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276B1 - 자동차용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276B1
KR100957276B1 KR1020040100340A KR20040100340A KR100957276B1 KR 100957276 B1 KR100957276 B1 KR 100957276B1 KR 1020040100340 A KR1020040100340 A KR 1020040100340A KR 20040100340 A KR20040100340 A KR 20040100340A KR 100957276 B1 KR100957276 B1 KR 10095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housing
engine
subsid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557A (ko
Inventor
황인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2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B60K15/061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with leve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함체(110)의 내부에 연료가 보관되는 수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1)에는 일측단부가 연료공급치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파이프(120)의 일측부가 인입되게 설치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120)가 설치되어있는 함체(110)의 수납부(111) 하부에 인입공(131)을 개폐시키는 일방향 체크밸브(160)가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중앙보조탱크(130)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130)의 좌우 양측부에는 일측부에 유입공(171)이 관통되어 형성된 격판(170)이 좌측보조탱크(140)와 우측보조탱크(150)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자동차를 운행중 연료탱크(10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의 잔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길을 장시간 운행하는 경우에도 좌측보조탱크(140) 및 우측보조탱크(150)로 유입된 연료가 중앙보조탱크(130)로 유입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130)로 유입된 연료는 흡입파이프(120)를 통해 연료공급장치를 거쳐 엔진으로 안정되게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경사로를 주행하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100)의 수납부(111)에 담겨져 있는 연료에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급 출발 급 정거시 출렁거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엔진에 지속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공기가 주입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탱크{Fuel Tank for an Automobile}
도 1은 일반적인 연료탱크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연료탱크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연료탱크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연료탱크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연료탱크가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료탱크 110 : 함체
111 : 수납부 120 : 흡입파이프
130 : 중앙보조탱크 131 : 인입공
140 : 좌측보조탱크 150 : 우측보조탱크
160 : 체크밸브 170 : 격판
171 : 유입공 190 : 연료잔량감지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의 함체 수납부에 적은양의 연료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장시간 경사로를 주행시에도 흡입파이프를 통해 안정적으로 함체의 수납부에 남아있는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시 엔진으로는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상기와 같이 엔진으로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자동차에는 연료탱크를 구비하여 일정량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용 연료탱크(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함체(110')의 내부에 연료가 보관되는 수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1')에는 일측단부가 연료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파이프(120')의 일측부가 인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가 흡입파이프(120')를 통해 연료공급장치를 거치면서 엔진으로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많은 양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거나 자동차가 평탄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흡입파이프(120')의 하단부가 항시 연료에 잠긴상태를 유지하면서 엔진으로 일정한 양의 연 료를 안정되게 지속적으로 공급하지만, 상기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적은 양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를 급정거 및 급출발 할 경우는 물론, 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측으로 쏠리면서 흡입파이프(120')의 끝단이 연료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흡입파이프(120')가 연료로 부터 노출된 경우에는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엔진의 출력이 비정상적으로 약해지게 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엔진이 정지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정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료의 출렁임에 의해 순간적으로 흡입파이프(120')로 연료가 공급되지 않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연료공급라인 내에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해결을 위해 운전자가 연료공급라인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해주는 작업을 별도로 실시해 주어야만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가중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인입되어 있는 흡입파이프(120')의 하단부에 보조탱크(121')를 형성하여, 상기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가 한쪽으로 쏠려서 흡입파이프(120')의 끝부분이 연료로부터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탱크(121')에 보관중인 연료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의 유면이 보조탱크(121')의 하부보다 낮게 내려와 상기 보조탱크에 형성된 밸브홀(121a')이 닫 히도록 스프링(181')에 의해 부구(182')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닫히도록 밸브수단(180')이 작동되면 보조탱크(121')의 내부로 공급되는 연료의 유입이 차단되게 됨으로써, 상기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적은 양의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경사로를 장시간 주행하는 경우 보조탱크(121')에 유입되어 있는 연료의 양만큼 만 엔진으로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연료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도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함체의 내부에 연료가 보관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일측단부가 연료공급치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파이프의 일측부가 인입되게 설치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가 설치되어있는 함체의 수납부 하부에 인입공을 개폐시키는 일방향체크밸브가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중앙보조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의 좌우 양측부에는 일측부에 유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격판이 좌측보조탱크와 우측보조탱크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자동차를 운행중 연료탱크의 수납부에 보관중인 연료의 잔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길을 장시간 운행하는 경우에도 좌측보조탱크 및 우측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가 중앙보조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는 흡입파이프를 통해 연료공급장치를 거쳐 엔진으로 안정되게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경사로를 주행하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의 수납부에 담겨져 있는 연료에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급출발 급정거시 출렁거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엔진에 지속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 시동꺼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됨은 물론, 상기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공기가 주입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료탱크도 도 4과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함체(110)의 내부에 연료가 보관되는 수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1)에는 일측단부가 연료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파이프(120)의 일측부가 인입되게 설치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120)가 설치되어있는 함체(110)의 수납부(111) 하부에 인입공(131)을 개폐시키는 일방향 체크밸브(160)가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중앙보조탱크(130)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130)의 좌우 양측부에는 일측부에 유입공(171)이 관통되어 형성된 격판(170)이 좌측보조탱크(140)와 우측보조탱크(150)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격판(170)은 수납부(11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가 격판(170)의 상부면을 타고 흐르면서 유입공(171)을 통해 좌측보조탱크(140) 및 우측보조탱크(150)로 유입되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격판(170)의 유입공(171)에는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의 유 압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일방향 체크밸브(160)를 설치하여, 상기 격판(170)이 설치되어 있는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적은양의 연료가 보관중인 상태에서는 좌측보조탱크(140) 및 우측보조탱크(150)로 유입된 연료가 유입공(171)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격판(170)의 상부에는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의 잔량에 따라 연료경고등을 점등시키는 연료잔량감지기(190)를 설치하여, 상기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가 격판(170)의 상부면까지 내려오면 연료경고등을 점등시켜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에게 연료를 보충해주어야 함을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연료탱크(100)의 함체에 형성된 수납부(111)로 연료가 유입되면, 상기 수납부(111)로 유입된 연료의 유압에 의해 격판(170)에 설치되어 있는 일방향 체크밸브(160)가 작동되면서 유입공(171)이 개방되어 좌측보조탱크(140) 및 우측보조탱크(15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좌측보조탱크(140) 및 우측보조탱크(150)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다시 인입공(131)이 개방되도록 일방향 체크밸브(160)를 작동시키면서 중앙보조탱크(130)로 유입되며, 상기 중앙보조탱크로 유입이 이루어진 연료는 흡입파이프(120)를 통해 연료공급장치를 거치면서 엔진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111)에 보관되어 있는 연료가 소진되어 중앙보조탱크(130) 및 좌측보조탱크(140)와 우측보조탱크(150)에 담겨있는 양만 남아있는 경우에는 연료잔량감지기(190)가 이를 감지하여 연료경고등을 덤등시켜 차량을 운행하 는 운전자에게 연료의 보충시기임을 알려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료잔량감지기(190)에 의해 연료경고등이 점등되는 양만큼 만 연료탱크(100)의 함체(110) 수납부(111)에 연료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급출발 및 급정거를 수행하거나 경사로등을 주행시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우측보조탱크(150) 및 좌측보조탱크(140)에 담겨있는 연료가 경사진방향으로 쏠리면서 중앙보조탱크(130)의 일측 일방향 체크밸브(160)를 작동시켜 일측 인입공(131)으로 계속해서 연료가 중앙보조탱크(130)의 내부로 공급되게 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130)로 유입된 연료는 계속해서 흡입파이프(120)를 통해 연료가 연료공급장치를 거치면서 엔진으로 안정되게 공급된다.
이때, 상기 중앙보조탱크(130)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일방향체크밸브(160)는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10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중앙보조탱크(130)의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 인입공(131)을 통해 배출되지 않으며 흡입파이프(120)를 통해 연료공급장치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행중 연료탱크(10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의 잔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길을 장시간 운행하는 경우에도 좌측보조탱크(140) 및 우측보조탱크(150)로 유입된 연료가 중앙보조탱크(130)로 유입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130)로 유입된 연료는 흡입파이프(120)를 통해 연료공급장치를 거쳐 엔진으로 안정되게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경사로를 주행하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100)의 수납부(111)에 담겨져 있는 연료에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급출발 급정거시 출렁거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엔진에 지속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 시동꺼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됨은 물론, 상기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공기가 주입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함체의 내부에 연료가 보관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일측단부가 연료공급치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파이프의 일측부가 인입되게 설치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가 설치되어있는 함체의 수납부 하부에 인입공을 개폐시키는 일방향체크밸브가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중앙보조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의 좌우 양측부에는 일측부에 유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격판이 좌측보조탱크와 우측보조탱크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자동차를 운행중 연료탱크의 수납부에 보관중인 연료의 잔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길을 장시간 운행하는 경우에도 좌측보조탱크 및 우측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가 중앙보조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로 유입된 연료는 흡입파이프를 통해 연료공급장치를 거쳐 엔진으로 안정되게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경사로를 주행하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의 수납부에 담겨져 있는 연료에 쏠림현상이 발생하거나 급출발 급정거시 출렁거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엔진에 지속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 시동꺼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됨은 물론, 상기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공기가 주입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어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함체(110)의 내부에 연료가 보관되는 수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1)에는 일측단부가 연료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파이프(120)의 일측부가 인입되게 설치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120)가 설치되어있는 함체(110)의 수납부(111) 하부에 인입공(131)을 개폐시키는 일방향 체크밸브(160)가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중앙보조탱크(130)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보조탱크(130)의 좌우 양측부에는 일측부에 유입공(171)이 관통되어 형성된 격판(170)이 좌측보조탱크(140)와 우측보조탱크(150)에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판(170)은 수납부(11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판(170)의 유입공(171)에는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의 유압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일방향 체크밸브(16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판(170)의 상부에는 함체(110)의 수납부(111)에 보관중인 연료의 잔량에 따라 연료경고등을 점등시키는 연료잔량감지기(19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20040100340A 2004-12-02 2004-12-02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095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340A KR100957276B1 (ko) 2004-12-02 2004-12-02 자동차용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340A KR100957276B1 (ko) 2004-12-02 2004-12-02 자동차용 연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557A KR20060061557A (ko) 2006-06-08
KR100957276B1 true KR100957276B1 (ko) 2010-05-13

Family

ID=3715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340A KR100957276B1 (ko) 2004-12-02 2004-12-02 자동차용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2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674A (ko) * 1987-12-18 1989-08-03 이양섭 자동차 연료 탱크내의 연료 쏠림방지 장치
JPH07304341A (ja) * 1994-05-10 1995-11-21 Aichi Mach Ind Co Ltd 燃料タンクの旋回槽構造
KR19980050530A (ko) * 1996-12-21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연료탱크
JPH1128940A (ja) 1997-07-14 1999-02-02 Hino Motors Ltd 燃料タン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674A (ko) * 1987-12-18 1989-08-03 이양섭 자동차 연료 탱크내의 연료 쏠림방지 장치
JPH07304341A (ja) * 1994-05-10 1995-11-21 Aichi Mach Ind Co Ltd 燃料タンクの旋回槽構造
KR19980050530A (ko) * 1996-12-21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연료탱크
JPH1128940A (ja) 1997-07-14 1999-02-02 Hino Motors Ltd 燃料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557A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8162B2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
JP2007051633A (ja) 燃焼機関の燃料供給システム
KR100957276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JP4182652B2 (ja) 蒸発燃料回収装置
JP2008132989A (ja)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KR100861547B1 (ko) 엘피지 차량의 직렬 듀얼 봄베장치
JP4319200B2 (ja) 燃料タンク
KR100461827B1 (ko) 차량용 연료탱크 구조
JP2006177164A (ja) 満タン規制バルブ
JP4877172B2 (ja) 燃料蒸気排出抑制装置
KR19990004997A (ko) 연료 탱크
JP2005337090A (ja) 車輌の燃料供給装置
KR0137527Y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101271931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KR100471310B1 (ko) 원웨이밸브가 설치된 연료탱크
KR100475821B1 (ko) 연료탱크의 흡입 파이프 구조
KR100471480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컷밸브장치
KR100463058B1 (ko) 밴트 밸브 구조
KR100232634B1 (ko) 차량의 연료탱크
KR19990040119A (ko) 자동차용 보조 연료탱크
KR100314459B1 (ko) 잔류연료의사용량을증가하는연료탱크
KR200347003Y1 (ko)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KR0113934Y1 (ko) 차량 전복시의 누유 방지구조
KR19980016113A (ko) 연료공급장치
KR100690266B1 (ko) 차량용 엘피지 연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