기 연료 필터 캡(53)은 상기 연료 파이프(52) 쪽으로 이동되어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연료 파이프(52)를 기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은 연료 필러 도어와 연료 필터 캡이 링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료 필터 캡을 분실하지 않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연료 필터 캡을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동작이 줄어드는 다른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연료 주입구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러 도어와,연료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안쪽 부분에 일부가 돌출되는 연료 파이프와, 상기 연료 파이프의 돌출 부분을 개폐시키는 연료 필터 캡으로 구성되는 연료 주입구에 있어서, 상기 연료 필러 도어에 링크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료 필터 캡의 편심된 위치에 상기 링크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연료 필터 캡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KR2019960017501U 1996-06-25 1996-06-25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KR0130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501U KR0130993Y1 (ko) 1996-06-25 1996-06-25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501U KR0130993Y1 (ko) 1996-06-25 1996-06-25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637U KR980001637U (ko) 1998-03-30
KR0130993Y1 true KR0130993Y1 (ko) 1998-12-15

Family

ID=1945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501U KR0130993Y1 (ko) 1996-06-25 1996-06-25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9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637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2311A (ko) 연료 탱크
BRPI0416115A (pt) dispositivo de fechamento para um tubo de carregamento de um tanque destinado a conter um lìquido, e, tanque de combustìvel lìquido de um veìculo com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KR0130993Y1 (ko) 연료 주입구 오프닝 시스템
KR100245876B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JP2568952Y2 (ja) 燃料タンク装置
KR200174839Y1 (ko) 상용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 흐름 제어장치
KR200224681Y1 (ko) 자동차용 기어오일 주입기
KR19980022103U (ko) 연료 차단 장치
KR100418612B1 (ko) 자동차 연료탱크용 콘트롤밸브
KR100498637B1 (ko) 이중재질밸브
KR200347003Y1 (ko)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KR100514486B1 (ko) 차량 연료 탱크의 연료 넘침 방지 장치
JPS593186Y2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H089420Y2 (ja) 燃料タンクの燃料移送装置
KR0120244Y1 (ko) 자동차용 연료장치의 연료탱크
KR0143795B1 (ko) 자동차의 연료 캡 열림 표시장치
KR200332423Y1 (ko) 엘피지 차량에서 인라인 형태의 펌프와 붐배 체결구조
KR100416766B1 (ko) Lpg차량용 기화기의 타르 제거장치
KR100319268B1 (ko) 자동차 연료탱크 크리닝 장치
KR200174740Y1 (ko) 자동차의 연료 탱크
KR200168599Y1 (ko) 액상연료의 역류 방지가 가능한 전자밸브
KR100251212B1 (ko)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설치 구조
KR100690266B1 (ko) 차량용 엘피지 연료공급장치
KR20010002286U (ko) 엘피지 차량의 잔류 가스 제거 장치
KR100402765B1 (ko) 보조연료통의 입구마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